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Prediction of Vase Life through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Smart Greenhouse Environments by Cultivation Methods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Cut Flowers in Standard Rose KCI 등재

스탠다드 장미의 재배방식별 스마트 온실 환경 및 절화 품질 특성 간의 상관 관계 분석을 통한 절화수명 예측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2929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900원
화훼연구 (Flower Research Journal)
한국화훼학회 (Korean Society for Floricultural Science)
초록

이 연구는 1세대 스마트 온실의 재배환경 데이터와 장미 절 화의 품질 특성 데이터를 수집하고 그 요인들 간의 상관 관계 를 분석하여 절화수명 예측 및 최적 환경 조성의 기초 자료를 얻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토경재배(SC) 및 암면배지경 양액재배(RWH) 하우스 각 1개소를 선정하여 1년간 기온, 상 대습도(RH) 및 수증기압차(VPD), 일적산광량(DLI), 근권온도 등의 환경 데이터와 매월 말 수확된 장미 ‘Miss Holland’ 절 화의 품질 특성 데이터를 수집하였으며, 이 데이터와 절화수 명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절화수명은 10월과 11월을 제외하고는 SC 하우스에서 RWH 하우스보다 더 길었다. 절 화수명과 환경 및 생육 특성 간의 상관관계 분석에서 SC 하우 스의 상관계수는 RWH 하우스보다 조금 더 높았으며, 절화수 명 예측을 위한 요소들도 두 하우스 간에 차이가 있었다. SC 하우스의 절화수명 Y=0.848X1+0.366X2-0.591X3+2.224X4- 0.171X5+0.47X6+0.321X7+9.836X8-110.219(X1-X8: 최고 RH, RH 일교차, DLI, pH, Hunter’s b value, EC, 절화 장, 잎 두께; R2=0.544)로 예측되었고, RWH 하우스의 절화수명 Y=-1.291X1+52.026X2-0.094X3+0.448X4-3.84X5+0.624X6 - 8.528X7+28.45(X1-X7: 경경, 야간 VPD, 최고 근권온도, 최 저 근권온도, 기온 일교차, RH 일교차, 최고 VPD; R2=0.5243) 로 예측되었다. 이 두 모델식으로부터 SC 하우스에서는 RH, EC 및 pH가, 그리고 RWH 하우스에서는 근권 온도가 절화수명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추론할 수 있다. 따라서 각 재배 방법에 따라 장미의 절화수명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환경적 요인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필요가 있다.

목차
제목없음
서 언
재료 및 방법
    플라스틱 하우스 선정 및 환경 특성
    하우스 환경 데이터 수집 및 분석
    절화의 수확 시 품질 특성 조사
    절화의 수확후 품질 특성 조사
    통계분석
결과 및 고찰
    재배방식에 따른 하우스 환경 특성 비교
    월별 절화 품질 특성
    절화수명 및 흡수량
    절화수명과 생육 및 환경 요소의 주성분 분석
    절화수명 예측
초 록
사 사
References
저자
  • Jeong Bin Jeon(Department of Horticulture and Life Science, Yeungnam University, Gyeongsan 38541, Korea) | 전정빈 (영남대학교 원예생명과학과)
  • Min Jung Lee(Department of Horticulture and Life Science, Yeungnam University, Gyeongsan 38541, Korea) | 이민정 (영남대학교 원예생명과학과)
  • Byung-chun In(Department of Smart Horticultural Science, Andong National University, Andong 36729, Korea) | 인병천 (국립안동대학교 스마트원예과학과)
  • Wook Oh(Department of Horticultural Science, Jeju National University, Jeju 63243, Korea) | 오욱 (제주대학교 생물산업학부 원예환경전공)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