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순례명상자의 참여 특성에 따른 영성적 웰빙, 삶의질, 회복경험 지각 차이 연구 KCI 등재

A study on perceived differences in spiritual well-being, quality of life, and recovery experience according to the participation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in pilgrimage meditat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2891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300원
동방문화와 사상 (East Asian Culture and Thought)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동양학연구소 (Institute of Oriental Studies)
초록

본 연구에서는 순례명상자의 참여 특성에 따른 영성적 웰빙, 삶의질, 회복 경험의 차이를 살펴봄으로써 각 참여 특성에 따라 순례명상자들의 경험을 세 분화하고 향후 순례명상 프로그램 구성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 으로 한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인도 순례명상에 참여한 순례명상자 85명으로 영성 적 웰빙, 삶의질, 회복경험 척도로 구성된 설문지를 활용하여 서면조사를 실 시하였다. 수집한 데이터는 SPSS 18.0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독립표 본 t-검정의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순례명상자의 영성적웰빙, 삶의질, 회 복경험에 대한 기술통계 분석을 실시한 결과, 영성적웰빙의 하위요인인 종교적웰빙, 영성적웰빙의 척도 전체, 실존적웰빙과 회복경험, 삶의질 순으로 평 균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순례명상자의 연령에 따른 영성적 웰빙, 삶의질, 회복경험의 차이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셋째, 순례명상자의 참여계기에 따른 영성적 웰빙, 삶의질, 회복경험의 차이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넷째, 순례명상 자의 참여목적에 따른 영성적 웰빙, 삶의질, 회복경험의 차이에서는 영성적웰 빙의 하위요인인 실존적웰빙, 회복경험, 삶의질의 평균이 참여목적에 따라 차 이가 없었으며, 불교신행이 참여목적인 경우가 심리적인 도움이 참여목적인 경우에 비해 영성적웰빙의 하위요인인 종교적웰빙과 척도 전체의 평균이 유 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순례명상을 경험한 참여자를 대상으로 그들의 심리적 변인에 대 해 경험적으로 확인이고 순례명상의 의미에 대해서 고찰하였다는데 그 의의 가 있다. 주제어: 순례명상자, 참여 특성, 영성적 웨빙, 삶의질, 회복경험.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bdivide the experience of pilgrimage meditation participants according to each participation characteristic by examining the differences in spiritual well-being, quality of life, and recovery experience according to the participation characteristics of pilgrimage meditation participants, and to provide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construction of future pilgrimage meditation program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85 participants in pilgrimage meditation in India, and a written survey was conducted using a questionnaire consisting of spiritual well-being, quality of life, and recovery experience scal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d independent sample t-test using SPSS 18.0. First, as a result of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on the spiritual well-being, quality of life, and recovery experience of pilgrimage meditation participants, religious well-being, which is a sub-factor of spiritual well-being, overall scale of spiritual well-being, existential well-being and recovery experience, and quality of life were ranked high on average. Second, the difference in spiritual well-being, quality of life, and recovery experience according to the age of participants in pilgrimage meditation was not significant. Third, the difference in spiritual well-being, quality of life, and recovery experience according to the motivation of participants in pilgrimage meditation was not significant. Fourth, the difference in spiritual well-being, quality of life, and recovery experience according to the purpose of participation of pilgrimage meditation participants did not differ in the average of existential well-being, which is a sub-factor of spiritual well-being, recovery experience, and quality of life. In the case where the purpose of participation in pilgrimage meditation was Buddhist Faith and Practice, the mean of religious well-being, which is a sub-factor of spiritual well-being and overall scale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the case of psychological help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1. 연구대상
    2. 조사 내용
    3. 자료수집 방법
    4. 자료분석 방법
Ⅲ. 연구결과
    1. 순례명상자의 영성적 웰빙, 삶의질, 회복경험 기술통계결과
    2. 순례명상자의 연령에 따른 영성적 웰빙, 삶의질,회복경험의 차이
    3. 순례명상자의 참여계기에 따른 영성적 웰빙, 삶의질,회복경험의 차이
    4. 순례명상자의 참여목적에 따른 영성적 웰빙, 삶의질,회복경험의 차이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저자
  • 염중섭(중앙승가대학교 불교학부 부교수) | Youm Jung-Seop (Joongang Sangha Univ.)
  • 손강숙(중앙승가대학교 불교사회학부 부교수) | Shon Kang-Suk (Joongang Sangha Univ.) Corresponding author
  • 신방현(중앙승가대학교 불교학부 박사과정) | Shin Bang-Hyun (Joongang Sangha Univ.)
  • 정소미(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특임교수) | Jeong So-Mi (Ewha Womans Univ.)
  • 문진건(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명상심리상담학과 조교수) | Moon Kin-Keon (Dongbang Culture Uni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