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A Spray Chrysanthemum Cultivar ‘Pinky Lang’ with Pink Petal, Single Type, and Stable Flowering Strategy in High Temperature Period KCI 등재

고온기 안정 개화형 분홍색 홑꽃 스프레이 국화 ‘핑키랑’ 품종 육성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2930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화훼연구 (Flower Research Journal)
한국화훼학회 (Korean Society for Floricultural Science)
초록

충청남도농업기술원 화훼연구소에서 2021년에 개발된 ‘Pinky Lang’은 분홍색 홑꽃 타입의 스프레이 국화 신품종 이다. ‘Pinky Lang’은 2016년 10월에 육종 하우스 내에서 2016년에 순백색의 진한 녹심이 매력적인 품종으로써 선발 된 백색 홑꽃의 ‘Bodre’ 품종을 방임 수분하여 48개의 종자 를 채취했다. 채취한 종자를 2017년 파종한 뒤 우수개체로 선발되어 2017년부터 2020년까지 4년간 촉성, 억제, 자연개 화 작형별 주년생산성 검정을 수행하여 선발된 우수계통을 ‘SP17-425-01’이라 계통명을 부여하였다. 2020년 최종적으 로 우수한 계통으로써 평가 및 심의를 받은 뒤 ‘충남SP-68 호’로 명명하였고, 당해 년도 12월 직무육성 신품종 선정위원 회를 통과하여 품종명은 ‘Pinky Lang’으로 하였다. ‘Pinky Lang’은 고온기에 화색이 변하지 않고 녹심이 매우 진하며 줄 기가 튼튼한 품종이다. 여름철 흰녹병에도 강하여 고온기 수출 품종으로 적합하다고 판단되었다. ‘Pinky Lang’은 연중 3 작기 재배테스트에서 단일처리 후 개화소요일수는 자연개화 작형 52일, 촉성작형 49일, 억제작형 50일이었고, ‘Yes Luna’ 는 각각 51일, 52일, 52일로 전반적으로 개화소요일수가 짧 았다. ‘Pinky Lang’의 절화장과 줄기굵기는 각각 104.5cm, 4.71mm으로 ‘Yes Luna’가 109.5cm, 4.25mm인 것에 비 해 5cm정도 짧았고 줄기굵기는 0.46mm 더 굵었다. ‘Pinky Lang’의 꽃 크기는 5.6cm이고 ‘Yes Luna’는 6.8cm로 1.2cm 작았다. ‘Pinky Lang’의 한 줄기에 달리는 꽃의 수와 한 송이 당 꽃잎수는 각각 27.7개, 30.9매였고, ‘Yes Luna’ 는 각각 18.0개, 37.0매인 것으로 착화수는 9.7개 많았고 꽃 잎수는 6.1매 적었다. 여름철 재배테스트를 통해 확인해본 결 과 흰녹병 저항성이 높은 경향을 확인하지만, 1~10% 정도의 병반을 보여 완전저항성을 가지진 못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자연개화 작형에서 절화수명의 경우는 24.5일로 ‘Yes Luna’ 에 비해 2.1일 길었다. ‘Pinky Lang’은 과습한 경우 줄기가 연약해질 수 있기 때문에 생장억제제인 Daminozide를 처리 하여 줄기를 강건하게 하고 절화 품질의 균일도를 높여 고온 기 재배에 안정적인 생산이 가능하여 수출할 수 있다.

목차
서 언
재료 및 방법
    품종육성 및 생육조사
    육성 품종 DNA profiling
    통계 분석
결과 및 고찰
    육성경위
    품종의 주요특성
    재배 시 유의점
초 록
사 사
References
저자
  • Eun-Ah Joh(Flower Research Institute,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 Chungnam province 32425, Korea, Department of Horticulture,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eon 34134, Korea) | 조은아 (충청남도 농업기술원 화훼연구소, 충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원예학과)
  • Ha-Seung Pak(Flower Research Institute,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 Chungnam province 32425, Korea) | 박하승 (충청남도 농업기술원 화훼연구소)
  • Young-Hye Lee(Flower Research Institute,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 Chungnam province 32425, Korea) | 이영혜 (충청남도 농업기술원 화훼연구소)
  • Tae-Sung Kim(Department of Agricultural Science,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Seoul 03087, Korea) | 김태성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농학과)
  • Geung-Joo Lee(Department of Horticulture,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eon 34134, Korea, Department of Smart Agriculture System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eon 34134, Korea) | 이긍주 (충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원예학과, 충남대학교 농업생명 과학대학 스마트농업시스템학과)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