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Inquiry into the Advancement and Utility Value of Digital Art History
오늘날 디지털 환경은 인간과 사회를 통찰할 수 있는 새로운 이정표를 제시하며 지식 생산 전반의 혁신을 견인하고 있다. 이에 해외 학계에서는 ‘디지털 미술사’ 분과를 출범하여 미술사 연구 과정에 디지털 기술을 본격적으로 도입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디지털 시대에 조응하는 ‘동시대의 미술사’이자 전통 미술사 담론에 새로운 지식과 질문을 제안할 ‘미래의 미술사’로의 전환을 꾀하고 있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디지털 미술사에 대한 인식 부족 및 그 필요성과 유용성에 대한 논의가 부족한 바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미술사가 태동하게 된 계기와 국내・외 디지털 미술사의 상이한 발전 과정 속 특기할만한 차이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또한 디지털 미술사의 대표적 연구 방법론인 공학적 분석을 통한 화풍 정량화 및 이를 통한 실질적 연구 사례들을 소개함으로써 디지털 미술사의 효용 가치 및 현실적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본고의 이러한 고찰은 디지털 미술사가 국내 학계에 성공적으로 안착하기 위한 현실적 제반 상황들을 살펴보기 위함으로, 본고를 통해 ‘디지털화된’ 미술사가 아닌 ‘디지털’ 미술사로의 방향성을 정립할 수 있기를, 나아가 미술사 연구의 외연 확장을 도모할 수 있기를 바라는 바이다.
The contemporary digital milieu not only marks significant milestones but also yields profound insights into human behavior and societal dynamics, catalyzing innovative strides in knowledge production. Against this backdrop, academic communities worldwide have initiated work in the scholarly domain of digital art history, comprehensively assimilating digital technology into art historical inquiry processes. However, within Korea, a noticeable gap persists in recognizing digital art history, and it is coupled with a limited discourse on its imperative and utilitarian dimensions. This study aims to elucidate the emergence of digital art history, emphasizing notable differences in its developmental trajectory between Korea and other nations. Additionally, through the application of image-processing techniques to quantify artistic styles, this research aims to demonstrate the utility value and propose developmental directions for digital art history. The objective is to guide the trajectory of “digital” art history, diverging from a mere “digitized” rendition of traditional art history, and contribute substantively to the broader discourse within the realm of art historical re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