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일반계 고등학생의 진로성숙도 전이 패턴 및 영향요인 분석: 경기도를 중심으로 KCI 등재

Longitudinal Transition of Career Maturity of General High-school Students and the Factors affecting Transition Patterns Using GEPS dat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298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400원
미래교육연구 (The Journal of Future Education)
한국미래교육학회 (The Korea Association of Future Edcation)
초록

이 연구에서는 경기교육종단연구 초등학교 4학년 패널의 7차년도, 9차년도 데이터를 사용하여 일반계 고등학생의 진로성숙도 잠재집단을 유형화하고, 각 잠재집단 간 전이 양상을 확인하며, 전이 양상에 영향 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목적에 따라 잠재프로파일분석(Latent Profile Analysis: LPA) 을 실시하여 고등학교 1학년(7차년도), 3학년(9차년도) 시기 진로성숙도 잠재집단을 유형화하고, 잠재전 이분석(Latent Transition Analysis: LTA)을 통해 전이 패턴을 분석하였다. 추가로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전이패턴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일반계 고등학생의 고1 시점(7차)에 서 3개의 잠재 집단(높은 진로성숙, 중간 진로성숙, 낮은 진로성숙)으로, 고3 시점(9차)에서 3개의 잠재 집단(높은 진로성숙, 중간 진로성숙, 낮은 진로성숙)으로 분류되었다. 두 시점의 잠재집단 간 전이확률 분 석 결과, 모든 잠재집단에서 절반가량의 학생들이 다른 잠재집단으로 전이하여 다양한 영향요인에 따른 진로성숙도 변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집단 간 전이패턴은 전체 표본을 기준으로 􍾧중간 진로성숙􍾨 집단에 서 􍾧중간 진로성숙􍾨을 유지하는 경우가 31.1%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낮은 진로성숙􍾨 집단에서 􍾧낮은 진 로성숙􍾨을 유지하는 경우가 14.0% 순이었다. 전이 패턴을 􍾧상향􍾨, 􍾧유지􍾨, 􍾧하향􍾨으로 분석했을 때 유지 패턴 (57.5%)이 가장 많았았고 상향(22.5%) 패턴, 하향 패턴(20.0%) 순이었다. 학생의 개인적 특성, 진로활 동 도움 정도는 진로성숙도 잠재 집단 간 상향 및 하향 패턴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 구 결과를 토대로 일반계고 진로교육을 위한 결론 및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longitudinal transition of career maturity of Korean general highschool students and factors affecting the transition patterns. For this purpose, we analyzed the Gyeonggi Education Panel Study 7th(1st grade) and 9th(3rd grade) wave datasets, with valid sample size of 4,027. Latent profile analysis was conducted to cluster of career maturity of each wave, and latent transition analysis identified transition patterns of each wave􍾨s latent classes. Furthermor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find influential factor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presented as follows. First, both the 7th wave and 9th wave of Korean general highschool students were divided into the following three groups that are high career maturity, medium career maturity, and low career maturity. Second, almost half of students move from one group to another, which shows that it is possible to change career maturity levels over time under the influences of various factors. Third, the most common transition pattern is 􍾧medium career maturity(7th)􍾨 group to 􍾧medium career maturity(9th)􍾨 group(31.1%), and the case of 􍾧low career maturity(7th) group staying 􍾨low career maturity(9th)􍾨 is next. Fourth, when we realign transition patterns as 􍾧going up􍾨, 􍾧staying same􍾨, 􍾧going down􍾨 and check proposition, 􍾧staying same􍾨 is the most common(57.7%), and 􍾧going up(22.5%)􍾨, 􍾧going down(20.0%)􍾨 are followed. Fifth, students􍾨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career education activities have affected 􍾧going up􍾨 pattern and 􍾧going down􍾨 pattern. Based on the main findings, we presented practical and academic suggestion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1. 진로성숙도
    2. 진로성숙도 영향요인
Ⅲ. 연구방법
    1. 분석 자료
    2. 연구 절차 및 연구 모형
Ⅳ. 연구결과
    1. 일반계 고등학생의 진로성숙도 잠재집단
    2. 진로성숙도 잠재집단 간 전이 패턴
    3. 진로성숙도 전이 패턴 영향요인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조은혜(불정초등학교 교사) | Cho Eunhye
  • 변주영(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원) | Byun Jooyou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