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Induction of 2n Gametes in Oriental Lily Hybrids ‘Medusa’ and ‘Marco Polo’ Utilizing N2O Gas KCI 등재

N2O Gas를 이용한 Oriental 백합 ‘Medusa’와 ‘Marco Polo’의 2n Gametes 형성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2929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500원
화훼연구 (Flower Research Journal)
한국화훼학회 (Korean Society for Floricultural Science)
초록

백합 종간 교잡종은 다양한 교배 방법에 의해 생산되어지 고 있다. 그러나 이들 종간 교잡종은 대부분 불임이다. 2n gametes는 백합에서 종간 교잡종 F1의 불임을 극복할 수 있 을 뿐 아니라 우수한 유전형질을 지닌 2n과의 교배에 이용할 수 있고 후대 다양한 유전형질을 기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가장 효과적으로 2n gametes를 생산할 수 있는 방법을 구축하기 위하여 백합 Oriental hybrids ‘Medusa’와 ‘Marco Polo’에 N2O를 처리하였다. 같은 Oriental 그룹 내 에서도 ‘Medusa’와 ‘Marco Polo’는 화뢰 크기별 감수분열 시기가 달랐다. 감수분열 tetrad 시기에 염색체를 관찰한 결 과 sequential spindles, tripolar spindles에 의해 2가지 다른 형태가 관찰되었다. ‘Medusa’에서 2atm의 N2O를 처리 한 화뢰 길이 10~15mm와 20~25mm에서 monad, dyad, triad, tetrad가 관찰되었다. 그러나 4atm에서는 tetrad 이외에는 검경 되지 않았다. ‘Marco polo’의 경우 화뢰 길 이 10~15mm, 25~30mm 시기에 2, 4atm의 N2O를 12, 24 시간 동안 처리한 구에서 모두 dyad, triad가 관찰되었다. ‘Medusa’, ‘Marco Polo’ 모두 dyad, triad, tetrad가 관찰 된 시기는 대조구에서 interphase와 metaphase Ⅰ에 해당 하는 시기이다. 화분의 모양은 타원형으로 처리 전·후 변화가 없었으며 처리 후 화분의 크기는 n 보다 큰 화분뿐 아니라 작 은 화분도 관찰되어 전체적으로 다양했다. 화분의 임성과 발 아율은 처리구별로 차이가 없었으나 평균적으로 처리 후가 무처리구보다 임성은 약 10%, 발아는 약 20% 정도 떨어졌다. ‘Medusa’와 ‘Marco Polo’를 이용하여 N2O를 처리한 것과 처리하지 않은 것을 정역 교배하였을 때 자방이 비대 되는 형 태가 2가지이었으나 처리 별 차이는 아니었다. 획득된 식물체 를 Flow cytometry로 검정한 결과, 무처리 ‘Marco Polo’와 2atm 24시간 32mm에 처리한 ‘Medusa’의 교배를 통해 하 나의 식물체에서 2배체와 3배체가 모두 나오는 mixoploid를 확인할 수 있었다. 그 외 실험을 통해 얻은 식물체 중에서 이 수체가 4개 발견되었다. 확실한 3배체를 가진 식물체는 관찰 할 수 없었다.

목차
서 언
재료 및 방법
    식물재료 및 N2O(Nitrous oxide) gas 처리
    화뢰크기별 감수분열 단계 검경
    N2O 처리 후의 화분크기 및 임성, 발아율
    N2O 처리 식물체를 이용한 교배와 후대의 배수성 검정
결과 및 고찰
    화뢰크기별 감수분열 단계 검경
    N2O 처리 후 감수분열의 tetrad 시기 관찰
    N2O 처리에 의한 sporads의 검경
    N2O 처리 후의 화분크기 및 임성, 발아율
    N2O 처리 식물체를 이용한 교배와 후대의 배수성 검경
초 록
사 사
References
저자
  • Song Kyung Park(Department of Horticultural Scienc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41566, Korea) | 박송경 (경북대학교 원예과학과)
  • Yun-Jae Ahn(Department of Horticultural Scienc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41566, Korea,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41566, Korea) | 안윤재 (경북대학교 원예과학과, 경북대학교 농업과학기술연구소)
  • Yoon-Jung Hwang(Department of Convergence Science, Sahmyook University, Seoul 01795, Korea) | 황윤정 (삼육대학교 화학생명공학과)
  • Ki-Byung Lim(Department of Horticultural Scienc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41566, Korea,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41566, Korea) | 임기병 (경북대학교 원예과학과, 경북대학교 농업과학기술연구소)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