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가구의 가공식품비 결정요인 분석 KCI 등재

An Analysis of Determinants of Households’ Expenditures on Processed Food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2914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800원
농업생명과학연구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Institut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초록

이 논문은 통계청 가계동향조사 원시자료를 이용하여 가공식품비 지출액 결정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가구 특성과 가구주 특성이 가공식품비 지출액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토빗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특히, 총 13개의 가공식품 부류별로 분석함으로써 가구 특성과 가구주 특성이 월평균 1인당 지출액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가공식품 부류별로 비교·분석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도시가구가 농촌가구보다 곡물가공품, 빵 및 떡류, 기타식품, 쥬스 및 기타음료류에 대해 더 많은 지출을 하는 반면, 수산가공품, 유지류, 과일 및 채소 가공품, 조미식품, 커피 및 차류에 대한 지출은 더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1인 가구의 경우, 2인 이상 가구보다 곡물가공품, 빵 및 떡류, 당류 및 과자류, 기타식품, 커피 및 차류, 쥬스 및 기타음료류에 높은 지출액을 보였지만, 육류가공품, 유지류, 과일 및 채소가공품, 조미식품에는 낮은 지출액을 보였다. 또한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대부분의 가공식품 지출액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맞벌이가구의 경우 그렇지 않은 가구와 비교해 많은 부류에서 지출액이 높았다. 남성 가구주인 경우 곡물 및 육류가공품, 기타식품, 커피 및 차, 쥬스 및 음료에 대한 지출액이 여성 가구주일 때보다 높았다. 우리는 가공식품 지출액이 인구사회학적 요인에 따라 크게 달라짐을 보였다. 또한, 가공식품 부류에 따라 그 영향의 정도뿐 아니라 방향도 크게 차이날 수 있음을 밝혔다. 이는 식품제조업계와 유통업계가 가구와 가구주 특성을 고려한 마케팅 전략을 마련해야 함을 시사한다. 더욱이, 정책 입안자들은 식품 부류를 충분히 고려하여 식품산업 정책과 식생활 정책을 설계하길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processed food expenditures by utilizing the Household Income and Expenditure Survey. By scrutinizing 13 categories of processed foods, we investigated how household and household head characteristics impact the average monthly per capita spending on processed foods. The findings revealed that urban households are likely to spend more on processed grain products, bread/rice cakes, other foods, and tea/beverage/alcohol than rural households. In contrast, they spend less on processed seafood products, oils/fats, processed fruits and vegetables, oil/seasonings, and coffee/teas. It also found that single-person households are likely to spend more on cereal processed foods, bread/rice cakes, sugar/confectionery, other foods, coffee/tea, and tea/beverage/alcohol than two-person households. On the other hand, they showed low expenditures on meat processed foods, oils/fats, processed fruits and vegetables, and oil/seasonings. Additionally, our results show that the higher the income level, the more the spending on most processed foods. In the case of dual-income households, expenditures are likely to be higher in many categories compared to non-dual-income households. For male household heads, expenditures on cereal and meat processed foods, other foods, coffee/tea, and tea/beverage/alcohol are likely to be higher than for female household heads. Processed food expenditure varies wildly on these factors, and the influence of socio-demographic factors on it varies both in the direction and magnitude across food categories. Consequently, the food industry should map out marketing strategie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household and its head. Moreover, policymakers should consider these insights when designing public policy for the food industry, food consumption, and diet.

목차
서론
재료 및 방법
    1. 분석자료
    2. 분석모형
결과 및 고찰
    1. 총식품비 및 식품소비 유형별 지출액 결정요인 분석
    2. 가공식품 부류별 지출액 결정요인 분석
감사의 글
References
저자
  • 문동현(경상국립대학교 식품자원경제학과 조교수, 농업생명과학연구원 책임연구원) | Dong Hyun Moon (Assistant Professor, Department of Food and Resource Economics / Institut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Jinju, 52828, Korea) Corresponding author
  • 이계임(한국농촌경제연구원 식량경제연구본부 선임연구위원) | Kye Im Lee (Senior Research Fellow, Department of Food and Agriculture Economic Research,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Naju, 58321, Korea)
  • 박미성(한국농촌경제연구원 식량경제연구본부 연구위원) | Mi Sung Park (Research Fellow, Department of Food and Agriculture Economic Research,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Naju, 58321,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