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Ursodeoxycholic Acid는 담도암세포에서 활성산소의 생성을 방해하여 상피-중간엽 전환을 억제한다 KCI 등재 SCOPUS

Ursodeoxycholic Acid Suppresses Epithelial-Mesenchymal Transition via Inhibi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in Bile Duct Cancer Cell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2964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200원
대한췌담도학회지 (Korean Journal of Pancreas and Biliary Tract)
대한췌장담도학회(구 대한췌담도학회) (Korea PancreatoBiliary Association)
초록

배경/목적: ROS는 악성종양의 성장 및 공격과 관련이 있다. UDCA는 담도암 세포에서 진행과 전이에 밀접한 EGFR-MAPK 신 호 경 로 와 EMT를 억 제 한 다 . 이 연 구 는 UDCA가 담도암세포에서 ROS 생성 및 그에 관련된 바이오마커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기 위해 시행되었다. 방 법 : 인간 간외 담관암 세포주인 SNU-245세포를 배양하였다. 세포생존율은 MTT assays로, ROS는 세포 ROS assays kit로 측정하였다. Western blotting으로 다양한 표적 단백질의 발현 수준을 측정하였다. 특정 유전자의 억제를 위해 siRNA를 사용하였고, 특정 유전자의 과발현을 위해 shRNA를 사용하였다. 결과: UDCA는 담도암 세포에서 DCA에 의한 peroxide와 ROS가 생성되는 것을 억제하였으며, DCA로 발현이 증강된 STAT3, PRX2 및 SOD2를 억제하였고, IGF-1에 의해 발현이 증강된 NOX2 및 NOX4를 억제하였다. 또한, 담도암 세포에서 SiRNA를 이용한 STAT3 및 PRX2의 억제는 UDCA 처치와 상관없이 EGF에 의해 약화된 E-cadherin 발현을 복원하고 EGF에 의해 증가된 N-cadherin 발현을 억제하였는데, 이는 UDCA의 EMT 억제에 PRX2/STAT3가 상당한 역할을 하는 것을 의미한다. 덧붙여, UDCA는 담도암 세포에서 DCA에 의해 억제된 catalase의 발현을 복원하였다. 한편, ShRNA를 사용한 NOX4의 과발현의 유도는 UDCA의 항종양 효과를 상쇄하였다. 결론: UDCA는 담도암 세포에서 ROS 생성을 억제하고, ROS 제거를 향상시킴으로써, 결국 EMT와 관련된 STAT3 및 PRX2를 억제한다, 따라서, UDCA는 ROS 활성도 및 EMT의 억제를 통하여 담도암 세포의 성장 및 침습을 억제하는 데 기여한다.

Background/Aim: Reactive oxygen species (ROS) are associated with the growth and invasion of malignant tumors. Ursodeoxycholic acid (UDCA) was proven to block the EGFR-MAPK signaling pathway and epithelial-mesenchymal transition (EMT) in bile duct cancer (BDC) cell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UDCA on ROS activity in BDC cells. Methods: Human extrahepatic BDC cells were cultured. MTT assays evaluated cell viability, and ROS assay kit measured ROS. The western blot assays measured the expression levels of various target proteins. SiRNA was used for silencing of specific genes, and shRNA was used for over-expression of specific genes. Results: UDCA suppressed DCA-induced production of peroxide and ROS, inhibited expression of PRX2, phosphorylated STAT3 and SOD2, and decreased expression of NOX2 and NOX4 in BDC cells. PRX2 and STAT3 were involved in inhibiting EMT by UDCA. UDCA restored the expression of catalase inhibited by DCA in BDC cells. Furthermore, overexpression of NOX4 using shRNA offset the antineoplastic effect of UDCA in BDC cells. Conclusions: UDCA suppresses the production of ROS and enhances the elimination of ROS, inhibiting STAT3 and PRX2 associated with EMT in BDC cells. Accordingly, UDCA contributes to inhibiting the growth and invasiveness of BDC cells via suppression of ROS activity and EMT.

목차
서 론
방 법
    1. 재료
    2. 세포배양
    3. MTT assays
    4. ROS 측정
    5. Hydrogen peroxide/peroxidase assay
    6. Cell transfection
    7. Western blot assays
    8. 통계분석
결 과
    1. UDCA는 BDC 세포에서 ROS의 생성을 억제한다.
    2. BDC 세포에서 UDCA는 MnSOD (superoxide dismutase2, SOD2)를 억제하고, catalase를 활성화한다.
    3. UDCA는 BDC 세포에서 PRX2 및 STAT3의 발현을억제한다.
    4. BDC 세포에서 UDCA가 EMT를 억제하는데 있어서PRX2 및 STAT3가 관여한다.
    5. BDC 세포에서 UDCA는 NOX2와 NOX4의 발현을억제한다.
    6. BDC 세포에서 NOX4의 과발현은 UDCA의 항종양효과를 약화시킨다.
고 찰
요 약
저자
  • 이 진(한림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한림대학교동탄성심병원 소화기내과) | Jin Lee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Hallym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Chuncheon, Division of Gastroenterology, Hallym University Dongtan Sacred Heart Hospital, Hwasung, Korea) Corresponding author
  • 홍은미(한림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한림대학교동탄성심병원 소화기내과) | Eun Mi Hong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Hallym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Chuncheon, Division of Gastroenterology, Hallym University Dongtan Sacred Heart Hospital, Hwasung, Korea)
  • 이경주(한림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한림대학교동탄성심병원 소화기내과) | Kyung Joo Lee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Hallym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Chuncheon, Division of Gastroenterology, Hallym University Dongtan Sacred Heart Hospital, Hwasung, Korea)
  • 박세우(한림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한림대학교동탄성심병원 소화기내과) | Se Woo Park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Hallym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Chuncheon, Division of Gastroenterology, Hallym University Dongtan Sacred Heart Hospital, Hwasung, Korea)
  • 고동희(한림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한림대학교동탄성심병원 소화기내과) | Dong Hee Koh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Hallym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Chuncheon, Division of Gastroenterology, Hallym University Dongtan Sacred Heart Hospital, Hwasung,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