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영화 <라이스 보이 슬립스>에 나타난 디아스포라 로서의 문화 적응의 과정과 정체성 확립 KCI 등재

Cultural Adaptation and Identity Formation in the Diaspora as Depicted i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274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800원
한국과 세계 (Korea and World Review)
한국국회학회 (Korea Society of Assembly Studies)
초록

우리나라의 재외 동포1)수는 2020년 기준 세계 193개국에 약 732만 명이 거주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대한민국 인구수 기준으로 보면 약 14%의 사람들이 해외에서 거주한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이민자들에 대한 문화 적응과 그 정체성 확립에 관한 연구는 1960년대부터 꾸준히 이어져 왔다. 최근 이민자들의 삶을 담은 <미나리>, <파친코> 등의 영상 물이 제작되면서 1세대와 1.5세대, 더 나아가 2세대 이민자들에 관한 관 심이 더욱 높아졌다. 본고에서는 캐나다 이민자의 삶을 다룬 영화 <라이 스 보이 슬립스>(안소니 심 감독 2023)를 통해 디아스포라의 삶을 조망 해 보고자 한다. 이 영화는 ‘밥’, ‘머리카락 색’, ‘안경-렌즈’라는 대상물 을 통해 정체성과 문화 적응의 과정을 표상화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영 화 <라이스 보이 슬립스>를 통해 디아스포라의 정체성 형성에 대해 알아 보고, 디아스포라로서 본국에 적응하기 위한 과정들, 그리고 그 안에 숨 겨진 인종 차별과 갈등 등을 통해 이민자의 문화적 적응과 정체성을 확 립해 가는 과정에 대해 고찰해 보고자 한다.

As of 2020, it is known that about 7.32 million overseas Koreans reside in 193 countries worldwide. Based on the population of South Korea, it can be said that about 14% of the people live abroad. Research on the cultural adaptation and identity formation of these immigrants has been consistently conducted since the 1960s. Recently, the production of visual media such as <Minari> and <Pachinko> has increased interest in first-generation, 1.5-generation, and even second-generation immigrants.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lives of diaspora through the movie <Rice Boy Sleeps> (directed by Anthony Shim, 2023), which deals with the life of a Canadian immigrant. The movie symbolizes the process of identity formation and cultural adaptation through objects such as 'rice', 'hair color', and 'glasses-lenses'. This paper seeks to explore the formation of diaspora identity through the movie <Rice Boy Sleeps>, the process of adapting to the homeland as a diaspora, and the process of cultural adaptation and identity establishment of immigrants through hidden racial discrimination and conflicts.

목차
Ⅰ. 서론
Ⅱ. 문화적 차이로 인한 갈등과 적응 양상
    1. 인종 차이로 인한 갈등
    2. ‘밥’과 ‘김치’로 인한 갈등과 적응
    3. 외형적 동질성의 확보를 통한 적응과 정체성의 미해결점
Ⅲ. 정체성 확립의 과정
    1. 가족이라는 뿌리
    2. 나를 되찾는, 혹은 되찾아 가는 일
Ⅳ. 결론
<참고문헌>

저자
  • 김보현(공주대학교) | Bohyeon KIM (Kongju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