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큰징거미새우(Macrobrachium rosenbergii)의 성장, 체색 및 간췌장 구조에 미치는 개나리(Forsythia koreana) 잎의 영향 KCI 등재

Effects of Korean Goldenbell (Forsythia koreana) Leaf on the Growth, Body Color and Hepatopancreatic Structure of Giant Freshwater Prawn (Macrobrachium rosenbergii)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020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300원
한국해양생명과학회지 (Journal of Marine Life Science)
(사)한국해양생명과학회 (The Korea Society of Marine Life Science)
초록

큰징거미새우(Macrobrachium rosenbergii)는 양식 시설 내에서 체색 불량 및 갑각 약화와 같은 문제로 경제적 손실을 겪고 있다. 이 종은 동물성 원료 기반의 사료로 양식되지만, 야생에서는 식물체 비중이 높은 detritus를 주로 섭취한다. 새우가 야생에서 섭취한 식물체는 기본 영양소 뿐만 아니라 체색의 재료인 카로티노이드의 공급원이기도 하다. 개나리(Forsythia koreana)는 우리나라에 널리 분포하는 꽃나무로 잎에는 황색 당근에 버금가는 양의 카로티노이드가 함유 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큰징거미새우에게 개나리 잎을 공급하여 체색 및 건강도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였다. 실험사료는 「배합사료 100%(대조구), CON」, 「배합사료 80%+개나리 잎 분말 20%, FP」, 「배합사료 80%+가공하지 않은 개나리 잎 20%, FL」의 세 가지였으며, 각 조건 의 사료를 평균 체중 1.1 ± 0.2 g의 어린 새우들에게 10주간 공급하였다. 실험 결과, 체색의 경 우, CON의 새우들은 일관적으로 투명한 상아색을 띠었으나, FP와 FL 새우의 경우 사육일의 경과에 따라 푸른색을 거쳐 암갈색으로 변화하였다. 생존과 성장은 CON과 FP 또는 FL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간췌장을 조직학적으로 비교한 결과, hepatopancreatic tubule의 구성 세포 중 B cell의 vacuole 크기가 CON에 비해 FP과 FL에서 훨씬 컸다. B cell의 vacuole은 영 양소의 흡수 및 소화의 역할을 하며, 개나리 잎의 공급이 큰징거미새우의 건강에 긍정적으로 작용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이상의 결과는 큰징거미새우의 양식에 개나리 잎을 활용하면 성장 저해 없이 체색의 개선 및 건강도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The giant freshwater prawn (Macrobrachium rosenbergii) suffers economic losses in aquaculture facilities due to problems such as poor body color and carapace weakness. While this species is farmed on an animal-based diet, in the wild it consumes a detritus diet with a high proportion of plant matter. The plant matter they consume in the wild is not only a source of basic nutrients, but also carotenoids, which are responsible for body color. Korean goldenbell (Forsythia koreana) is a flowering tree widely distributed in Korea, and its leaves contain carotenoids comparable to yellow carrot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feeding Forsythia leaves to M. rosenbergii on their body color and health. The experimental diets were 100% commercial feed (control), CON, 80% commercial feed plus 20% Forsythia leaf powder, FP, and 80% commercial feed plus 20% unprocessed Forsythia leaves, FL, and each diet was fed to juvenile prawn with an average weight of 1.1 ± 0.2 g for 10 weeks. In terms of body color, the CON prawn were consistently clear ivory in color, while the FP and FL prawn changed from blue to dark brown as the days of rearing progressed. Survival and growth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CON and FP or FL. Histological comparison of the hepatopancreas revealed that the vacuole size of B cells, the constituent cells of the hepatopancreatic tubule, was significantly larger in FP and FL compared to CON. The vacuoles of B cells are responsible for the absorption and digestion of nutrients, suggesting that the supply of Forsythia leaves may have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health of the M. rosenbergii. The above results show that the use of Forsythia leaves in the aquaculture of M. rosenbergii can be expected to improve body color and health without inhibiting growth.

목차
서 론
재료 및 방법
    1. 개나리 잎 준비 및 사료 제작
    2. 실험동물 및 사육실험
    3. 생존율 및 성장률
    4. 체색 변화
    5. 간췌장 조사
    6. 통계 처리
결 과
    1. 생존율 및 성장률
    2. 체색 변화
    3. 간췌장의 조직학적 구조
고 찰
    1. 개나리 잎 공급에 의한 성장률의 변화
    2. 개나리 잎 공급에 의한 체색의 개선
    3. 개나리 잎 공급에 의한 간췌장 구조의 변화
    4. 결론
저자
  • 김동우(선문대학교 수산생명의학과) | Dong Woo Kim (Sunmoon University, Department of Aquatic Life and Medical Science, Asan 31460, Korea)
  • 윤정희(선문대학교 수산생명의학과) | Jeong Hee Yoon (Sunmoon University, Department of Aquatic Life and Medical Science, Asan 31460, Korea)
  • 하지은(선문대학교 수산생명의학과) | Ji Eun Ha (Sunmoon University, Department of Aquatic Life and Medical Science, Asan 31460, Korea)
  • 민정희(선문대학교 수산생명의학과) | Jeong Hee Min (Sunmoon University, Department of Aquatic Life and Medical Science, Asan 31460, Korea)
  • 박보령(선문대학교 수산생명의학과) | Bo Ryung Park (Sunmoon University, Department of Aquatic Life and Medical Science, Asan 31460, Korea)
  • 권준영(선문대학교 수산생명의학과) | Joon Yeong Kwon (Sunmoon University, Department of Aquatic Life and Medical Science, Asan 31460, Korea)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