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Readings into Aesthetics of Silence: Intertextuality and The Hermit’s Way for the World KCI 등재

침묵의 시학: 상호 텍스트성과 은자의 세상을 향한 길

  • 언어ENG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2957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400원
The Yeats Journal of Korea (한국 예이츠 저널)
한국예이츠학회 (The Yeats Society of Korea)
초록

미학은 아름다운 것, 세련된 취향에 대한 인식이며 미적 판단의 기준이 되는 속성은 철학적 고찰의 기초이다. 사유와 이미지의 전경을 연구하는 예술적 감각적 인식을 통해 하나됨이 달성되는 더 높은 공감 경험을 경험하는 것이다. 여기서 미학은 불교의 명상적 침묵과 관련이 있다. 그러나 침묵은 중재적일 뿐만 아니라 종종 이 현대 세계의 핵심까지 고통스럽게 만든다. 고통은 심리적 혼란 및 무력감과 관련이 있다. 현대 영문학은 그러한 사례로 가득 차 있다. 본 연구 논문은 미적 행복을 연구하고 동서양 문화의 통일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상황적 침묵에 대한 비교 연구와 세상에 강요된 무력한 상황에서 벗어나기 위해 “은둔의 길”이 필요한 이유를 이해한다. 여기서는 텍스트 분석과 문맥적 의미를 연구하는 데 중점을 둔다. W.B 예이츠, T.S. 엘리엇, 필립 라킨 등이 해석의 원천으로 연구되고 있으며, 일본의 고전 미인 작품인 가모노초메이의 호조키와 기타 미학적 분류는 침묵 속에서 미학을 이해하는 일차적 수단이다.

Aesthetics is the perception of the beautiful; of refined taste and the attributes on which aesthetic judgment is done is the basis of philosophical considerations. It is about experiencing a higher empathetic experience, where oneness is achieved through an artistic sensuous cognition; studying the foregrounding of thoughts and imagery. Aesthetics here are associated with meditative silences in Buddhism. But silences are not only mediative, often they are excruciating to the core of life, in this modern world. The pain is associated with psychological turmoil and helplessness. Modern English literature is full of such examples. This research paper studies the aesthetic bliss and seeks to evaluate the unity between eastern and western cultures. A comparative study of the situated silences and to understand why the world needs, “ways of hermit”; the poetry to come out of the situations of helplessness forced upon them. Here the focus is on the textual analysis and to study the contextual meaning as well. The poems of some modern poets such as W.B Yeats, T.S. Eliot, Philip Larkin are studied as a source of interpretation along with the classical Japanese work of esteemed beauty, Hōjōki (An account of my hut, 1212) by Kamo no Chōmei and other aesthetic categorizations are the primary ways of understanding the aesthetics of silence.

저자
  • Suryashi Dubey (Dr. Harisingh Gour Vishwavidyalay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