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구봉 금-은 광상일대 시추코아(04-1)에서 산출되는 함 티타늄 광물들의 산상과 화학조성 KCI 등재

Occurrence and Chemical Composition of Ti-bearing Minerals from Drilling Core (No.04-1) at Gubong Au-Ag Deposit Area, Republic of Kore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28052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광물과 암석 (Korean Journal of Mineralogy and Petrology)
한국광물학회 (The Mineralogical Society Off Korea)
초록

구봉 금-은 광상은 선캠브리아기의 변성퇴적암류내에 발달된 열극대를 충진한 8개조의 석영맥으로 구성 된 조산형과 intrusion-related형이 혼합된 광상으로 과거 한국에서 가장 큰 금-은 광상들 중의 하나였다. 대한광업 진흥공사는 이 광상의 남부에서 시추(90-12)를 통한 심도 -728 ML에서 27.9 g/t Au 품위를 갖는 0.9 m 폭을 갖는 석영맥(6호맥)을 착맥하였으며 2004년 재차 6호맥의 재개발 가능성 검토를 위해 시추(04-1)를 수행하였다. 2004년 시추 현장에서 모암, 모암변질 및 석영맥 시료들(04-1)을 채취하여 함 티타늄 광물들(티탄철석, 금홍석)의 산상과 화학조성을 연구하였다. 심도 -275 ML의 광화대에서 관찰되는 금홍석은 모암변질대에서 칼리장석, 흑운모, 석영, 방해석, 녹니석 및 황철석과 함께 산출된다. 심도 -779 ML의 광맥(6호맥)에서 관찰되는 티탄철석과 금홍석은 모 암변질대와 석영맥에서 백색운모, 녹니석, 인회석, 저어콘, 석영, 방해석, 자류철석 및 황철석과 함께 산출된다. 이 들 광물조합을 토대로, 금홍석은 열수 용액에 의한 모암내 Ti을 풍부하게 함유한 흑운모의 열수변질작용(녹니석화 작용) 시 형성된 것으로 생각된다. 티탄철석은 최대 0.09 wt.% (HfO2), 0.39 wt.% (V2O3), 0.54 wt.% (BaO) 함 량이 함유되어 있다. 심도 -275 ML과 –779 ML에서 산출되는 금홍석의 화학조성을 비교하면, 심도 -779 ML의 광 맥(6호맥)의 금홍석에서 WO3, FeO 및 BaO 원소들의 함량이 높다. 이들 미량원소들은 심도 -275 ML의 금홍석 Ba2+ + Al3+ + Hf 4+ + (Nb5+, Ta5+) ↔ 3Ti4+ + Fe2+, 2V4+ + (W5+, Ta5+, Nb5+) ↔ 2Ti4+ + Al3+ + (Fe2+, Ba2+), Al3+ + V4+ + (Nb5+, Ta5+) ↔ 2Ti4+ + 2Fe2+, 심도 -779 ML의 금홍석 2(Fe2+, Ba2+) + Al3+ + (W5+, Nb5+, Ta5+) ↔ 2Ti4+ + (V4+, Hf4+), Fe2+ + Al3+ + Hf4+ + (W5+, Nb5+, Ta5+) ↔ 2Ti4+ + V4+ + Ba2+로써 치환관계가 있었다. 이들 자료와 기 연구된 조산형 금 광상에서 산출되는 함 티타늄 광물들의 화학조성과 비교 검토 본 결과, 구봉 광상의 금홍석 들은 다른 조산형 금 광상(운산 광상, Kori Kollo 광상, Big Bell 광상, Meguma 함 금 석영맥)들에서 산출되는 금 홍석들보다 상대적으로 산화 환경에서 형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The Gubong Au-Ag deposit consists of eight lens-shaped quartz veins. These veins have filled fractures along fault zones within Precambrian metasedimentary rock. This has been one of the largest deposits in Korea, and is geologically a mix of orogenic-type and intrusion-related types. Korea Mining Promotion Corporation drilled into a quartz vein (referred to as the No. 6 vein) with a width of 0.9 m and a grade of 27.9 g/t Au at a depth of -728 ML by drilling (No. 90-12) in the southern site of the deposit, To further investigate the potential redevelopment of the No. 6 vein, another drilling (No. 04-1) was carried out in 2004. In 2004, samples (wallrock, wallrock alteration and quartz vein) were collected from the No. 04-1 drilling core site to study the occurrence and chemical composition of Ti-bearing minerals (ilmenite, rutile). Rutile from mineralized zone at a depth of -275 ML occur minerals including K-feldspar, biotite, quartz, calcite, chlorite, pyrite in wallrock alteration zone. Ilmenite and rutile from ore vein (No. 6 vein) at a depth of -779 ML occur minerals including white mica, chlorite, apatite, zircon, quartz, calcite, pyrrhotite, pyrite in wallrock alteration zone and quartz vein. Based on mineral assemblage, rutile was formed by hydrothermal alteration (chloritization) of Ti-rich biotite in the wallrock. Chemical composition of ilmenite has maximum values of 0.09 wt.% (HfO2), 0.39 wt.% (V2O3) and 0.54 wt.% (BaO). Comparing the chemical composition of rutile at a depth -275 ML and -779 ML, Rutile at a depth of -779 ML is higher contents (WO3, FeO and BaO) than rutile at a depth of -275 ML. The substitutions of rutile at a depth of -275 ML and -779 ML are as followed : rutile at a depth of -275 ML Ba2+ + Al3+ + Hf4+ + (Nb5+, Ta5+) ↔ 3Ti4+ + Fe2+, 2V4+ + (W5+, Ta5+, Nb5+) ↔ 2Ti4+ + Al3+ + (Fe2+, Ba2+), Al3+ + V4++ (Nb5+, Ta5+) ↔ 2Ti4+ + 2Fe2+, rutile at a depth of -779 ML 2 (Fe2+, Ba2+) + Al3+ + (W5+, Nb5+, Ta5+) ↔ 2Ti4+ + (V4+, Hf4+), Fe2+ + Al3+ + Hf 4+ + (W5+, Nb5+, Ta5+) ↔ 2Ti4+ + V4+ + Ba2+, respectively. Based on these data and chemical composition of rutiles from orogenic-type deposits, rutiles from Gubong deposit was formed in a relatively oxidizing environment than the rutile from orogenictype deposits (Unsan deposit, Kori Kollo deposit, Big Bell deposit, Meguma gold-bearing quartz vein).

목차
구봉 금-은 광상일대 시추코아(04-1)에서 산출되는 함 티타늄 광물들의 산상과 화학조성
    요약
    Abstract
    서언
    주변지질 및 광상개요
    연구 방법
    결론 및 토의
    사 사
저자
  • 유봉철(한국지질자원연구원 희소금속광상연구센터,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광물·지하수자원학과) | Bong Chul Yoo (Critical Minerals Research Center,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Daejeon 34132, Korea, Department of Mineral and Groundwater Resources,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Daejeon 34113, Korea)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