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소셜미디어 사진 데이터를 이용한 대구시 반려견 산책 선호장소 분석 1) KCI 등재

Analyses of Preferred Places for Dog Wallking in Daegu City using Social Media Photographs Dat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2962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휴양및경관연구 (Journal of Recreation and Landscape)
전북대학교 부설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Institute of Recreation and Landscape Planning)
초록

본 연구는 소셜미디어 이미지를 이용하여 대구광역시 내 반려견 산책 선호장소와 특징을 분석하 였다. 2020년부터 2022년까지 약 2년간의 시간적 범위를 기반으로 ‘#반려견산책’ ‘#강아지산책’, ‘#개산책’ 세 가지의 인스타그램 해시태그를 활용해 분석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 첫째, 추출된 622 건의 위치 데이터를 바탕으로 대구광역시 내 반려견 인기 산책 장소는 총 13개인 것으로 나타났으 며, 상위 세 개 장소의 경우 국채보상공원, 두류공원, 수성못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반려견 동반 산책 선호장소의 공간적 특징 및 경향성 파악을 위한 719개의 사진분석결과 ‘수변산책로’, ‘거주지 주변’, ‘공원’, ‘도시/도시인프라’, ‘반려견운동장/카페’ 총 다섯 가지 분류체계 항목으로 조사되었 다. 사진들의 다양한 요소 및 특성(Attributes) 분석틀에 의한 유형분류 결과 반려견만을 집중하여 확대, 촬영한 사진들을 제외하고 ‘경관’, ‘자연요소’, ‘활동/레저’, ‘사람’, ‘도시/장소’의 다섯 유형 으로 분류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반려견 산책 선호장소와 유형들을 파악하여 반려견 산책환경 개 선방안을 도출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preferred walking locations and characteristics of companion dogs in Daegu Metropolitan City using social media images. Based on a temporal range of approximately 2years from 2020 to 2022, the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ree Instagram hashtags: ‘#DogWalking’, ‘#PuppyWalking’, and ‘#PetDogWalking’. The results revealed that, firstly, among the extracted 622 location data points, there were a total of 13popular dog-walking places within Daegu, with the top three locations being Gukchaebosang park, Duryu park, and Suseong lake. Secondly, to understand the spatial characteristics and trends of preferred companion dog walking locations, a total of 719 photo analyses were categorized into five classification categories: ‘Waterfront walking paths,’ ‘Residential surroundings,’ ‘Parks,’ ‘Urban/Urban infrastructure,’ and ‘Dog exercise areas/Cafes’. The diverse elements and attributes of the photos were classified into five types: ‘Landscape,’ ‘Natural elements,’ ‘Activities/Leisure,’ ‘People,’ and ‘Urban/Places,’ excluding photos that primarily focused on capturing dogs. Through this study, insights into preferred companion dog walking locations and typologies were gained, leading to the derivation of suggestions for enhancing companion dog walking environments.

목차
1. 서론
2. 이론적 고찰
    2.1 소셜미디어를 이용한 장소선호도 분석
    2.2 이미지 내용분석 (Visual content analysis)
3. 연구방법
    3.1 소셜미디어 지오태깅 데이터 분석
    3.2 소셜미디어 이미지 내용분석
4. 결과 및 고찰
    4.1 소셜미디어 사진 위치분석 결과
    4.2 소셜미디어 사진분석 결과
5. 결론
저자
  • 송진경(경북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Jingyeoung Song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이정연(경북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Jeongyeon Lee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이형숙(경북대학교 조경학과) | Hyungsook Lee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