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국내외 골재산업 동향 연구 KCI 등재

Study on the Trend of Aggregate Industr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28046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광물과 암석 (Korean Journal of Mineralogy and Petrology)
한국광물학회 (The Mineralogical Society Off Korea)
초록

골재(aggregate)는 콘크리트(concrete) 또는 아스팔트(asphalt)와 같은 안정화된 재료를 생산하는데 사용되 며 주택, 산업, 도로, 에너지 및 건강에 대한 사회적 요구를 충족시키는데 기본이 된다. 2021년 세계 골재 생산량 은 423억 5천만톤으로 전년도 419억 7천만톤과 비교하여 0.91% 증가하였고 중국, 인도, 유럽연합(EU) 및 미국 (USA)만 20억만톤 이상 골재를 생산하여 점유율은 71.75%로 나타났다. 우리나라는 골재 생산이 지속적으로 증가 하여 3억 9천만톤, 점유율 0.85%로 멕시코 및 일본을 추월하여 7위를 차지하였다. 전세계적으로 산업용 모래 및 자갈은 3억 5천만톤이 생산되었고, 상위 국가 순위는 중국, 미국, 네델란드, 이탈리아, 인도, 튀르키예 및 프랑스로 나타났다. 7개 국가만 천만톤 이상 생산하여 전체 점유율이 74.69%를 차지했다. 골재 수출액은 전년도 천연석 193.7억 달러, 인공석 109.3억 달러와 비교하여 천연석은 23.1억 달러, 인공석은 26.6억 달러 증가해 각각 216.8억 달러, 135.9억 달러로 나타났다. 모래 수출액은 총 17.1억 달러이며 상위 국가 순위는 미국, 네델란드, 독일 및 벨 기에으로 나타났으며, 4개 국가만 1억 달러이상 수출하여 전체 점유율이 57.70%을 차지했다. 자갈 수출액은 총 27.5억 달러이며 상위 국가 순위는 중국, 노르웨이, 독일, 벨기에, 프랑스 및 오스트리아로 나타났고, 6개 국가만 1 억 달러이상 수출하여 전체 점유율이 48.30%를 차지했다. 1950년대 이후 골재 채석은 인구 증가, 도시화, 기반 시 설 개발 및 생활방식의 변화로 인해 급속도로 증가했다. 또한 해수면 상승으로 인한 토지 간척 및 홍수 방지를 위 해 막대한 양의 골재를 필요로 한다. 2011∼2060년에 골재 채석 규모와 수요가 연간 24Gt에서 55Gt로 두배로 증 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골재 채취로 피해를 받는 생태계를 돌이킬 수 없는 상황까지 진행될 가능성이 높으 며, 세계적으로 골재 부족과 사회적 갈등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Aggregate is used to produce stable materials like concrete and asphalt and is fundamental to meet the social needs of housing, industry, road, energy and health. A total of 42.35 billion tons of aggregate were produced in 2021 worldwide, an increase of 0.91% compared to the previous year. Among them, 2 billion tons were produced in China, India, European Union and United States, making up to 71.75% of the share. South Korea has witnessed a constant increase in aggregate production, overtaking Mexico and Japan for seventh place with 390 million tons and 0.85% of the share. The industrial sand and gravel produced globally amounted to 352.66 million tons. The top seven countries with the highest production were China, United States, Netherlands, Italy, India, Turkey and France, and their production exceeded 10 million tons and held a share of 74.69%. Exports of natural rock recorded $21.68 billion in 2021, increased by $2.3 billion compared to the previous year, while exports of artificial rock increased by $2.66 billion to $13.59 billion. Exports of sand reached $1.71 billion with United States, Netherlands, Germany and Belgium being the four countries with the highest exports of sand. The four countries exported more than $100 million in sand and took up 57.70% of the total amount. Exports of gravel totaled $2.75 billion, with China, Norway, Germany, Belgium, France and Austria in the lead, making up to 48.30% of the total share. The aggregate quarry started to surge in the 1950s due to the change in people’s lifestyle such as population growth, urbanization and infrastructure delvelopment. Demand for aggregate is also skyrocketing to prevent land reclamation and flood caused by sea-level rise. Demand for aggregate, which was around 24 gigatons in 2011, is expected to double to 55 gigatons in 2060. However, it is likely that aggregate extraction will heavily damage the ecosystem and the world will eventually face a shortage of aggregate followed by tense social conflict.

목차
국내외 골재산업 동향 연구
    요약
    Abstract
    서언
    골재 생산
    골재 수출
    우리나라 골재 현황
    결론
저자
  • 채광석(국립산림과학원 산림생태연구과) | Kwang-Seok Chea (Forest Ecology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Seoul, Korea)
  • 구남인(국립산림과학원 산림생태연구과) | Namin Koo (Forest Ecology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Seoul, Korea)
  • 이영근(국립산림과학원 산림생태연구과) | Young Geun Lee (Forest Ecology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Seoul, Korea)
  • 양희문(국립산림과학원 산림생태연구과) | Hee Moon Yang (Forest Ecology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Seoul, Korea)
  • 박기형(국립산림과학원 산림생태연구과) | Ki Hyung Park (Forest Ecology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Seoul, Korea)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