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월지 출토 금동판불의 도상과 봉안 양상 재검토 KCI 등재

Re-examination of Iconography and Enshrinement Format of the Gilt Bronze Buddha Plaques Excavated from Wolji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2959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8,400원
東洋美術史學 (동양미술사학)
동양미술사학회 (Association of Asian Art History)
초록

신라 통일기 월지(月池)의 조영은 통일의 위상을 드러내는 동시에 왕경 도시 체계를 일신 (一新)하는 작업이었다. 또한 유적에서 출토된 3만여 점의 유물은 문헌 자료만으로는 파악 하기 어려운 신라 왕실 문화의 단면을 생생하게 드러낸다. 이에 이 글에서는 그간 축적된 연 구 성과를 토대로 월지에서 출토된 금동판불 10구에 대한 종합적인 검토를 시도하였다. 먼저 현황 분석을 통해 판불 일괄의 출토 정황, 제작기법과 구조, 조성 시기에서 유사점 을 확인하였다. 월지 발굴조사 후 문화재관리국에서 발간한 보고서 雁鴨池에 따르면 보살 판불 1구는 서편 1건물지, 나머지 9구는 남쪽섬과 동편 사이에서 출토되었다. 이 글에서는 발굴 당시 작성된 야장 기록을 활용하여 이 중 5구의 판불이 월지 내 R12구역에서 발견되는 정황을 확인하였다. 모든 판불은 공통적으로 밀랍주조법으로 제작되었으며 투조문의 광배와 하단에 촉이 확인된다. 유물은 삼존판불 2구와 보살판불 8구로 구성되는데, 세부 조형 차이 에 따라 두 계열로 나눌 수 있다고 판단하였다. 그리고 이렇게 조형 차이가 드러나지만, 시 기 분석을 바탕으로 유물들이 동시기에 제작된 것으로 파악하였다. 다음으로 판불의 존명을 추정하기 위해 유물과 전체적인 도상이 유사한 7~8세기 사례를 거시적으로 검토하였다. 그 결과 이 시기 전법륜인은 통인(通印) 양상이 확인되어 수인만으로 삼존판불의 존명을 확정할 수 없었다. 다만 ‘전법륜인상 양협시보살입상’의 삼존 구성은 아미타불에서 다수 확인됨을 근거로 삼존판불의 주존은 기존 인식대로 아미타불일 가능성이 높다고 결론내렸다. 보살판불은 주요 표식 없이 합장을 한 채 결가부좌하며 여러 구가 현전 한다. 이에 대해서는 본존을 공양하는 일반 권속이었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상기한 판불 현황의 유사점을 근거로 유물이 서로 연관되었을 가능성, 도상 분석을 근거 로 아미타삼존판불을 공양하는 보살판불 권속을 상정할 수 있다. 이에 유물 일괄이 함께 특 정 조형물을 구현하였음을 전제로 봉안 양상을 새롭게 추정하였다. 이 과정에서 월지에서 함 께 출토된 금동화불에 주목하였다. 판불과 화불의 도상은 동시기 아미타정토도의 요소와 대응 하며, 동일한 판불 구성이 두 유형으로 현전하는 현상은 특정 석굴이나 불당 공간을 복수(複 數)의 아미타정토도로 장엄하는 양상과 비교되었다. 이에 판불이 화불과 함께 아미타정토를 구현하며 월지 주변 내불당 공간을 장엄하는 목적으로 일괄 조성되었을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그간 판불의 조형과 직접적으로 비교되는 예를 찾기 어려워 원 봉안 양상은 난제로 파악 되었고, 유물은 대체로 개별적으로 인식되었다. 그러나 10구의 판불을 함께 바라보면 아미 타정토를 구현하며 공간을 장엄하는 당시 국제적 흐름과 맞닿는 보편성을 발견할 수 있다. 앞으로 심층적인 분석과 함께 유물 간 연관관계를 고찰하여 다양한 가능성을 열어둔다면, 왕 궁 내 불교 신앙의 실체에 다가갈 수 있을 것이다.

The Construction of Wolji Pond(月池) during the Unified Silla Period not only unveiled the significance of unification but also revolutionized the structure of the capital city. Additionally, the excavation of over 30,000 artifacts from archaeological sites brings to life dimensions of Silla royal culture. This paper attempts a comprehensive assessment of the ten Gilt-Bronze Buddha Plaques(金銅板佛) excavated from Wolji Pond, building upon accumulated research findings. Through an analysis of the current state, similarities were found in the excavation contexts, production techniques, structures, and compositional periods of the artifacts. This paper verifies that five plaques were found in the same area using excavation records. All plaques were crafted using the lost-wax casting method, featuring a mandorla around the head and a point at the bottom. The Gilt-Bronze Buddha Plaques, consisting of two Buddha triad plaques and eight Bodhisattva plaques, were categorized into two groups based on minor differences in their forms. Despite these variations, stylistic analysis supports the conclusion that all artifacts were produced around the late 7th century. To infer the name of the Buddha Triad Plaques, artifacts which overall forms similar to those from the 7th to 8th centuries were examined. Since composition of Dharmacakra mudra(轉法輪印) and two bodhisattva were primarily in Amitabha Buddha sculptures, it is highly probable that the main deity of the Buddha Triad Plaques is Amitabha Buddha. The Bodhisattva Plaques, depicting bodhisattvas seated with the Anjali Mudra(合掌印) gesture without distinct attributes, were postulated to represent common attendants based on similar cases. Drawing upon the aforementioned similarities in the plaque status, the possibility of interconnectedness among artifacts is explored. Further supported by iconographic analysis, the assumption of a lineage associated with the worship of Amitabha Triad Plaques is proposed. Under the premise of shared representation, another interpretation of enshirnement is suggested. In this context, attention is drawn to the Gilt-Bronze plaquette(金銅化佛) excavated from Wolji Pond. The iconography of both plaques and sculptures corresponds with elements of contemporaneous Amitabha Pure Land depictions(阿彌陀淨 土). The identical arrangement of plaques in both configurations mirrors the grandeur observed in specific cave temples or temple spaces with multiple Amitabha Pure Land depictions. Hence, it is posited that the Buddha plaques, alongside plaquette. were collectively crafted to symbolize the Amitabha Pure Land and to exalt the space within and around Wolji Pond.

목차
. 머리말
. 금동판불의 현황
    1. 출토 정황
    2. 제작기법과 조형
    3. 제작시기
. 금동판불의 도상과 존명
. 금동판불의 봉안 양상 추정
    1. 불감(주자) 봉안 가능성 검토
    2. 아미타삼존-합장인보살-화불의 조합과 아미타정토의 구현
. 맺음말
참고문헌
저자
  • 김하영(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미술사학과 석사졸업) | Kim Ha Young (Ewha Womans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