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전통마을의 공간형태별 기후적응성 시뮬레이션 분석 1) - 중국 광둥성 주하이(珠海) 탕자완(唐家灣)을 중심으로 - KCI 등재

Simulation of Climate Adaptability by Spatial Type in Traditional Villages - Focusing on the Tang Bay Area of Zhuhaii City, Guangdong Province, China -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2962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휴양및경관연구 (Journal of Recreation and Landscape)
전북대학교 부설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Institute of Recreation and Landscape Planning)
초록

도시화 압력이 심화되면서 전통마을의 축적된 고유의 주거건축 기법과 관련된 경험, 방법, 창조적 지 혜, 그리고 건전한 삶의 방식도 함께 쇠퇴하고 있음은 매우 안타까운 현상이다. 본 연구는 중국 주하이 시 탕자완(唐家灣)지역의 전통마을 생활환경을 개선하고 마을 지역의 저탄소 운영을 실현하기 위한 ‘향촌진흥 전략’의 촉진을 목표로 한다. 영남(嶺南) 민가 주거용 건물의 기후 적응성에 주목하여 통풍과 단열 개선 그리고 태풍 위협에 대한 저감기법을 중심으로 개선방안을 제안한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VIRVIL과 HTB2 컴퓨터 시뮬레이션 분석기법을 결합하여 3개 민가 유형별 기후 적응공 간 개선방법을 논의함으로써 전통마을 주거환경의 구조적 변화와 에너지 소비 증가로 인한 주거환경 의 쾌적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술 및 운영개념을 제시하였다. 전통마을의 패턴과 건축 디자인 방안을 모색한 본 연구가 향후 전통마을의 생태기능을 유지하면서도 지속가능한 발전을 도모하는 데 유효한 공간 형태별 기후적응성을 실현하기 위한 기초자료로써 의의가 있다.

It is a very unfortunate phenomenon that as the pressure of urbanization intensifies, the precious experience, methods, creative wisdom, and sound way of life related to the unique residential construction techniques accumulated in traditional villages are also declining. This study aims to improve the living environment of traditional villages in the Tangjiawan area of Zhuhai, China, and to promote a ‘village revitalization strategy’ to realize low-carbon operation in the village area. Focusing on the climate adaptability of private residential buildings in Yeongnam and proposed improvement measures focusing on improving ventilation, insulation and minimizing the threat of typhoons. To realize this, this study combines VIRVIL and HTB2computer simulation analysis techniques to discuss ways to improve climate adaptation spaces for three types of private houses to minimize the decline in residential comfort due to structural changes in traditional village residential environments and increased energy consumption. The technology and operational concept for this purpose were presented. This study, which explores the patterns and architectural design methods of traditional villages, is expected to provide basic data for realizing climate adaptability by spatial type, which is effective in promoting sustainable development while maintaining the ecological function of traditional villages.

목차
1. 서론
2. 연구방법
    2.1 연구대상 개요
    2.2 현지조사
    2.3 마을형태와 건축유형학
    2.4 양적 데이터 분석
    2.5 컴퓨터 시뮬레이션
3. 결과 및 고찰
    3.1 마을 형태와 건축물의 기후적응성
    3.2 신구 마을 형태의 비교
    3.3 양적 시뮬레이션 분석
    3.4 지붕 복사열 및 외벽 차양의 기후적응성 시뮬레이션
    3.5 지붕의 일조강도 시뮬레이션
    3.6 외벽 차양효과에 관한 시뮬레이션
4. 결론
저자
  • 주림(북경공과대학 주하이학원) | Lin Zhu (Dept. of Beijing Institute of Technology, Zhuhai)
  • 노재현(우석대학교 조경학과) | Jaehyun Rho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Woosuk Univ) Corresponding author
  • 김홍균(경희대학교 대학원 환경조경학과) | Hongkyun Kim (Dept. of Environmetal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Kyunghee Uni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