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미역과 쇠미역 추출물의 항산화 및 간 보호 효과 KCI 등재

Antioxidative Activities and Protective Effects on Alcohol-Induced Oxidative Stress in the Human Hepatic HepG2 Cells of Undaria pinnatifida and Costaria costata Extract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007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해양생명과학회지 (Journal of Marine Life Science)
(사)한국해양생명과학회 (The Korea Society of Marine Life Science)
초록

본 연구는 미역(Undaria pinnatifida) 추출물과 쇠미역(Costaria costata)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HepG2 세포의 알코올로 인한 산화 손상에 대한 보호 효과를 연구하였다. 미역과 쇠미역 추 출물의 총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70% 에탄올 추출물에서 가장 높았다. 또한 미역과 쇠미역 70% 에탄올 추출물의 DPPH (IC50 0.33±0.21, 0.48±0.47 mg/ml), ABTS (IC50 0.34±0.30, 0.47±0.17 mg/ml) 라디칼 소거 활성이 열수 추출물 및 10% 에탄올 추출물 보다 높았다. 추출 물의 간 보호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HepG2 세포에 알코올 산화 스트레스를 유발하여 MTT 분석을 이용하여 세포 생존력을 측정하였다. 미역 및 쇠미역 열수 추출물은 알코올 처리군 (73.95%) 대비 세포 생존율은 각각 89.91~97.63% 및 84.99~90.54%로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시 켰다. 본 연구는 미역과 쇠미역 추출물이 간 보호 및 항산화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고 알코 올 산화 손상에 대한 간 보호 소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We investigated the antioxidant and hepatoprotective effects of extracts from the Undaria pinnatifida and Costaria costata against ethanol-induced oxidative damage. The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were highest in the 70% ethanol extract from Undaria pinnatifida and Costaria costata. Also, th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DPPH (IC50 0.33± 0.21, 0.48±0.47 mg/ml) and ABTS (IC50 0.34±0.30, 0.47±0.17 mg/ml) in the 70% ethanol extract was higher than that of the hot water and 10% ethanol extracts. To determine the hepatoprotective effects of extracts in ethanol-induced oxidative damage, cell viability was measured using an MTT assay. In the pre-treatment of Undaria pinnatifida and Costaria costata hot water extracts, the concentration-dependent increased the cell viability compared with the ethanol treated cells (73.95%) by 89.91~97.63% and 84.99~90.54%, respectively. The data suggests that 70% ethanol extracts have antioxidant activity and hot water extracts exhibit hepatoprotective effects. Therefore, Undaria pinnatifida and Costaria costata may be considered potential agents for control ethanol-induced liver damage.

목차
서 론
재료 및 방법
    1. 실험 재료
    2. 추출물 제조 방법
    3. 총 폴리페놀 함량 측정
    4.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측정
    5. 항산화 활성
    6. 세포배양
    7. 세포독성 측정(MTT assay)
    8. 알코올 독성 유도에 대한 세포 생존율 측정
    9. 통계처리
결과 및 고찰
    1.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
    2. 항산화 활성
    3. 세포독성 및 알코올 자극에 대한 보호 효과
요 약
저자
  • 김기안((재)전남바이오산업진흥원 해양바이오연구센터) | Ki An Kim (Marine Biotechnology Research Center, Jeonnam Bioindustry Foundation, Jeollanam-do 59108, Korea)
  • 오태환((재)전남바이오산업진흥원 해양바이오연구센터) | Tae-Hwan Oh (Marine Biotechnology Research Center, Jeonnam Bioindustry Foundation, Jeollanam-do 59108, Korea)
  • 천상호((재)전남바이오산업진흥원 해양바이오연구센터) | Sang-Ho Chun (Marine Biotechnology Research Center, Jeonnam Bioindustry Foundation, Jeollanam-do 59108, Korea)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