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9

        1.
        2023.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OECD TG No. 458, 22Rv1/MMTV_GR-KO 전사 활성화 분석법을 포함한 세포 기반 분석법을 사용하 여 식품 및 생활용품에 포함된 파라벤과 트리클로산의 인 간 안드로겐 수용체를 매개하는 내분비계 교란 가능성을 확인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4가지 파라벤(메틸-, 에틸-, 프 로필-, 부틸-)은 OECD TG No.458에서 AR 길항제로 확 인된 반면, 파라벤의 AR 길항 효과는 S9 간 분획물이 있 는 경우 나타나지 않았다. 트리클로산 역시 AR 길항제로 분류되었으며, 트리클로산에 의해 유도된 AR 길항 효과 는 S9 간 분획물이 존재할 때 제 1상+2상 대사에서 유의 하게 감소되었다. 파라벤과 트리클로산에 의해 유도되는 AR 길항 기전은 세포질 내 AR 이량화를 차단하여, 리간 드 결합 AR이 핵으로의 전위를 억제함으로써 AR 매개 내분비 교란 효과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4가지 파라 벤과 트리클로산이 AR 이량화 저해를 통한 AR 길항 효 과를 나타내는 AR 매개 내분비 교란 가능성을 가지고 있 으나, 간 대사 효소가 존재할 경우 내분비 교란 효과는 감 소됨을 시사한다.
        4,000원
        2.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we evaluate the anti-microbiological activity of paraben in eye shadows that are composed of pigments and oil binders using various analytical methods and microbiological tests. Paraben does not show the microbiological activity properly when it was used with Nylon SP® 10, Talc RF SSA®, OMC Talc AS® and BaSO4. In the test of fungi, Nylon SP® 10 causes the decrease of microbiological activity regardless of the type of oil binders. The pigment of Mango violet also causes the decrease of microbiological activity when ester oil binder was used. Regardless of the type of oil binder, samples containing nylon SP 10, 0.15% of methyl paraben and 0.05% of propyl paraben had not been able to maintain microbiological activity only if the concentration of parabens were increased. Trace amounts of metal ions present in pigments reduced the activity of preservatives by inactivation of hydroxyl group of paraben. It is thought that swollen nylon SP 10 in ester oil increase the absorption or interaction of parabens and swollen nylon powder causes the inactivation of paraben.
        4,000원
        3.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파라벤은 p-하이드록시 벤조산(p-hydroxybenzoic acid)의 알킬에스테르로, 비교적 빠르게 흡수, 대사 및 배설되는 살균성 보존제로 식품, 화장품, 약품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실제 인체는 파라벤 복합물에 노출된다. 파라벤의 안전성에 관한 연구결과들에 대한 고찰 결과 파라벤 종류에 따라 다양한 독성종말점을 대상으로 파라벤의 급성, 아급성 및 만성독성 영향은 비교적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파라벤은 에스트로젠 유사활성을 가지며 화장품을 통한
        4,200원
        4.
        200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Recently, parabens have been believed to act as xenoestrogens, an identified class of endocrine disruptors (EDs). These environmental compounds are the most well-known as preservatives in many commercial products, including food, cosmetics and pharmaceutical industries. It has been demonstrated that the human health risks of parabens result from a long-term exposure to skin in which this chemical group is rapidly absorbed through the skin. On the other hand, parabens are also completely absorbed from gastrointestinal tract. It has reported that these substances possess several biological effects in which inhibitory property involved in membrane transports and mitochondrial functions is considered to be important for their action. Testing of parabens has revealed that estrogen-like activities of these chemicals are much less potent than natural estrogen, estradiol (E2). Additionally, the estrogenicity of individual paraben- compounds is distinct depending upon their biochemical structure. Recent findings of paraben-estrogenic activities have shown that these compounds may affect breast cancer incidence in women, suggesting adverse ecological outcomes of this environmental group on human and animal health. Although the biological and toxicological effects of parabens have been demonstrated in many previous studies, possible mechanism(s) of their action are required to be explored in order to bring the better understanding in the detrimental impacts of parabens in human and wildlife. There have several different types of parabens which are the most widely used as preservatives. These include methyl-paraben, ethylparaben, propylparaben, butylparaben and p-hydroxybenzoic acid, a major metabolite of parabens. In this review, we summarize current database based on in vitro and in vivo assays for estrogenic activities and health risk assessment of paraben- EDs which have been published previously.
        4,000원
        8.
        200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미생물의 오염을 통해 화장품이 변질되거나 분해되는 것을 방지하여 소비자를 보호하기 위해 화장품에 보존제가 사용된다. 파라벤류는 제형화하기 쉽고, 활성 범위가 넓으며, pH에 화학적으로 안정하면서 저렴하여 거의 모든 종류의 화장품에 널리 사용된다. 페녹시에탄올과 클로페네신 역시 화장품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보존제로 보통 파라벤과 함께 사용된다. 파라벤의 독성은 일반적으로 낮지만, 손상된 피부에는 자극을 유발할 수 있으며, estrogenic 잠재성, 마취 효과 및 생식 독성의 가능성에 대한 논란이 있어 왔다. 따라서 파라벤은 배합한도 원료로 지정 관리되고 있으며, 페녹시에탄올과 클로페네신도 마찬가지로 최대 허용량이 지정되어 있다. 그러므로 제품 중 보존제의 함량을 관리하는 것은 중요하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역상 액체크로마토그래프법으로는 이성질체를 포함한 6종의 파라벤과 페녹시에탄올 및 클로페네신을 동시에 분리 분석하기 어려웠다. 용출 시간이 길어져, 피크 모양이 나쁘고 분리능이 좋지 않아 정확한 정량이 불가능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ultra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TM (UPLCTM)를 이용하여 8종의 보존제를 10 min 이내에 동시분석을 시도하였다. 또한, International conference on harmonisation (ICH) 가이드라인의 밸리데이션 방법에 근거하여 본 시험법의 적합성을 검증하고, 로션, 팩트, 파운데이션 및 립글로스 등 다양한 제형에 적용이 가능함을 보였다. 본 시험법은 파라벤류를 포함한 다양한 보존제를 함유한 화장품 중 보존제의 함량을 단시간에 간편하고 정확하게 정량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