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수치해석을 통한 자동복원 신소재 댐퍼 적용 구조물 성능 검증 KCI 등재

Verification of the Performance of Structures Using Automatic Restoration of New Material Dampers through Numerical Analysi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131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복합신소재구조학회 논문집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dvanced Composite Structures)
한국복합신소재구조학회 (Korean Society for Advanced Composite Structures)
초록

최근 인접국가인 일본에서 규모 7.6의 지진이 발생하였다. 이 지진은 대규모의 최초 지진 이후 120회 이상의 여진을 동반하여 지진의 위험성이 두각되었다. 실제로 구조물들은 최초 지진이후 항복하여 지속되는 여진에 의해서도 붕괴될 위험이 있기 때문에 지진 저항력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자동복원이 가능한 신소재를 활용하여 지진에 의한 피해를 감소시키면서도 댐퍼와 구조물에 발생되는 잔류변위를 회복시킬 수 있는 자동복원 신소재 댐퍼를 제안한다. 이 댐퍼는 초탄성 형상기억합금과 폴리우레탄으로 구성되며 폴리우레탄에는 선행압축이 적용되어 그로 인한 반발력을 통해 회복특성을 증진시킨 다. 이에 대한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구조실험과 구조실험에 대한 수치해석을 진행하여 댐퍼의 회복특성, 하중특성을 확인하였 다. 또한, OpenSEES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구조물에 댐퍼를 적용시키고 실제 지진환경에 대한 수치해석을 수행함으로써 지붕변 위, 밑면 전단력 등의 응답을 구하여 자동복원 신소재 댐퍼의 우수성을 검증하였다. 이를 통해 자동복원 신소재 댐퍼를 구조물 에 적용하게 되면 국내 역대 지진 중 가장 규모가 큰 지진이 다시 발생하여도 구조물을 다시 회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Recently, a magnitude-7.6 earthquake struck Japan, a neighboring country, triggering more than 120 aftershocks after the initial seismic event. This sequence underscores the profound seismic hazards prevalent in the region. Improving earthquake resilience is imperative because structures are susceptible to yielding after initial earthquakes and face collapse risks from subsequent aftershocks. This study introduces a new self-recovering material damper designed to address residual displacements within the damper and structure, thereby mitigating earthquake-induced damages. The damper comprises a superelastic shape-memory alloy and polyurethane. Pre-compression of polyurethane enhances recovery characteristics by generating repulsion forces. Structural testing and numerical analyses were performed to assess the performance of the damper, thereby examining recovery and load characteristics. Furthermore, the OpenSEES program facilitated the application of the damper to structural elements, enabling numerical simulations of actual seismic environments. Responses such as roof displacement and bottom shear force were analyzed to validate the efficacy of the self-restoring material damper. Adopting the self-recovering material damper holds promise in enabling structures to recuperate even in the event of Korea’s most severe historical earthquakes.

목차
1. 서 론
2. 본 론
    2.1 자동복원 신소재 댐퍼의 설계 및 매커니즘
    2.2 자동복원 신소재 댐퍼의 거동
    2.3 자동복원 신소재 댐퍼의 수치해석
    2.4 에너지 소산형 댐퍼 적용 구조물 평가
3. 결 론
감사의 글
REFERENCES
저자
  • 이헌우(인천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박사과정) | Lee, Heon-Woo (Ph.D. Candidate, Department of Civil and Environment Engineering, Incheon National University, Incheon, Korea)
  • 정병권(인천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박사과정) | Jung, Byoung-Kwon (Ph.D. Candidate, Department of Civil and Environment Engineering, Incheon National University, Incheon, Korea)
  • 허종완(인천대학교 도시환경공학부 정교수) | Hu, Jong-Wan (Professor, Department of Civil and Environment Engineering, Incheon National University, Incheon, Korea)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