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국내 목재데크에 사용되는 수입 목재의 자연내후성 평가 KCI 등재

Evaluation of the Durability of Imported Woods Used for Domestic Wood Decking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2914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농업생명과학연구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Institut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초록

본 연구는 방부처리 없이 목재데크에 사용되는 수입 목재들의 자연내후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진주 근교의 야외시험장에서 시행된 4년의 지상근접시험(Ground Proximity Test)을 통해 꾸마루, 말라스, 멀바우, 이페, 자토바의 목재부후균 및 흰개미 저항성을 평가하였다. AWPA E7 방식에 의해 매년 2회 정기점검이 실시되었으며 야외노출시험이 종료된 후 목재 시편의 밀도 프로파일 측정을 통해 부위별 부후 정도가 조사되었 다. 다섯 수종 모두 평가 등급이 9.8 이상으로 목재부후균 및 흰개미에 의한 피해가 거의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부 시편의 경우 목구면 부근에서 밀도가 약간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주었지만, 대부분은 밀도 변화가 거의 발생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이들 수종이 방부처리 없이 국내 목재사용환경범주 H3 (실외 비접지 환경)에 사용할 수 있는 충분한 내구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natural durability of imported woods used for domestic wood decking without preservative treatment. Wood decay fungus and termite resistance of kumaru, malas, merbau, ife, and zatoba were evaluated through a 4-year ground proximity test at an outdoor test site located in Jinju. Annual regular inspection was conducted twice a year according to the AWPA E 18 method, and after the experiment was completed the density profile of each wood specimen was measured to investigate the degree of decay. All five wood species had an injury grade of 9.8 or higher, indicating that almost no damage by wood decay fungi and termites occurred. Some specimens showed a slight decrease in density near the end parts but most of them showed little change in density. These results mean that these species have sufficient durability to be used in the domestic wood use environment category H3 (environment not in contact with the ground) without preservative treatment.

목차
서론
재료 및 방법
    1. 시편준비
    2. 야외노출시험
    3. 목재의 내구성 평가
    4. 목재의 밀도 프로파일 측정
    5. 야외시험장 목재부후지수 결정
결과 및 고찰
References
저자
  • 나종범(경상국립대학교 인테리어재료공학과 교수) | Jong Bum Ra (prfessor, Department of Interior Materials Engineering,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Jinju, Gyeongnam, 52725, Korea)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