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50대 직업여성의 나이 듦에 대한 인식변화에 관한 연구 KCI 등재

About the age of working women in their 50s : A Study on the Change of Percept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327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800원
한국과 국제사회 (Korea and Global Affairs)
한국정치사회연구소 (Korea Institute of Politics and Society)
초록

본 연구는 50대 직업여성의 나이 듦에 대한 인식변화의 본질적 의미와 체험한 바를 어떻게 지각하고 받아들이는지에 대한 탐색을 목적으로 둔 다. 이를 위해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 방법을 적용하였고, 50~60세의 직업여성 6명을 대상으로 2024년 12월 4일부터 12월 29일까지 포커스 그룹 면담 및 개인 면담이 이루어졌다.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면 담 내용을 녹음한 것을 전사하여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는 본질적 주제 4개와 구성요소 10개, 의미 단위 38개로 도출되었다. 본질적 주제 4개는 “어제의 나”, “중년의 나”, “장년(지금)의 나”, “내일의 나”이다. 구성요소 10개는 “외골진 생각”, “반갑지 않은 생각”, “나이 듦에 관한 생각”, “소통에 관한 생각”, “이해하는 삶”, “변화하는 삶”, “즐기는 삶”, “주체적인 삶”, “성숙한 삶”, “조력자의 삶”으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노년의 문턱에 있는 50대 직업여성의 나이 듦에 대한 인식변화에 대하여 살펴보며 중년의 삶을 이해하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되어 중년에 특성을 고려한 교육 및 프로그램 개발에 도움이 되며, 맞춤형 정책으로 중장년 이 성공적인 노후를 준비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how to perceive and accept the essential meaning and experiences of the change in perception of aging of working women in their 50s. To this end, Giorgi's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was applied, and focus group interviews and personal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6 working women aged 50 to 60 from December 4, 2024.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terviews and recorded interview contents were transcribed and analyzed. The results of data analysis were derived into 4 essential themes, 10 components, and 38 semantic units. The four essential themes are "Yesterday's me", "middle-year me", "long-year me (now) me", and "Tomorrow me". The 10 components were derived as "foreign thoughts", "unwelcome thoughts", " thoughts about aging", "conception about communication", "understanding life", "changing life", "subjective life", "mature life", and "helper's life". This study examines the change in perceptions of working women in their 50s on the threshold of old age and is used as basic data to understand middle-aged life, helping to develop education and programs that take into account characteristics in middle age, and it is expected that the middle-aged and middle-aged can prepare for a successful retirement through customized policie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1. 연구참여자 선정
    2. 연구참여자 특성
    3. 자료 수집 방법 및 윤리적 고려
    4. 자료의 분석
Ⅲ. 연구 결과
    1. 50대 직업여성의 “나이 듦에 대한 인식변화”에 관한 구성요소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저자
  • 현미정(경성대학교) | MiJeong Hyun (Kyungsung University)
  • 어은경(경성대학교) | Eun Kyung Eo (Kyungsung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