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조석이 연안수질조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마산만 특별관리해역을 중심으로- KCI 등재

A Study of the Effect of Tides on Coastal Water Testing -Focusing on Masan Ba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2773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해양환경안전학회지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and Safety)
해양환경안전학회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초록

하구와 연안역은 조석주기에 따라 수층 혼합과 해수 유동이 활발하므로 보다 정확한 수질측정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조 석조건을 고려해서 시료를 채취해야 한다. 우리나라 해양환경공정시험기준에서는 평균적인 상황에 대한 자료를 확보하고자 조석중간 에 시료 채취를 권장하는 반면, Kaplovsky(1957), Fortune and Mauraud(2015) 등 다수의 해외 연구에서는 간조 또는 만조와 같은 정조시 조사할 것을 권장한다. 또한 국내 해양환경정책의 수립과 평가에 활용 중인 해양환경측정망 자료의 조석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2014~2020년 마산만 조사결과를 정조시와 조석중간 두 그룹으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COD, TN, TP 등 주요 해양환경지표의 두 그룹 간 수질측정값 간 차이가 있음을 확인했다. 해양환경측정망은 연안오염총량관리을 비롯한 다양한 해양환경정책의 계획수립, 목표설정 및 평가에 활용되는 만큼 정도관리가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 해양환경측정망 자료 항목으로 조석정보를 추가하고, 같은 조석조건하의 조사를 단계적으로 확대해 갈 것을 제안한다.

In estuaries and coastal areas, where water layer mixing and seawater flow are influenced by tidal conditions, it is essential to consider these tidal conditions when collecting water samples to ensure the accuracy of water quality measurements. For obtaining data that reflects average conditions, the Korean Standard Method of Examination for Marine Environment recommends collecting samples during the mid-tide. However, previous studies conducted by Kaplovsky (1957) and Fortune & Mauraud (2015) recommend sample collection during high or low tides. Furthermore, after categorizing the Masan Bay survey results from 2014 to 2020 into two groups: stand of tide (STAND) and mid-tide (MID),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he water quality measurements between the two groups. To improve the quality of Marine environment monitoring system data, tidal information should be provided first, and sampling water under the same tidal conditions should be gradually incorporated.

목차
1. 서 론
2. 이론적 배경
    2.1 해외 선행연구
    2.2 국내 여건
3. 분석결과 및 해석
    3.1 분석 개요
    3.2 분석 결과
    3.3 해석
4. 결 론
사 사
저자
  • 최수빈(한국해양수산개발원 해양연구본부 전문연구원) | Subeen Choe (Senior researcher, Marine Policy Research Department, KMI, Busan 49111, Korea)
  • 장원근(한국해양수산개발원 해양연구본부 연구위원) | Wonkeun Chang (Research Fellow, Marine Policy Research Department, KMI, Busan 49111, Korea) Corresponding author
  • 이종훈(한국해양수산개발원 경제전략연구본부 부연구위원) | Jonghoon Lee (Associate Research Fellow, Ocean Economy Strategy Department, KMI, Busan 49111, Korea)
  • 권봉오(군산대학교 해양생물자원학과 교수) | Bong-oh Kwon (Professor, Department of Marine Biological Resources, Kunsan National University, Jeonbuk Gunsan 54150, Korea)
  • 이용우(해양환경공단 해양수질처 차장) | Yong-Woo Lee (Senior Researcher, Marine Environment Monitoring Department, KOEM, Busan 49111, Korea)
  • 최훈(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 해양공공디지털연구본부 연구원) | Hoon Choi (Researcher, Ocean and Maritime Digital Technology Research Division, KRISO, Daejeon 34103, Korea)
  • 이문진(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 해양공공디지털연구본부 영년 책임연구원) | Moonjin Lee (Tenured Principal Research Scientist, Ocean and Maritime Digital Technology Research Division, KRISO, Daejeon 34103,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