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제주도에서 분리된 살모넬라균의 혈청형 및 유전학적 특성 KCI 등재

Serovars and Genetic Characteristic of Salmonella spp. Isolates from Jeju Island, South Kore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323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200원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Korean Society of Food Hygiene and Safety)
초록

살모넬라균은 가장 대표적인 수인성·식품매개질환 중 하 나이며 전 세계적으로 인간 위장염, 설사 질환의 가장 흔 한 원인이 되는 병원체이다. 식품 및 환경 검체, 식중독 또는 설사 환자로부터 분리한 살모넬라균의 혈청형, vitek2 를 이용한 항생제 내성검사, PFGE를 이용한 유전적 상관 관계를 조사하였다. 2020년부터 2023년까지 제주도의 식 품 또는 환경 검체에서 26주와 인체검체에서 313주로 총 339주가 분리되었다. 월별로 분리된 살모넬라균은 3월부 터 서서히 증가하여 8월에 가장 많이 살모넬라균을 분리 되었다. 환자로부터 분리된 살모넬라균은 성별에 따른 유 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살모넬라균은 70세 이상의 사람들에게서 가장 많이 분리되었고, 10-19세 사이의 사 람들에게서 가장 적게 분리되었다. 식품 및 환경 검체에 서 분리된 살모넬라균은 8개 혈청형이 있었으며, 주요 혈 청형은 S. Bareilly (26.9%), S. Rissen (23.1%), S. Thompson (19.3%) 순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인체검체로 부터 분리된 살모넬라균은 27개 혈청형이 있었으며, 주요 혈청형은 S. Bareilly (31.0%), S. Typhimurium (24.6%), S. Enteritidis (11.5%) 순으로 확인되었다. 집단식중독의 원인이 되었던 살모넬라균 혈청형은 S. Bareilly, S. Enteritidis, S. Thompson이 있었다. 항생제 내성 검사 결과에서는 다양 한 항생제에 대한 내성이 나타났으며, 일부 살모넬라균에 서는 다제내성이 나타났다. 살모넬라균은 17개의 혈청형 에 따라 다양한 유전적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 이러한 결 과는 살모넬라균의 유행을 예측하고, 과학적 근거를 제공 함으로써 역학조사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Salmonella spp. is among the most important water-borne and food-borne pathogens and is one of the most common causes of human gastroenteritis and diarrheal diseases globally. In this study, Salmonella spp. isolated from food, environmental samples, and patients with food poisoning or diarrhea were investigated Salmonella serovars, antibiotic resistance using Vitek2, and genetic characteristics through pulsed-field gel electrophoresis (PFGE). Salmonella spp. of 339 strains, including 26 strains from food or environmental samples and 313 strains from patients, were isolated from Jeju Island of South Korea between 2020 and 2023. The monthly number of isolated Salmonella spp. gradually increased from March, with the highest number being in August.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almonella spp. isolated from patients according to gender was observed. However, Salmonella spp. was most frequently isolated from people aged 70 years or older and least frequently isolated from those between ages 10 and 19 years. Salmonella spp. isolated from food or environmental samples were distributed among eight different serovars and the main serovars were identified in the order of S. Bareilly (26.9%), S. Rissen (23.1%), and S. Thompson (19.3%). Salmonella spp. isolated from patients were distributed among 27 different serovars and the main serovars were identified in the order of S. Bareilly (31.0%), S. Typhimurium (24.6%), and S. Enteritidis (11.5%). The main cause serovars of Salmonella spp. outbreaks are S. Bareilly, S. Enteritidis, S. Thompson. Antibiotic resistance tests indicated resistance to various antibiotics and some Salmonella spp. exhibited multidrug resistance. Salmonella spp. showed various genetic correlations among the 17 serovar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epidemiological investigations by predicting the appearance of Salmonella spp. and providing a scientific basis.

목차
Materials and Method
    조사대상 및 검체수집
    식품 및 환경검체에서 살모넬라균 분리 및 확인 동정
    인체검체에서 살모넬라균 분리 및 확인 동정
    혈청형 검사
    항생제 감수성 검사
    PFGE 실험 및 분석
Results and Discussion
    살모넬라균 혈청형 분석
    살모넬라균 분리현황
    살모넬라균 항생제 감수성
    항생제 다제내성 유형
    PFGE에 의한 유전적 상관관계 분석
국문요약
References
저자
  • 강은옥(제주특별자치도 보건환경연구원) | Eunok Kang (Jeju Institute of Health and Environment, Jeju, Korea) Corresponding author
  • 조만재(제주특별자치도 보건환경연구원) | Man Jae Cho (Jeju Institute of Health and Environment, Jeju, Korea)
  • 양창희(제주특별자치도 보건환경연구원) | Chang Hui Yang (Jeju Institute of Health and Environment, Jeju,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