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청년의 정책인지도와 정책태도의 관계에서 정책효능감 의 매개효과 : 전남지역 청년정책을 중심으로 KCI 등재

The Mediating Effect of Policy 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Youth Policy Awareness and Policy Attitude among Youth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273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400원
한국과 세계 (Korea and World Review)
한국국회학회 (Korea Society of Assembly Studies)
초록

연구의 목적은 청년이 지각하는 청년정책 인지도와 정책태도와의 관계 에 있어 정책효능감의 매개역할을 규명하는 것이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년의 정책인지도가 정책태도의 관계에서 정책효능감의 매 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정책인지도가 정책효능감을 경유하여 정책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간접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청 년인지도가 정책효능감을 향상시키고, 정책효능감은 긍정적인 청년태도 를 갖게 한다. 둘째, 전남지역 청년정책의 인지도를 파악한 결과, 청년의 정책인지도는 낮은 수준이며, 그중 참여·권리분야의 인지도가 가장 낮았 다. 연구의 시사점을 다음과 같다. 첫째, 청년정책의 실시할 때 정책효능 감 향상을 위한 방법들이 효과적이며, 청년이 긍정적인 정책태도를 갖게 하기 위하여 정책효능감을 향상시켜야 한다. 둘째, 청년의 정책인지도가 정책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므로, 정책인지도와 정책효능감을 향상시켜 정 책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갖도록 해야 한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청 년정책의 효과적인 개발 및 적용을 위한 특정 정책 영역과 특정 청년 집 단을 고려하는 중요성을 강조하며, 정책효능감 강화를 위해 구체적인 지 원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e research is to clarify the mediating role of policy 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young people's perceived youth policy awareness and policy attitude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we analyzed the mediating effect of policy 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young people's policy awareness and policy attitudes. The result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direct effect of policy awareness on policy attitudes through policy efficacy. In other words, enhancing youth awareness of policies improved policy efficacy, which, in turn, resulted in positive youth attitudes toward policies. Secondly, we assessed the awareness of Jeollanam-do youth policy. The implication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considering the complete mediating effect of policy 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olicy awareness and attitudes, enhancing policy efficacy is crucial to fostering positive youth attitudes toward policies. Second, efforts should be made to improve both policy awareness and policy efficacy to cultivate positive attitudes toward policies.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1. 정책인지도
    2. 정책효능감
    3. 정책인지도, 정책효능감, 정책태도의 관계
III. 연구설계
    1. 연구대상 및 분석방법
    2. 연구가설 및 연구모형
    3. 변수의 조작적 정의
    4. 조사 도구 구성 및 측정방법
IV. 연구 결과
    1. 기술통계 분석
    2. 상관관계 분석
    3. 정책효능감의 매개효과
V. 결론
<참고문헌>

저자
  • 이소영(전남대학교) | Lee So Young (Chonnam National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