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A Study on the Constitutional Implications of Democratic Backsliding KCI 등재

민주주의 역행(Back-sliding)의 헌법 이론적 함의에 관한 고찰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2892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700원
사회적질연구 (Korean Journal of Social Quality)
한국인문사회질학회 (Korean Association on Humanities & Social Quality)
초록

본 논문은 민주주의 역행이라는 전지구적 현상과 관련된 여러 논의와 국내외 현실을 고찰하고, 우리 헌 법의 해석과 구체화, 나아가 개정에 대한 시사점을 정리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민주주의 역행은 “기존 민주주의를 지탱하는 정치제도를 국가 주도로 약화하거나 제거함을 의미”한다. 여기에 포함되는 현대적 유 형에는 ‘약속 쿠데타’, ‘정부 확대’, ‘전략적 선거 조작’과 같은 것이 있다. 민주주의 역행의 유인으로는 ‘정치적 양극화’, ‘조작과 편향에 취약한 뉴미디어의 구조적 특징’, ‘입법부의 취약성’ 등이 있다. 우리나라 에도 민주주의 위기가 나타나고 있다는 데에 많은 이들이 동의하고 있고, 따라서 민주주의 역행을 막기 위한 헌법학적 대응이 필요한 상황이다. 첫째, 헌법 해석을 통해 자유민주주의라는 헌법의 기본원리에 대한 해석을 공고히 하여 민주주의 역행 구조를 폭로하고 경계심을 촉구하는 역할을 할 필요가 있다. 둘째, 헌법 의 구체화 측면에서 국회는 민주주의 역행 방지를 위한 종합적·사전적 대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셋째, 헌법재판소는 민주주의 역행의 도구로 악용되지 않도록 ‘기능법적 한계’를 준수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넷째, 개헌이 민주주의 역행의 중대한 계기 또는 트로피로 전락하는 일이 없도록 경계해야 한다.

This paper was written with the research purpose of ‘considering academic discussions and domestic and international realities related to democratic backsliding, and summarizing implications for the interpretation, specification, and revision of the Constitution of Korea.’ According to Nancy Bermeo, democratic backsliding means “the state-led weakening or elimination of the political system that supports existing democracy.” Types of democratic backsliding today include ‘promissory coup,’ ‘executive aggrandizement,’ and ‘manipulating elections strategically.’ Today, some causes for democratic backsliding include political polarization,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new media and attempts to manipulate it, and vulnerable legislatures. Many agree that the crisis of democracy is emerging in Korea as well. In order to prevent this, certain measures are needed and some of them are as follows: First, constitutional interpretation must solidify liberal democracy, which is the interpretation of the basic principle of the Constitution. Second, in terms of specifying the Constitution, the National Assembly must prepare comprehensive and proactive measures to prevent democratic regression. Third, the Constitutional Court must strive to comply with ‘functional legal limits’ to prevent it from being abused as a means of reversing democracy. Fourth and lastly, we must also pay attention to constitutional revision as it could turn into either a crucial opportunity or a trophy for the regression of democracy.

목차
Ⅰ. 서론
Ⅱ. 민주주의 역행의 의의
    1. 민주주의 역행의 기본적 의미와 유형
    2. 민주주의 역행의 현대적 의미와 유형
    3. 민주주의 역행의 특징
    4. 민주주의 역행의 유인
Ⅲ. 한국의 민주주의 역행과 헌법(학)적 대응
    1. 한국 민주주의 역행의 현황
    2. 민주주의 역행에 대한 헌법학적 대응(Ⅰ) : 자유민주주의 이념에 충실한 헌법해석
    3. 민주주의 역행에 대한 헌법학적 대응(Ⅱ) : 헌법의 구체화 과정에서 입법과 헌법재판의역할
    4. 민주주의 역행에 대한 헌법학적 대응(Ⅲ) : 개헌의 도구화에 대한 경계
Ⅳ. 결론
참고문헌
저자
  • Cho Han-sang(Professor, Dept. of Law, Cheongju University, South Korea) | 조한상 (청주대학교 법학과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