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전원주택단지의 경관영향평가 항목 간 중요도 분석 KCI 등재

An Analysis of the Importance between Landscape Impact Assessment Items in Rural Housing Complex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248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휴양및경관연구 (Journal of Recreation and Landscape)
전북대학교 부설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Institute of Recreation and Landscape Planning)
초록

본 연구는 전원주택단지를 대상으로 한 경관영향평가에서 진행하고 있는 각 단계별 계획항목과 내용 등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체계적인 경관영향평가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주안점을 두 었다. 각 평가항목 별 중요도는 전문가 설문을 바탕으로 수행하였으며, 구체적인 분석방법으로는 기술 통계분석, 요인분석, MCB분석 등의 통계분석방법이 사용되었다. 분석결과 평가항목의 중요도 평균은 5.73(7)으로 높게 나타났으나 ‘이용자 안전을 고려한 가로시설물 시설계획’의 중요도가 6.38(7)로 가장 높게 나타난 것에 비해 문헌분석 출현빈도는 8%로 나타나 그 중요도에 비해 기존 경관영향평가에 활용 된 평가항목은 미흡했던 것으로 분석되었다. 평가항목은 33개의 평가항목이 7개의 평가항목 군과 3개 의 경관영역에 유형화되어 평가항목 리스트로 구성되었다. 평가항목 군별 중요도 분석결과 모두 5점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그 중 색채 군에서 6.04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문헌분석으로 도출 된 평가항목이 전문가 설문 분석결과 대부분 중요도가 5점대 이상으로 높게 나타나 경관영향평가 평가 항목 리스트에 적용함에 무리가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focused on presenting basic data for establishing a systematic landscape impact assessment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planning items and contents of each step in the landscape impact assessment for rural housing complexes. The importance of each evaluation item was carried out based on expert surveys, and statistical analysis methods such a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factor analysis, and MCB analysis were used as specific analysis method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average importance of the evaluation items was high at 5.73 (7), but the importance of the "street facility facility plan considering user safety" was the highest at 6.38 (7), while the frequency of literature analysis was 8%, indicating that the evaluation items used in the existing landscape impact evaluation were insufficient compared to their importance. The evaluation items consisted of a list of evaluation items by categorizing 33 evaluation items into 7 evaluation item groups and 3 landscape areas. As a result of the importance analysis by evaluation item group, all of them were high at 5 points or more, and among them, the color group was the highest at 6.04. In this study, most of the evaluation items derived from literature analysis were found to be high in the 5 points or more as a result of expert questionnaire analysis, so it is judged that it is not unreasonable to apply them to the list of evaluation items for landscape impact evaluation.

목차
1. 서론
2. 이론적 고찰
    2.1 환경영향평가에서의 경관분야
    2.2 전원주택과 경관
3. 연구방법
    3.1 연구범위
    3.2 조사 및 분석방법
4. 결과 및 고찰
    4.1 평가항목 도출
    4.2 인구통계적 특성
    4.3 평가항목 유형화
5. 결론
References
저자
  • 변영진(경북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Youngjin Byu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나정화(경북대학교 조경학과) | Junghwa Ra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
  • 김진효(경북대학교 조경학과) | Jinhyo Kim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