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Effect of Color Overlay on Readability KCI 등재

색상 오버레이가 가독성에 미치는 효과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276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300원
대한시과학회지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대한시과학회 (The Korean Society Of Vision Science)
초록

목적 : 선호하는 색상 오버레이 필름을 사용하면 가독성이 향상되는지 정상 그룹과 광과민성 의심 그룹으로 분 류하여 비교 및 분석하고, 가독성 향상이 디지털 디스플레이와 기존의 종이 모두에서 일관되게 나타나는지 알아보 고자 하였다. 방법 : 2~30대 50명(남자 22명, 여자 28명)을 대상으로 광과민성 정도를 확인하기 위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 고, 색상 오버레이 필름을 사용하여 색상 선호도 검사, 단어 읽기 검사 그리고 만족도 검사를 종이와 디지털 디스 플레이에서 모두 진행하였다. 결과 : 종이에서 정상 그룹과 의심 그룹 모두 Yellow 오버레이 필름을, 디지털 디스플레이에서는 정상 그룹이 Yellow 오버레이 필름, 의심 그룹이 Gray 오버레이 필름을 가장 선호하였다. 색상 오버레이 필름을 사용한 후 정 상 그룹과 의심 그룹은 종이와 디지털 디스플레이 모두에서 읽기속도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읽기속도 향상률은 종이에서 정상 그룹 3.66%, 의심 그룹 6.61%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디지털 디스플레이에서 정상 그룹 3.09%, 의심 그룹 3.91%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 정상인과 광과민성 증후군 모두 색상 오버레이 필름을 사용하면 가독성 향상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 났다. 읽기속도 향상률을 비교하였을 때 종이에서만 유의미한 차이가 관찰되었고, 따라서 디지털 디스플레이를 사 용할 때 더 정밀한 색상 오버레이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앞으로 색상 오버레이의 효과를 종합적으로 평가하기 위 해서는 다양한 사용자의 환경과 디스플레이를 반영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Purpose : To compare and analyze whether the use of a preferred color overlay film improves readability in a normal group and group with suspected scotopic sensitivity syndrome (suspect group) and to determine whether the improvement in readability with color overlay film is consistent across digital displays and traditional paper. Methods : Fifty subjects (22 males, 28 females) in their 20s and 30s were surveyed to determine the degree of scotopic sensitivity syndrome, and color preference, word reading, and satisfaction tests were conducted on both paper and digital displays using color overlay films. Results : On paper, both the normal and suspect groups preferred the yellow overlay film, whereas on the digital display, the normal group preferred the yellow overlay film and the suspect group preferred the gray overlay film. In the word reading test without the color overlay film, the number of words ultimately read by the normal and suspect groups did not significantly differ; however, the satisfaction scores were significantly lower for the digital display than for paper. After using the color overlay film, the normal and suspect groups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reading speed on both paper and digital displays. The reading speed gains were 3.66% for the normal group and 6.61% for the suspect group on paper, and 3.09% for the normal group and 3.91% for the suspect group on digital displays,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 Conclusion : The use of color overlay films could help improve readability in both normal and scotopic sensitivity syndrome individuals. When comparing reading speed improvement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nly observed on paper, suggesting that more precise color overlays were required when using digital displays. To comprehensively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color overlays, future studies should be conducted in a variety of user environments and displays.

목차
Ⅰ. 서 론
Ⅱ. 대상 및 방법
    1. 대상
    2. 연구 방법
    3. 통계 분석
Ⅲ. 결 과
    1. 연구 대상자 특성
    2. 광과민성 설문조사 분석
    3. 오버레이 필름의 색상 선호도 분석
    4. 가독성 비교
Ⅳ. 고 찰
Ⅴ. 결 론
Conflict of interest
References
요 약
저자
  • Ji-Hee Jang(Dept. of Optometry, Graduate School, Eulji University, Student, Uijeongbu) | 장지희 (을지대학교 대학원 옵토메트리학과, 대학원생, 의정부)
  • Hyun-Sung Leem(Dept. of Optometry, Graduate School, Eulji University, Professor, Uijeongbu) | 임현성 (을지대학교 대학원 옵토메트리학과, 교수, 의정부)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