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王夫之 詩學 중의 작품 통합성 연구 KCI 등재

A Study on the Integrity of the Work in Wang Fuzhi’s Poetic Theor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267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000원
中國學 (중국학)
대한중국학회 (Korean Association For Chinese Studies)
초록

본고는 ‘작품의 통합성’이 왕부지의 시학의 중심을 관통하는 중요한 이론으로 보고, 이를 시 창작의 과정을 따라가며 어떻게 적용되는지 검토하였다. 곧 시 쓰기 전의 창작 관념에서 神의 운용과 現量을 중시하며 ‘하나의 뜻’[一意]이 주도하도록 하였으 며, 실제 시를 쓰는 제작 과정에서는 전편과 통합된 투탈어를 강조하였고, 작품 완성 후 감상할 때는 ‘하얀 바탕의 빛나는 비단’으로 비유되는, 자연스러운 통합성을 이룬 작품을 이상으로 여겼다. 여기에서 現量은 詩想의 단계에서만 작용하는 것이 아니라, 구성의 전과정에 관여하였다. 情과 景도 작품의 통합성이란 관점에서 상호 의존적인 개념으로 정립되었다. 渾成과 平美의 미학도 작품의 통합성이 전제되어야 가능한 사 실도 확인되었다. 창작론, 작품론, 형태론을 연결시켜 왕부지의 시학을 재구축하려 시도했다는 점에서 학계에 일정한 기여를 하리라 본다.

This paper regards “integrity of the work” as an important theory that penetrates the core of Wang Fuzhi[王夫之]’s poetry, and examines how this is applied along the process of poetic creation. In the creative thinking before writing a poem, emphasis is placed on divine operation and Pratyaksa[現量], single-minded[一意] takes the lead, and in the process of actually creating a poem, emphasis is placed on the whole structure and integrated language. However, when viewing a work after it was completed, he was most impressed with works that achieved a natural unity, likened to “shining silk on a white background.” Here, Pratyaksa[現量] did not act only at the stage of conceiving a poem, but also took part in the pre-composition process. The mind-scene relationship[情景關係] was also established as an interdependent desire from the viewpoint of integrity of the work. It was also confirmed that the aesthetics of Huncheng[渾成] and Pingmei[平美] must be predicated on integrity of the work. I would like to make a certain pledge to the academic world in that I attempted to reconstruct Wang Fuzhi’s poetry by linking creation theory, work theory, and form theory.

목차
1. 서론
2. 神의 운행과 現量의 통합성
3. 하나의 뜻[一意]과 하나의 기운[一氣]
4. 구의 통합성
5. 단락 나누기에 대하여
6. 渾成과 平美의 미학
7. 결론
【참고문헌】
【논문초록】
저자
  • 서성(배재대학교 중점교육부 부교수) | Seo Sung
같은 권호 다른 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