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뉴욕시 가변적 가로공간 전용(轉⽤) 설계기법 연구 KCI 등재

A Study on Flexible Transforming Techniques of Street for Community Space in New York Cit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2962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800원
휴양및경관연구 (Journal of Recreation and Landscape)
전북대학교 부설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Institute of Recreation and Landscape Planning)
초록

일인가구의 증가 SNS와 온라인을 통한 소통의 증대 등 점차 파편화 되는 현대사회에서 개인들이 직접 대면하고 소통할 수 있는 물리적 커뮤니티공간의 필요성은 점차 증가하고 있지만 이의 확충은 경제 및 개발 논리에 밀려 쉽게 이루어지기 어렵다. 본 연구는 커뮤니티공간의 부족함을 완화시키고 공평하게 향유할 수 있는 커뮤니티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대안으로 도시의 가로공간에 집중하고 도로가 가진 높 은 접근성을 활용하여 도로를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커뮤니티공간으로 전환시키는 기법을 고찰하 고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먼저 선행연구와 관련문헌을 통해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주요 요소들 을 도출하여 분석의 틀을 만든다. 다음으로 뉴욕시에서 진행하고 있는 세 가지 프로그램인 뉴욕시 오픈 레스토랑, 뉴욕시 오픈 스트리트, 뉴욕시 플라자 프로그램의 사례연구 및 분석을 진행한다. 그리고 커 뮤니티공간에 커뮤니티를 위한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방식도 함께 살펴본다. 분석 결과 세 개 프로그램 을 통해 가로공간을 전용하여 확보한 커뮤니티공간들이 커뮤니티의 활성화를 위한 다음의 요소들 안 전, 참여, 접근성과 보행성, 가로의 활력, 경제적 이득, 유연성과 적응력, 다양성과 포용성을 증진 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가 제시하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먼저, 지역 커뮤니티가 계 획 단계에서부터 커뮤니티공간의 조성, 운영, 관리의 주체가 되어야 한다. 두 번째, 시정부는 커뮤니티 들이 활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 운영하고 이를 제공하여야 한다. 세 번째, 커뮤니티와 그 주변 여건의 변화에 쉽게 적응하고 변화할 수 있는 가변적이면서도 능동적인 조성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는 모든 커뮤니티공간에 적용될 수 있는 동일한 규격, 기준, 가이드라인의 제공이 필요하다.

The need for physical community spaces where individuals can interact, communicate, and empathize directly has been increasing in our modern society, due to the rise of single-person households and communication through SNS and online platforms. However, expanding community spaces faces challenges due to economic and developmental priorities. This study aims to focus on urban street spaces as an alternative to alleviate the shortage of community spaces. To secure community spaces, this research examines design techniques to transform streets into community spaces, utilizing their high accessibility. Firstly, through precedent studies and related books, the key factors for community activation are identified, and a framework for analysis is established. Next, case studies of three programs being implemented in New York City, NYC Open Restaurants, NYC Open Streets, and NYC Plaza Program, are conducted. The study also examines approaches to propose programs for community activities in these public open spaces. The analysis reveals that public open spaces secured by transformed street spaces through the three programs contribute to the enhancement of the following elements for community activation: Stability, Participation, Walkability, Street Vitality, Economic Benefits, Flexibility and Adaptability, Diversity, and Inclusivity. In conclusion, the implications of this research are significant. Firstly, it underscores the importance of community-centric planning, emphasizing that local communities should be at the forefront of space utilization, operation, management, and promotion right from the planning stages. Secondly, it highlights the role of government-supported programs in developing, operating, and providing initiatives that local communities can readily employ, ensuring equitable access to community spaces. Thirdly, a critical need for flexible and adaptive design is emphasized, allowing these spaces to easily adapt to evolving community needs and contexts. Finally, uniform design guidelines are crucial, offering consistent standards, criteria, modules, and guidelines applicable across all community spaces.

목차
1. 서론
2. 연구방법
    2.1 연구대상 및 방법
    2.2 사례분석의 틀 구성
3. 결과 및 고찰
    3.1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뉴욕시 가로공간 전용 사례연구
    3.2 가로공간 전용 사례 종합 분석
4. 결론
저자
  • 이상훈(필드 오퍼레이션스) | Sanghoon Lee (Field Oper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