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중장년층 1인가구의 사회자본이 삶의 만족도에 어떠한 영 향을 미치는지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복지패널의 16차 자료 (2021년도)를 활용하여 40세이상 64세 이하 중장년층 344명을 최종 분 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분석방법은 SPSS 26.0을 활용하여 위계적 회 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장년 층 1인가구의 삶의 만족도는 사회자본의 수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사회자본의 하위요인 중 네트워크만 중장년층 1인가구의 삶의 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 면, 신뢰와 호혜성은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 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중장년층 1인가구의 사회자본 축적과 삶의 만족도 증진을 위한 정책적, 실천적 방안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impact of social capital on life satisfaction in single-person households of middle-aged and elderly people. For this purpose, using the 16th wave data (2021) from the Korean Welfare Panel Study, we selected 344 middle-aged individuals aged 40 to 64 as the final analysis sample. For the cross-sectional data analysis, th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26.0.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life satisfaction of middle-aged single-person households varies depending on the level of social capital. Second, among the sub-factors of social capital, only the network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life satisfaction of middle-aged single-person households. Conversely, trust and reciprocity were found not to influence their life satisfaction. Based on the results, we proposed policy and practical intervention plans for accumulating social capital and enhancing life satisfaction of single-person households of middle-aged and elderly peop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