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권위주의적 리더십이 과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 전반적 조직공정성의 조절효과와 내재적 동기부여의 매개효과 - KCI 등재

Authoritarian Leadership on Task Performances : The Mediation Effect of Intrinsic Motivation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Overall Justice Percept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261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100원
인적자원관리연구 (Journal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Research)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Korean Academy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초록

최근 ‘꼰대’라는 은어가 한국의 기업조직 내에서 부각되고 있는 가운데 권위주의적 리더와 구성원간 충돌과 갈등이 고조되고 있으며, 권위주의적 리더에 대한 사회적 관심도 점점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절대적 권위와 통제력을 앞세워 조직을 독단적으로 이끌어 나가는 권위주의적 리더는 한국 기업조직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는 매우 보편적인 리더십 스타일의 전형이지만, 권위주의적 리더십이 실제 조직에서 구성원들의 과업성과에 구체적으로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실증한 연구는 매우 드물다. 이에 본 연구 는 권위주의적 리더십과 과업성과의 영향력 관계를 보다 실증적이고 구체적으로 검증하고자 다음 세 가지 목적을 가지고 연구를 수행하였다. 첫째 권위주의적 리더십과 과업성과의 영향력 관계를 검증하고, 과 업성과 하락요인으로서 권위주의적 리더행동이 내포한 위험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둘째, 권위주의적 리 더십과 과업성과의 관계에서 내재적 동기부여의 매개역할을 실증하여 권위주의적 리더십이 과업성과를 하락시키는 과정에 대한 설명력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셋째, 전반적 조직공정성이라는 구성원 개인의 인식 수준 차이에 따라 권위주의적 리더십이 내재적 동기부여에 미치는 효과가 차별화될 수 있음을 확인 하여, 권위주의적 리더십이 내재적 동기부여를 통해 과업성과 하락으로 이어지는 메커니즘을 보다 심층 적으로 이해하는 데 기여하고자 하였다. 연구가설을 확인하기 위해 위해 육군 간부(직속 상사-구성원) 196쌍을 대상으로 1개월의 시차를 두고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SPSS Process Macro를 활용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조직 내 구성원들과 갈등을 빚으며 꼰대라는 은어로 대표되고 있는 권위주의적 리더십은 실제 구성원들의 과업성과에 부정적인 영향력을 미치고 있었으며, 이 과정에서 내재적 동기부 여는 매개역할을 그리고 전반적 조직공정성은 조절기능을 수행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가 설에서 예측했던 바와 달리 권위주의적 리더십과 내재적 동기부여의 부적 관계는 전반적 조직공정성 인 식이 높을수록 더욱 강하게 나타났는데, 이는 높은 전반적 조직공정성(이상)과 권위주의적 리더행동(현 실)의 괴리감에서 오는 인지부조화로 인해 내재적 동기부여가 더욱 급격히 하락하게 된 것이라 해석하였 다. 본 연구는 권위주의적 리더십, 과업성과, 내재적 동기부여, 전반적 조직공정성에 대한 역학관계를 보 다 심층적으로 연구하여 한국 조직에서 매우 보편적인 권위주의적 리더십에 대해 이론적 함의와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였으며, 연구의 말미에는 한계점과 향후 연구방향을 논의하였다.

While the renowned Korean slang 'kondae' has emerged within Korean organizations, social interest in authoritarian leadership is also increasing as conflicts between authoritarian leaders and members are upsurging. Authoritarian leaders, a very common and typical leadership style that can be easily found in Korean organizations, lead organizations with absolute control and authority. However, few studies have demonstrated how authoritarian leadership specifically affects the task performance of members in actual practices. Therefore, the study was set to test the relationship between authoritarian leadership and task performance, and also verify the following three questions. First, the study intended to confirm the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authoritarian leadership and task performance to find out the risks that authoritarian leadership poses. Second, it intended to improve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process that authoritarian leadership deteriorates task performance with the mediating role of intrinsic motivation. Third, the study also intended to verify if the relationship between authoritarian leadership on intrinsic motivation can be differentiated by the overall justice perception of the organization. To test the hypotheses, 196 leader-member pairs of army executives were surveyed within a month lag, and th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nd SPSS Process Macro were conducted. As a result, I found authoritarian leadership harms task performance, and intrinsic motivation mediates the relationship. In addition, the negative relationship was significant only when the overall justice perception was high, and the controlled mediating effect was also significant only when the overall justice perception was high. However, the analysis presented the interesting result that when the overall justice perception is high, the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authoritarian leadership and intrinsic motivation gets stronger, which can be interpreted as a sharp decline in intrinsic motivation due to cognitive dissonance that caused from the difference between high overall justice perception(ideal) and authoritarian leaders' unfair behaviors(reality). The study demonstrated the dynamic relationship between authoritarian leadership, task performance, intrinsic motivation, and overall justice perception, and also provided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authoritarian leadership. The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also discussed at the end of the study.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연구가설
    1. 권위주의적 리더십과 과업성과
    2. 내재적 동기부여의 매개효과
    3. 전반적 조직공정성의 조절효과
Ⅲ. 연구방법
    1. 자료수집 및 연구표본의 특성
    2. 변수의 조작적 정의 및 측정
    3. 분석방법
Ⅳ. 연구결과
    1. 타당성 검증, 기술 통계량 및 상관관계
    2. 가설 검증
V. 결 론
    1. 연구결과 요약 및 시사점
    2.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 방향
참 고 문 헌
Abstract
저자
  • 강승민(국방기술진흥연구소 정책기획실 선임관리원, 국방대학교 박사과정) | Kang, Seungm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