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농촌 커뮤니티 시설의 주민조직 직접 운영에 따른 운영성과 및 영향요인 분석 – 전북 농촌중심지활성화사업의 완료 지구를 대상으로 - KCI 등재

An Analysis of Operational Performance and Influencing Factors Based on Direct Operation by Resident Organizations in Rural Community Facilities - Focusing on Completed Zones of Rural Center Activation Project in Jeonbuk Province -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248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500원
휴양및경관연구 (Journal of Recreation and Landscape)
전북대학교 부설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Institute of Recreation and Landscape Planning)
초록

본 연구는 일반농산어촌개발사업의 사업내용 중 하나인 농촌중심지활성화사업으로 준공에 이른 농촌 커뮤니티 시설의 주민조직 직접 운영에 따른 운영성과와 농촌 커뮤니티 시설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분석 하여 문제점을 도출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또한 전라북도 농촌중심지활성화사 업으로 준공에 이른 농촌 커뮤니티 시설 중 주민조직에 의해 운영되고 예산이 비슷하며, 비교가 가능한 부안군 보안면, 김제시 금구면, 임실군 강진면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설문지는 배포 후 회수하는 방법으로 수집하였으며, 일반현황과 독립변수의 측정지표에 근거한 리커트 7점 척도를 통해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설문결과는 설문에 대한 응답자의 일반현황, 빈도, 백분율 분석, 측정 문항의 신뢰 도 분석을 위해 크론바흐의 알파 값 계수법 분석, 세부 측정지표별 설문조사 분석, 연구가설 검증을 위한 다중회귀분석, 세부 운영성과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한 일원배치 분산분석과 사후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가설과 리커트 7점 척도를 통한 연구의 결론은 측정문항의 신뢰성이 인정되었으며, 농촌 커뮤니티 시설의 주민조직 직접 운영은 시설의 운영성과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성공적인 운영과 운영성과를 제 고 및 개선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계층들의 이용에 있어 편리하도록 환경관리 및 시설의 설비에 최선의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또한 시설 운영의 주체인 주민조직의 기능을 강화하여 지역의 공동체 교류공간 이 되도록 주민조직과 지역주민이 직접 관심을 가지고 참여하여 주민조직만의 공간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연구를 통해 시설의 편리성과 개발의 유연성을 유지하여 다양한 계층의 주민들이 이용함 으로써 운영성과를 높일 수 있는 요인이 된다. 다양한 운영 주체 중 주민조직 직접 운영을 통한 주민들의 역량 강화 및 지역사회 발전과 공동체 의식을 공고히 할 수 있는 발판이 마련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operational performance of rural community facilities that have been completed through the Rural Village Center Activation Project, one of the components of the general rural development project, through direct operation by residents’ organizations. The study aims to identify issues and propose improvement measures by examining the operational outcomes and factors influencing rural community facilities. Additionally, the research focused on rural community facilities in Boan-myeon of Buan-gun, Geumgu-myeon of Gimje-si, Gangjin-myeon of Imshil-gun in Jeollabuk-do Province that have been completed through the Rural Village Center Activation Project, are operated by residents’ organizations, and have similar budgets for comparative analysis. The survey was conducted through distribution and collection of questionnaires,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using a Likert 7-point scale based on the general situation and measurement indicators of independent variables. The questionnaire results were analyzed for respondents’ general characteristics, frequency, and percentage analysis of responses to the survey questions, reliability analysis of measurement items using Cronbach’s alpha coefficient method, survey analysis by detailed measurement indicator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or testing research hypotheses, one-way ANOVA results to analyze differences in specific operational outcomes. The conclusion of the study, based on research hypotheses and the Likert 7-point scale, acknowledges the reliability of the measurement items, indicating that the direct operation of rural community facilities by residents’ organizations has an impact on the operational performance of the facilities. It is crucial to take steps to ensure that a wide range of people can easily use and benefit from a system. This involves implementing effective environmental management practices and using the best equipment for facilities to ensure smooth operation. Additionally, it is vital to empower resident organizations, the bodies overseeing facility operations, to turn the area into a center for community exchange. For this, the active involvement and direct interest of both resident organizations and local residents are essential, ensuring the creation of a space uniquely suited to the needs of these organizations. It is believed that maintaining the convenience of facilities and the flexibility of development, allowing residents from diverse backgrounds to utilize them, will be a key factor in improving operational performance. The foundation will be then established to strengthen the capabilities of residents through direct operation by various operational entities, fostering community development and a sense of community consciousness in the local area.

목차
1. 서론
2. 이론적 고찰
    2.1 주민조직의 개념 및 농촌 커뮤니티 시설에 관한 연구
    2.2 농촌 커뮤니티 시설의 운영조직 형태와 운영성과
    2.3 선행연구
3. 연구방법
    3.1 연구대상지
    3.2 연구설계
    3.3 독립변수의 측정지표
    3.4 연구가설 설정
4. 결과 및 고찰
    4.1 응답자의 일반현황 빈도 및 백분율 분석
    4.2 측정문항의 신뢰도 분석을 위한 크론바흐의 알파 값(Chronbach’s a) 계수법 분석
    4.3 세부 측정지표별 설문조사 분석
    4.4 연구가설 검증을 위한 다중회귀분석
    4.5 세부 운영성과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한 일원배치 분산분석(ANOVA) 및 사후검정
5. 결론
References
저자
  • 최세윤(전북대학교 대학원 농업경제학과) | Seyun Choi (Dept. of Agricultural Economics, Graduate School, Jeonbuk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
  • 강명길(전북대학교 대학원 농업경제학과) | Myeonggil Kang (Dept. of Agricultural Economics, Graduate School, Jeonbuk National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