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한탄강 세계지질공원 연천 지역의 자기-안내식 해설 매체를 통한 스스로 이해 가능 정도: 이독성과 교육과정 관련성을 중심으로 KCI 등재

Degree of Self-Understanding Through “Self-Guided Interpretation” in Yeoncheon, Hantan River UNESCO Geopark: Focusing on Readability and Curriculum Relevanc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2926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500원
한국지구과학회지 (The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한국지구과학회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한탄강 세계지질공원 연천 지역의 “자기-안내식 해설” 매체가 방문객이 이해하기 쉽고 배경 지식수준에 맞춰 작성되어 있는지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22년 9월과 11월 2차례에 걸쳐 한탄강 세계지질공원 을 현장 조사하고, 지질명소의 형성 시대와 지질 특성이 다양한 연천 지역을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천 지역에 존재하는 총 36개의 자기-안내식 해설 매체를 대상으로 지질명소별 해설 매체의 현황, 이독성 수준, 그래픽의 특성, 과 학과 교육과정 반영 정도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연천 지역 해설 매체 종류는 안내판이 가장 많고, 지질명소를 안내 한 내용이 주를 이루었다. 해설 매체 텍스트의 분량은 12학년 과학 교과서보다 많고, 평균 어휘 등급은 11-12학년군 과 학 교과서 수준과 유사하고, 복문의 비율이 높아 이독성이 다소 낮았다. 해설 매체에 포함된 그래픽의 종류는 사진이 가장 많고, 대부분 예시적 기능이며, 다중 구조 그래픽이 사용되어, 지질 형성 과정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해설 매체에서 사용하는 과학 용어 중 86.3%가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고체지구” 영역에 포함된 용어를 사용하였으며, 교육 과정에 포함된 과학 용어는 4학년 수준의 용어가 가장 많았다. 선택 교육과정인 11학년 수준의 용어가 두 번째로 많고, 전체 과학 용어 중 13.7%는 교육과정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용어였다. 또한, 지질명소에 따라 해설 매체에 사용된 과 학 용어 수준 차이가 나타났으며, 특히 안내판보다 홈페이지에 사용된 용어 수준이 일반적으로 높은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연천 지역의 지질명소별 해설 매체에 따라 방문객 스스로 이해하는 데 어려움을 주는 요인을 구체적 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일반 관람객의 지질자원 교육을 활성화하고 지질학 분야의 발전을 기대할 수 있는 자기-안내식 해설 매체의 개선 방향에 대한 후속 연구를 제언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whether the “self-guided interpretation” media in the Yeoncheon area of the Hantangang River UNESCO Geopark are intelligible for visitors. Accordingly, two on-site investigations were conducted in the Hantangang River Global Geopark in September and November 2022. The Yeoncheon area, known for its diverse geological features and the era of geological attraction formation, was selected for analysis. We analyzed the readability levels, graphic characteristics, and alignment with science curriculum of the interpretive media specific to geological sites among a total of 36 self-guided interpretive media in the Yeoncheon area. Results indicated that information boards, primarily offering guidance on geological attractions, were the most prevalent type of interpretive media in the Yeoncheon area. The quantity of text in explanatory media surpassed that of a 12 th -grade science textbook. The average vocabulary grade was similar to that of 11 th - and 12 th -grade science textbooks, with somewhat reduced readability due to a high occurrence of complex sentences. Predominant graphic types included illustrative photographs, aiding comprehension of the geological formation process through multi-structure graphics. Regarding scientific terms used in the interpretive media, 86.3% of the terms were within the “Solid Earth” section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with the majority being at the 4 th -grade level. The 11 th -grade optional curriculum terms comprised the second largest portion, and 13.7% of all science terms were from outside the curriculum. Notably, variations in the scientific terminology's complexity was based on geological attractions. Specifically, the terminology level on the homepage tended to be generally higher than that on information boards. Through these findings, specific factors impeding visitor comprehension of geological attractions in the Yeoncheon area, based on the interpretation medium, were identified. We suggest further research to effect improvements in self-guided interpretation media, fostering geological resource education for general visitors and anticipating advancements in geology education.

목차
서 론
연구 방법
    분석 대상
    분석 절차
    분석 방법
연구 결과 및 논의
    해설 매체의 현황(종류, 내용) 분석 결과
    해설 매체의 이독성 양적 요인(분량, 문장, 어휘)분석 결과
    해설 매체의 그래픽 특성(종류, 면적, 기능, 구조)분석 결과
    해설 매체의 교육과정 반영 정도 분석 결과
결론 및 제언
사 사
저자
  • 김민지(숙명여자고등학교, 06277, 서울특별시 강남구 남부순환로 2807) | Min Ji Kim (Sookmyung Girls’ High School, Seoul 06277, Korea)
  • 김찬종(서울대학교, 08826,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 1) | Chan-Jong Kim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08826, Korea)
  • 유은정(한국교육과정평가원, 27873, 충청북도 진천군 덕산읍 교학로 8) | Eun-Jeong Yu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Chungcheong 27873, Korea)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