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식물성 대체육의 안전성 검증을 위한 위해요소 모니터링 KCI 등재

Monitoring Hazards to Verify the Safety of Plant-Based Meat Alternative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323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300원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Korean Society of Food Hygiene and Safety)
초록

국내에서 제조되어 유통되는 식물성 대체육을 대상으로 일반성분(수분, 단백질, 지방), 지방의 산패도, 지방산의 조 성, 아플라톡신, 중금속 함량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한번 익힌 후 건조된 형태의 식물성 대체육보다 익히지 않고 수분이나 지방에 의해 성형과정을 거친 냉동제품에서 상 대적으로 많은 양의 지방을 함유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조지방 함량이 1 g을 넘는 시료를 대상으로 지방 의 산패도(산가, 과산화물가)를 측정했다. 그 결과 일부 시 료에서 높은 산가 및 과산화물가가 측정되었으나 식품공 전상에 대체육에 대한 정확한 분류가 되어있지 않아 산패 도에 대한 안전성을 판단하기 위한 규격이 필요해 보인다. 가스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여 지방산 조성을 분석한 결 과 대부분은 불포화지방산이 차지하고 있지만, 일부 포화 지방산의 함량이 높은 시료가 있었다. 포화지방산 및 불 포화지방산의 함량이 높은 식물성 대체육을 식물성 유지 를 사용하여 가열조리를 거쳐 섭취하게 된다면, 많은 양 의 지방을 섭취하게 될 수 있음을 예측할 수 있다. 또 가 스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한 지방산 분석법을 통해 식물성 대체육에 동물 유래 지질이 함유되어있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이후에 식물성 대체육에 대한 영양표시 성분 및 실제성분의 대조 시에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 다. 식물성 대체육에 대하여 아플라톡신을 분석한 결과 현 재 식품공전에 제시된 농산물 중 아플라톡신 기준규격에 대하여 적합인 수준이나 미량 검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중금속의 분석 결과 모두 불검출이었으나 환경요인 및 원 재료에 따라 중금속의 오염이 의심될 시에 중금속 분석을 진행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실험결과를 통 해 국내에 유통되고 있는 일부 식물성 대체육에 대한 안 전성을 확인하였으나 산가, 과산화물가, 아플라톡신, 중금 속은 대체육에 대하여 구체적인 분류 및 적합 규격이 마 련되어 있지 않아 적합 판정시에 비슷한 성향을 가진 식 품군에 대조하여 판단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기존의 기준에 대하여 검토 또는 변경을 거쳐 식물성대체 육에 대한 관리기준이 설정한다면 유사한 식품군의 건전 성 및 적합성을 유지하는 것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The proportion of plant-based meat alternative (PBMA) consumers has recently increased in Korea. This is due to several reasons including protecting the environment, satisfying preferences, maintaining health, and improving eating habits. Accordingly, many companies produce and sell alternative meat using various materials. Alternative meats are classified into plant (such as soybeans and wheat), seaweed, insect, and cultured meats, depending on the raw materials used in manufacturing. PBMA is sold after undergoing processes such as grinding, seasoning, and molding. Therefore, monitoring the presence of any hazardous elements during this process is essential. Accordingly,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harmful components of nine domestically distributed PBMA that are most easily accessible to consumers. After extracting fat from the samples and analyzing the rancidity level, samples F, G, and I were highly rancid. Trace amounts of aflatoxin were detected in samples A and B, but confirmed to be within the range. Cd and Pb were not detected in any sample. We hope that this study will help establish methods to ensure the safety of domestically sold PBMA.

목차
Materials and Methods
    실험재료
    일반성분분석
    산가·과산화물가
    지방산 분석
    가스크로마토그래피 조건
    아플라톡신
    액체크로마토그래피 조건
    중금속 분석
    ICP-OES 조건
    통계분석
Results and Discussion
    일반성분분석
    산가 및 과산화물가
    지방산 조성
    아플라톡신
    중금속
국문요약
References
저자
  • 마아영(전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Ayeong Ma (Department of Food and Nutrition, Chonnam National Universit, Gwangju, Korea)
  • 신은성(전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Eun Sung Shin (Department of Food and Nutrition, Chonnam National Universit, Gwangju, Korea)
  • 손선아(전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Seon-A Son (Department of Food and Nutrition, Chonnam National Universit, Gwangju, Korea)
  • 신태선(전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Tai-Sun Shin (Department of Food and Nutrition, Chonnam National Universit, Gwangju, Korea) Corresponding author
  • 정현정(전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Hyun-Jung Chung (Department of Food and Nutrition, Chonnam National Universit, Gwangju, Korea)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