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K 렌즈의 근시 통제에 대한 효과와 안전성
목적 : 본 연구는 Orthokeratology(OK) 렌즈와 기존의 단안렌즈(SV) 안경을 착용한 근시 청소년의 굴절이상을 분석하여 OK 렌즈가 근시 진행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 연구방법은 중국 길림성 북화대학부속병원 안과를 방문한 청소년 환자 100명을 대상으로 50명의 환자를 OK렌즈군과 단초점 안경군으로 나누었다. 두 그룹의 환자 모두 1년 동안 추적관찰하여 시력(VA), 구면등가굴절 (SE), 안축 길이(AL), 각막 내피 세포 수(CEC), 중심 각막 두께(CCT) 및 압력(IOP)의 변화를 비교하였다. 통계분 석은 SPSS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독립표본 T-test로 데이터를 분석하였으며, p<0.050을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 으로 간주하였다. 결과 : Euclid Orthokeratology(OK)렌즈를 착용한 환자의 시력이 서서히 향상되었으나, 단초점 안경을 착용한 환자들은 시력이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으며, 두 그룹 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10). 굴절검사 결과 는 OK 렌즈를 착용한 후 굴절이상이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안경을 착용한 환자들은 굴절이상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두 그룹 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10). 또한, 안축 길이의 분석 결과, OK 렌 즈를 착용한 환자들의 안축 길이는 기준값 대비 0.18±0.18 mm 증가하였고, 안경을 착용한 환자들의 안축 길이는 기준값 대비 0.61±0.20 mm 증가하였다. 두 그룹 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01). OK 렌즈를 착용한 환자들은 안압, 각막 내피 세포 수 및 중심 각막 두께에서 기준값 대비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p>0.050). 결론 : 안경 대비 각막교정렌즈가 구면 등가 구면굴절력(SE)를 감소시키고 시력을 향상시켰으며, 안축 연장을 늦추는데 더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Purpose :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refractive errors profiles of myopic adolescents wearing orthokeratology (OK) lenses and conventional single-vision (SV) spectacles to examine the effect of OK lens on the progression of myopia. Methods : The research method involved 100 adolescent patients who visited the Ophthalmology Department of Beihua University Affiliated Hospital in Jilin Province, China and 50 patients each were divided into an Orthokeratology (OK) lens group and a single-vision glasses group. Both groups of patients were followed up for one year, and changes in visual acuity (VA), spherical equivalent refraction (SE), axial length (AL), corneal endothelial cell count (CEC), central corneal thickness (CCT), intraocular pressure (IOP) were compared.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software and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p<0.050 was consider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 The differences in visual acuity between the two group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10). The refractive results revealed a significant decrease in refractive errors after wearing orthokeratology lenses, whereas an increase in refractive errors was observed in patients wearing spectacle glasses.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10). Furthermore, the analysis of the axial length revealed that the axial length increased by 0.18±0.18 mm in of the OK group and 0.61±0.20 mm in the spectacle group.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01). Patients wearing OK lenses showed no significant changes in intraocular pressure, corneal endothelial cell count, and central corneal thickness compared to baseline (p>0.050). Conclusion : The results showed that OK lenses were more effective in reducing spherical equivalent, improving visual acuity, and slowing down axial length elongation compared to single vision spectac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