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폭식행동 및 음식중독의 위험요인 분석: 성향점수매칭과 로지스틱 회귀모델을 이용한 분석 KCI 등재

Risk Factors for Binge-eating and Food Addiction : Analysis with Propensity-Score Matching and Logistic Regress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2769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600원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구 한국유화학회)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KSAST))
초록

본 연구는 한국인 인구집단에서 폭식행동, 음식중독을 식별하고, 해당 증상들이 비만 및 섭식행 동, 정신건강, 인지적 특성과 어떠한 연관성을 보이는지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정상체중 및 비만 체중에 해당하는 한국인 성인 257명을 대상으로 섭식문제(예: 폭식, 음식중독, 음식갈망), 정신건강(예: 우 울), 인지기능(예: 충동성, 정서조절)에 관한 임상심리검사 척도를 측정하였다. 비만 여부와 성별에 따라 그 룹을 나누었을 때, 비만체중 여성에서 폭식행동이 46.6%, 음식중독이 29.3%로 가장 빈도가 높았다. 성향 점수 매칭 후 데이터로 독립성 검정을 수행한 결과, 폭식행동 및 음식중독이 비만체중 집단에서 정상체중 집단보다 더 많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폭식행동과 음식중독 유무에 각 심리검사 척도 요인이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하고자, 전진선택법을 적용한 로지스틱 회귀모델을 구축하였다.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폭식행동에는 섭식장애, 음식갈망, 상태불안, 정서조절(인지적 재해석) 및 음식중독이 주로 관여하였 고, 음식중독에는 음식갈망, 폭식행동과 함께 비만과 연령의 교호작용, 교육년수가 유의하게 작용하는 것으 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한국인 성인을 대상으로 한 체계적 연구로서, 폭식행동과 음식중독이 여성 및 비만 인에서 특히 더 많이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폭식행동과 음식중독에는 일부 섭식문제(예: 음식갈망)가 공통되게 관여하나, 정신건강 및 인지적 위험요인에는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음식중독과 폭식행동은 서로 구 별되는 개념으로 두고, 각각의 기질적·환경적 위험요인을 깊이 있게 탐구하는 것이 필요하다.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binge-eating behavior and food addiction in Korean population and to determine their associations with obesity, eating behaviors, mental health and cognitive characteristics. We collected clinical questionnaire scores related to eating problems (e.g. binge eating, food addiction, food cravings), mental health (e.g. depression), and cognitive functions (e.g. impulsivity, emotion regulation) in 257 Korean adults in the normal and the obese weight ranges. Binge-eating and food addiction were most frequent in obese women (binge-eating: 46.6%, food addiction: 29.3%) when we divided the participants into 4 groups depending on gender and obesity status. The independence test using the data with propensity score matching confirmed that binge-eating and food addiction were more prevalent in obese individuals. Finally, we constructed the logistic regression models using forward selection method to evaluate the influence of various clinical questionnaire scores on binge-eating and food addiction respectively. Binge-eating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clinical scales of eating disorders, food craving, state anxiety, and emotion regulation (cognitive reappraisal) as well as food addiction. Food addiction demonstrated the significant effect of food craving, binge-eating, the interaction of obesity and age, and years of education. In conclusion, we found that binge-eating and food addiction are much more frequent in females and obese individuals. Both binge-eating and food addiction commonly involved eating problems (e.g. food craving), but there was difference in mental health and cognitive risk factors. Therefore, it is required to distinguish food addiction from binge-eating and investigate intrinsic and environmental risk factors for each pathology.

목차
1. 서 론
2. 연구 방법
    2.1.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방법
    2.2. 측정도구
    2.3 통계분석
3. 결과 및 고찰
    3.1. 인구통계학적 특성
    3.2 폭식행동 및 음식중독 빈도
    3.3 비만과 폭식행동, 음식중독 연관성 분석
    3.4. 폭식행동, 음식중독과 심리검사 척도 간연관성 분석
4. 결 론
감사의 글
저자
  • 정재익(부산대학교 정보융합공학과, 학생) | Jake Jeong (Department of Information Convergence Engineering, Pusan National University)
  • 이환희(부산대학교 의생명융합공학부, 교수) | Whanhee Lee (School of Biomedical Convergence Engineering, Pusan National University)
  • 최정인(양산부산대학교병원 가정의학과, 교수) | Jung In Choi (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Pusan National University Yangsan Hospital)
  • 조영혜(양산부산대학교병원 가정의학과, 교수, 부산대학교 의과대학 가정의학교실, 교수) | Young Hye Cho (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Pusan National University Yangsan Hospital, 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Pusan National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Corresponding Author
  • 백광열(부산대학교 의생명융합공학부, 교수) | Kwangyeol Baek (School of Biomedical Convergence Engineering, Pusan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