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Analyzing instructors' intention to accept digital revolution technology-related education in beauty care KCI 등재

뷰티케어분야에 있어서 디지털 혁명 기술 관련 교육에 대한 교수자의 수용 의도 분석

  • 언어ENG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2764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500원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구 한국유화학회)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KSAST))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independent variables such as instructors' willingness to innovate, subjective norms, and self-efficacy affect technology acceptance intention through parameters such as ease of use and usefulness, and in what ways, and to suggest ways to revitalize new technology-related education in the beauty fiel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beauty major instructors' intention to adopt digital new technologies showed that innovation intention, subjective norms, and self-efficacy toward new technologies have a defining influence on the parameters of ease and usefulness. These results can be interpreted as a strong recognition of the need to apply new technologies in the beauty field and the need to improve the curriculum for this purpose, but the instructors' own fear of applying new technologies makes it difficult to apply new curriculum in reality. Therefore, the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s related to digital technology education that can be easily understood by beauty instructors should be prioritized, and the development and use of related education programs should be expanded. In addition, we are confident that close collaboration with digital new technology and IT-related departments to understand the education of beauty majors and mutual research to develop education programs will help to develop digital new technology education programs tailored to the beauty field.

본 연구는 뷰티 분야에서의 디지털 기술 진보에 따른 변화의 해결방안으로 뷰티 교수자들의 신 기술 수용의도를 분석하여 뷰티산업을 이끌어 갈 예비 뷰티전문가를 교육하는데 있어서 전문적인 디지털 관련 기술 교과목을 적용하여 디지털 뷰티 전문가 배출의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교수자의 혁신의지, 주관적 규범, 자기효능감 등의 독립변수가 유용성 및 용이성 등 매개변수가 어떤 경로로 기술수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지를 분석하여 뷰티분야에서 신기술 관련 교육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 다. 뷰티전공 교수자의 디지털 신기술 수용의도를 분석한 결과 신기술에 대한 혁신 의지와 주관적 규범, 자 기효능감은 매개변수인 용이성과 유용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뷰티 분야 에서 신기술 적용이 필요하며, 이를 위한 교과목 개선이 필요하다고는 강하게 인식하고 있으나, 교수자 스 스로의 신기술 응용에 대한 두려움을 크게 느끼게 되므로 현실적으로 신규 교과목 적용이 어려워지고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따라서 뷰티분야 교수자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디지털 기술 교육 관련 교재개발 이 우선시 되어야 하며, 관련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활용이 확대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디지털 신기술 및 IT관련 학과와의 긴밀한 협업을 통해 뷰티전공자들을 대상으로 한 교육에 대한 이해와 교육 프 로그램 개발을 위한 상호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진다면 뷰티분야 맞춤형 디지털 신기술 교육프로그램 개발 많은 도움이 될 것이라 확신한다.

목차
1. Introduction
2. Research Method
    2.1. Research Model
    2.2. Research Procedure and StatisticalAnalysis
3. Results and Discussion
    3.1. Study Subject Characteristics
    3.2. Reliability and Validity
    3.3.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3.4. Hypothesis testing
4. Conclusion
    4.1. Strengthening the digital newtechnology education program ofbeauty major instructors
    4.2. Development of digital newtechnology education programs forbeauty majors by level
    4.3. Strengthening the promotion ofdigital new technology education bybeauty major instructors
Acknowledgement
저자
  • Mi-Yun Yoon(Professor, Department of Beauty Care, Pai Chai University) | 윤미연 (배재대학교 뷰티케어학과, 교수)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