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드라마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의 사회적 이슈 프레이밍 양상 연구 KCI 등재

A study on the framing of social issues in the drama “Weird Lawyer Woo Young-woo”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2805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300원
한국과 세계 (Korea and World Review)
한국국회학회 (Korea Society of Assembly Studies)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드라마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의 프레이밍 방식과 의미를 살 펴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사회학과 인지언어학의 프레임 개념으로 드라마의 이슈 프레이밍 양상을 분석해내는 연구 방법을 사용하였다. 2022년 방송된 드라마 “이 상한 변호사 우영우”는 자폐 스펙트럼 장애를 지닌 젊은 변호사의 사회 적응 과정 을 성공적으로 담아내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향상시켰을 뿐 아니라, 실제 사건과 판례를 기반으로 한 에피소드들을 통해 우리사회의 다양한 문제를 이슈화 하였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이 드라마가 어떤 문제들을 어떻게 이슈화하여 우리 사 회에 영향을 주었는지 살펴봄으로써 드라마의 사회적 기능을 밝혀보고자 했다. 분 석 결과 이 드라마는 장애인과 성소수자, 노인, 여성, 아동 등 사회적 약자와 소수 자에 대한 편견과 인식의 개선, 개인의 권리 존중, 평등과 정의 구현의 프레임을 구축하고 있었다. 또한 자폐 장애를 지니고 있는 주인공이 자신과 같은 약자의 입 장을 변호하며 재판에 임하는 과정을 보여줌으로써 이슈의 사회화를 강화하고 있 었다. 이 드라마의 방송 기간 중 사회적 약자와 소수자의 문제에 주목하는 다양한 이슈들이 부상했고, 시청자는 드라마가 제공한 공감과 공정, 상생의 프레임으로 그 이슈들을 바라보고 있었다.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가 수행한 이슈 프레이밍은 드 라마가 단순한 대중 오락물만이 아님을 보여준다. 드라마 콘텐츠의 경우 주로 산업 적 측면에서의 투자가 이루어져 왔으나, 드라마의 사회적 영향력을 고려한 보다 발 전적인 지원과 정책 수립이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This study explores the framing techniques and significance within the drama “Weird Lawyer Woo Young-woo," employing sociological and cognitive linguistic framing concepts. This drama highlighted the social challenges faced by a young lawyer with autism, enhancing public awareness about disabilities attempted to reveal the social function of drama by examining how this drama raised issues and influenced our societ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is drama established a framework for improving prejudice and awareness of socially vulnerable and minority groups respecting individual rights, and realizing equality and justice. Additionally, the socialization of the problem has been reinforced through episodes where the main character defends the underdog like herself. During the broadcast of this drama, various issues that focused on the problems of the socially underprivileged and minorities emerged. The issue framing performed by “Weird Lawyer Woo Young-woo” shows that the drama is not just a piece of popular entertainment. In the case of drama content, investments have mainly been made from the industrial aspect, but it is expected that more advanced support and policies will be established that take into account the social influence of dramas.

목차
I. 서론
II. 문헌 연구 및 이론적 논의
    1. 선행연구 검토
    2. 이론적 논의
III. 드라마 &quat;우영우&quat;의 프레이밍 양상
    1. 실화 기반의 에피소드: 프레임 형성
    2. ‘우영우’ 캐릭터와 언어: 프레임 강화
IV. 결론
저자
  • 고선희(서울예술대학교) | Seon-Hee Ko (Seoul Institute of the Ar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