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노인생애체험이 노인에 대한 이미지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노인에 대한 태도 및 지식과의 관계 중심으로- KCI 등재

A study on the impact of life experiences of the elderly on changes in the image of the elderly. -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ttitudes and knowledge about the elderly -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2952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8,100원
문화와예술연구 (문화와예술연구 (문화예술연구))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세대통합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노인에 대 한 직접 체험 교육인 노인생애체험 프로그램이 노인에 대한 태 도, 지식, 이미지 변화에 미치는 영향과 관계에 대하여 그 효과 성을 검증하는 데 있다.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해 노인생애체험 센터에 노인생애체험을 신청한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연구 취지 에 동의하고 설문지에 성실히 답한 205명을 선정하여 노인생애 체험 사전, 사후에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자료 분석은 노인생애체험 사전, 사후에 노인에 대한 태도 및 지식의 평균 차이를 대응표본 t 검증으로 분석하였고, 이미 지 변화와의 관계는 상관관계 분석을 통하여 Pearson의 상관계 수를 도출하였으며 주요 변인들간의 관계와 영향은 다중 회귀 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들의 노인에 대한 태도는 노인생애체험 사전, 사 후 전반에 걸쳐 유의한 평균의 차이를 보였으며(t=-5.876***, p<.000) 하위 유형별로 긍정에서는 유의한 평균의 차이가 나타 나지 않았지만 부정과 중립에서는 부정에서 중립 혹은 긍정으 로 변화하는 항목들과 중립에서 긍정으로 변화한 항목들에서 유의한 평균의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들의 노인에 대한 지식은 노인생애체험 사전, 사 후에 유의한 평균의 차이를 보였고(t=-7.773***, p<.000) 지식 의 하위 유형인 신체적/생리적, 심리적, 사회적 영역에 대하여 영역별로도 유의한 평균 차이를 보였다. 셋째, 노인생애체험 이후 노화에 대한 이해와 긍정적 이미지 변화에 도움이 되었는지에 대하여 ‘매우 그렇다’고 답한 대학생 들의 분포가 평균 74%의 빈도를 보여 노인생애체험이 노인에 대한 이미지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대학생들의 개인적인 특성과 일반적인 특성에 의해 노인에 대한 태도, 지식, 이미지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변인 이 있는지 찾고자 특성별 기술통계 분석을 한 결과, 유의한 결 과 차이를 보이는 특성을 찾지 못하였다. 다섯째, 주요 변인들간의 관계와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 중 회귀분석으로 검증한 결과, 노인에 대한 태도 및 지식의 하 위 유형 변인들과 노인에 대한 이미지 변화의 하위 유형 변인 들간의 관계에서 부분적으로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노인생애체험이 노인과 노화에 대한 이 해를 증진시키고 노인에 대한 태도, 지식, 이미지 변화에 긍정 적인 영향을 미치며 이미지의 신체적・생리적, 사회적 변화와 그에 따른 심리 및 정서적 변화에 긍정적 영향으로 노인에 대 한 이해, 공감, 소통으로 이어지는 세대통합증진 프로그램으로 그 의의가 있다고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Elderly Life Experience Program, which is a direct experiential education for the elderly as part of the generation integration program, on the impact and relationship on changes in attitudes, knowledge, and image of the elderly.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205 college students who applied for senior citizen experience at the senior citizen experience center were selected and 205 people who agreed to the purpose of the study and faithfully answered the questionnaire were selected and a survey was conducted before and after the senior citizen experience experience. For data analysis, the average difference in attitudes and knowledge toward the elderly before and after the elderly life experience was analyzed using a paired-sample t test, and the relationship with image change was derived through correlation analysis to derive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in variables was analyzed. Relationships and effects were verified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college students' attitudes toward the elderly showed a significant mean difference across pre- and post-senior life experiences (t=-5.876***, p<.000), and there was a significant mean difference in positivity by subtype. did not appear, but in negative and neutral, significant mean differences were found in items that changed from negative to neutral or negative to positive, and in items that changed from neutral to positive. Second, college students' knowledge about the elderly showed a significant overall mean difference between pre- and post-elderly life experience (t=-7.773***, p<.000), and the subtypes of knowledge: physical/physiolog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There was also a significant mean difference by area. Third, the average frequency of college students who answered ‘very yes’ was 74% on whether the senior citizen experience helped them understand aging and change their positive image, indicating that the senior citizen experience positively influenced the change in the image of the elderly. It was found to have an effect. Fourth, as a result of analyzing descriptive statistics by characteristic to find out whether there are other variables that influence changes in attitudes, knowledge, and image of the elderly by college students' personal and general characteristics, no characteristics were found tha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results. Fifth, as a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and influence between major variabl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btype variables of attitude and knowledge toward the elderly and the subtype variables of image change toward the elderly was partially significant. showed results. Accordingly, this study found that the life experience of the elderly improves understanding of the elderly and aging, positively influences changes in attitude, knowledge, and image of the elderly, and has a positive effect on physical, physiological, and social changes in the image and the resulting psychological and emotional changes. It is believed to be significant as a generational integration program that leads to understanding, empathy, and communication with the elderly.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1. 노인생애체험 프로그램
    2. 노인에 대한 태도 및 지식
Ⅲ. 연구 모형 설계 및 연구 문제
    1. 연구 모형 및 연구 가설
Ⅳ.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2. 노인생애체험 프로그램
    3. 측정도구
Ⅴ. 연구결과
    1. 조사 대상자의 노인에 대한 태도
    2. 조사 대상자들의 노인에 대한 지식
    3. 노인에 대한 이미지 변화
    4. 노인에 대한 태도 및 지식이 이미지 변화에 미치는영향
Ⅵ.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저자
  • 장옥희(대한노인회서울시연합회 노인생애체험센터 센터장) | Jang Ockhee (The Korea Seoul Senior citizen Association Aging simulation Center chie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