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대학생의 코칭역량과 사회적 지지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정서지능의 매개효과 KCI 등재

The Effects of College Students’ Coaching Competency and Social Support 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Intelligenc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2971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7,700원
코칭연구 (Journal of Korean Coaching Research)
한국코칭학회 (The Korean Association of Coaching)
초록

본 연구는 대학생의 코칭역량과 사회적 지지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 는 영향을 규명하고 정서지능이 매개역할을 하는지 실증적으로 규명하여 대학 생 진로와 관련한 교육적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하여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고, 그 중 535부를 SPSS와 AMOS 28.0을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모든 연구변인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 타났다. 둘째, 코칭역량과 사회적 지지는 정서지능에, 정서지능은 진로결정 자기 효능감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쳤고,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코칭역량은 직 접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나 사회적 지지가 직접적으로 미치는 영향은 미미하였다. 셋째, 정서지능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코칭역량과 진로결정 자 기효능감 간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하였고, 사회적 지지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간의 관계에서 완전 매개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를 통해 코칭역량과 사회적 지지가 정서지능을 매개하여 진로결정 자 기효능감에 직ㆍ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변인임을 확인하고, 각 변인이 진로 관련 교육과정에 활용되기를 제안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llege students' coaching competence and social support on their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to empirically investigate the mediating role of emotional intelligence to provide educational foundations for college students' careers. For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college students, and 535 of them were analyzed using SPSS and AMOS 28.0.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static correlations between all research variables. Second, coaching competence and social support had significant static effects on emotional intelligence, and emotional intelligence had significant static effects on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coaching competence had a direct significant effect on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but the direct effect of social support was insignificant. Third, we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found that it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oaching competence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This study confirms that coaching competence and social support are variables that directly and indirectly affect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by mediating emotional intelligence, and suggests that each variable should be utilized in career-related curricula.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코칭역량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2. 사회적 지지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3. 정서지능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4. 연구변인 간의 관계
Ⅲ. 연구방법
    1. 연구 대상
    2. 연구 도구
    3. 자료분석
Ⅳ. 연구결과
    1. 연구변인의 기술통계
    2. 측정변인들 간의 상관관계
    3. 측정모형의 검증
Ⅴ.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저자
  • 심정자(미르 C&C 대표자) | Shim Jeung-Ja (President, MIR C&C Company)
  • 도미향(남서울대학교 대학원 코칭학과 교수) | Do Mi-Hyang (Professor, Department of Coaching, Graduate School, Namseoul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