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상황학습 기반 예비부모교육 요구 조사 KCI 등재

A Study of Needs for Preliminary Parent Education in College Student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2741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900원
한국과 국제사회 (Korea and Global Affairs)
한국정치사회연구소 (Korea Institute of Politics and Society)
초록

본 연구는 대학생의 상황학습 기반 예비부모교육에 대한 요구도를 조 사하여 학습자의 요구를 반영한 예비부모교육 개발을 위한 근거자료를 마련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본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는 D시 소재 4년제 대학교 2곳, 2년제 대학교 3곳에 재학하는 대학생 367명이었으며, 데이 터는 온라인 Google 폼을 사용하여 배포 및 수집되었다. 자료는 IBM S PSS 22 Version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및 독립표본 t-검정으로 분석되 었다. 연구결과는 2년제 대학생이 4년제 대학생에 비해 예비부모교육 내 용의 하위영역 중 부모됨에 대한 학습 요구가 더 높았고, 상황학습에 대 한 요구 또한 더 높았다. 한편 1~2학년이 3~4학년에 비해 상황학습에 대한 요구가 더 높았다. 본 연구는 대학생의 특성을 고려하여 예비부모 교육에 대한 요구도를 조사하고 반영하여 실제 학교 현장에서 실시 가능 한 예비부모교육 내용을 개발한 것에 그 의의가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college students' needs for preliminary parent education based on situational learning and to prepare evidence for the development of preliminary parent education that reflects the needs of learner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367 college students attending two four-year college and three two-year college in D City. They distributed and retrieved the questionnaire using the Google questionnaire program through SN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using independent t-test. It was found that two-year college students had higher learning needs for situated learning and for parents among sub-areas of preliminary parent education content than four-year college students. Meanwhile, 1~2 graders had a higher needs for situated learning than 3~4 graders. This study can be found that it investigated and reflected the needs for preliminary parent educ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college students and developed the contents of preliminary parent education that can be conducted in the actual school fiel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연구도구
    3. 자료수집 방법
    4. 자료분석
    5. 윤리적 고려
Ⅲ. 연구결과
    1. 대상자의 예비부모교육 내용요구도와 상황학습 요구도
    2.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예비부모교육 내용요구도 차이
    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상황학습 요구도 차이
Ⅳ.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저자
  • 이승아(계명문화대학교) | Seunga Lee (Keimyung College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