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문화원형 기반 캐릭터 콘텐츠산업의 OSMU 전략연구 KCI 등재

OSMU strategic research on cultural archetype-based character content industr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2952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9,000원
문화와예술연구 (문화와예술연구 (문화예술연구))
초록

문화원형은 전통문화와 다른 의미로 해석된다. 한 사회의 주 요한 행동양식이나 상징체계를 문화라고 한다면 문화원형은 민 족 또는 지역의 특징을 잘 담고 다른 것과 구별되는 원래모습 에 해당되는 문화라 할 수 있고 전통문화는 과거부터 현재에 이르는 사회의 관습이나 행동양식 등을 일컫는다. 문화원형을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에서는 ‘한국적인 정체성, 나아가 고유성 을 가진 문화에 대한 원천자료를 지칭하는 것으로 문화원형은 콘텐츠 제작을 위한 원천소스 또는 원천자료‘라고 하였다. 문화 원형이라는 말이 본격적으로 사용된 것은 20여년 된다. 2002년 문화관광부와 한국콘텐츠진흥원이 ’문화원형 디지털콘텐츠화 사업‘을 진행하면서 문화원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게 되었고 문화원형이라는 말이 보편화되었다. 그러나 문화원형 발굴에 대한 결과물에 치중하다보니 다양한 산업에서 원천콘텐츠로 활 용되지 못하고 있다. 1990년대 중반부터 대중문화를 중심으로 우리나라의 문화가 외국에서 인기를 얻는 한류는 우리나라의 한류(韓流)는 아시아를 넘어 국가를 초월하여 전 세계로 퍼져 나가고 있다. 1990년대에 드라마와 영화를 시작으로 게임과 K-pop 등 다양한 형태의 문화를 전 세계인이 교감하고 있다. 무엇보다 한류는 소셜미디어, OTT 플랫폼들과 결합하여 동시 다발적으로 확장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발굴사업을 통해 발굴된 문화원형과 그 밖에 무궁무진한 우리나라의 문화원형(Culture Archetype)에 대하여 더욱 다양해지고 있는 유통 채 널을 활용하는 등 캐릭터 콘텐츠에 대한 OSMU(One Source Multi Use)를 확보할 수 있는 접근방법론과 활용 가능성을 고 찰해 보고자 하였다. 우선 본 연구에서는 캐릭터 콘텐츠의 IP관리 체계와 OSMU 의 전개 유형을 알아보고 문화원형을 기반으로 하는 OSMU 사 례 등을 분석하여 문화원형을 기반으로 하는 캐릭터 콘텐츠의 OSMU에 대하여 전략적 관점에서 진흥방안을 제안하고자 한 다.

Cultural archetypes are interpreted in a different way from traditional culture. If a society's main behavioral pattern or symbolic system is called culture, the cultural archetype can be said to be a culture that contains the characteristics of a nation or region and is distinct from others, and traditional culture is the customs or customs of society from the past to the present. Refers to behavioral patterns, etc. The Korea Creative Content Agency defines cultural archetypes as ‘referring to source data on culture with Korean identity and uniqueness, and cultural archetypes are the original source or source material for content production.’ The term cultural archetype has been used in earnest for about 20 years. In 2002, as the Ministry of Culture and Tourism and the Korea Creative Content Agency carried out the ‘Cultural Archetype Digital Content Project’, interest in cultural archetypes increased, and the term cultural archetype became common. However, due to the focus on the results of discovering cultural archetypes, it is not being used as source content in various industries. Since the mid-1990s, the Korean Wave, in which Korean culture has gained popularity abroad, centering on popular culture, has spread beyond Asia and across the world. Starting with dramas and movies in the 1990s, people around the world are interacting with various forms of culture, including games and K-pop. Above all, the Korean Wave is expanding simultaneously in combination with social media and OTT platforms. Therefore, this study secured OSMU (One Source Multi Use) for character content by utilizing increasingly diverse distribution channels for the cultural archetypes discovered through the excavation project and the infinite number of other cultural archetypes in Korea. We attempted to consider possible approach methodologies and their potential for use. First,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P management system of character content and the development type of OSMU, analyzes cases of OSMU based on cultural archetypes, and proposes a promotion plan for OSMU of character content based on cultural archetypes from a strategic perspective.

목차
I. 서론
II.이론적 배경
    1. 문화원형
    2. 캐릭터 및 캐릭터콘텐츠
    3. OSMU(One Source Multi Use)
III. 문화원형기반 OSMU 적용 사례 및 분석
    1. 문화원형기반 콘텐츠로서 ’바람의 나라‘
    2. 문화원형 기반 콘텐츠로서 ’하회탈과하회별신굿탈놀이‘
    3. 문화원형 콘텐츠 활용의 문제점
IV. 결론
<참고문헌>
저자
  • 임원갑(상운기공주식회사 대표이사) | Lim Wongab (Sangwun Co., Ltd., CE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