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Pollination activities of Apis mellifera and Apis cerana in strawberry greenhous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3413
모든 회원에게 무료로 제공됩니다.
한국응용곤충학회 (Korean Society Of Applied Entomology)
초록

시설재배 딸기의 화분매개에 꿀벌 사용이 보편화되어있지만 동양종(A. cerana) 꿀벌의 화분매개효과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딸기에서 동양종 꿀벌의 화분매개자로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비닐하우 스 딸기에서 서양종 꿀벌과 화분매개행동 특성을 비교하였다. 향후 봉군 수명과 착과된 딸기의 기형과율품질을 평가 할 예정이다. 서양종과 동양종 꿀벌은 10시 이후부터 활동량이 증가하고, 13시에 방화활동이 가장 활발하였 으며 이후부터 감소하는 일주행동 패턴을 보였다. 서양종과 동양종 꿀벌 활동성은 모두 온도, 조도, 자외선과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상대습도와는 부의 상관을 보였다. 특히 서양종 꿀벌은 온도, 조도, 자외선이 같은 수준의 상관(r=0.7)을 보이는 것에 반해, 동양종 꿀벌의 경우 온도와 습도보다 광조건(조도, 자외선)에서 더 높은 상관계수(r>0.9)가 나타났다. 서양종과 동양종 꿀벌의 방화특성을 조사한 결과 꽃에 머무는 시간은 서양종 꿀벌 이 평균 6.9초, 동양종 꿀벌이 7.0초로 같은 수준이었으나(p>0.05), 꽃 간 이동시간은 동양종 꿀벌이 2.4초로 서양 종꿀벌(3.1초)보다 20% 유의미하게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p=0.011). 따라서 같은 시간에 동양종 꿀벌이 서양종 꿀벌보다 더 많은 꽃을 방문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저자
  • Heeji Kim(Department of Agricultural Biology, The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RDA)
  • Kyeong Yong Lee(Department of Agricultural Biology, The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RDA)
  • Young Bo Lee(Department of Agricultural Biology, The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RDA)
  • Bo-Sun Park(Department of Agricultural Biology, The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RDA)
  • Su-Bae Kim(Department of Agricultural Biology, The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RDA)
  • Kyu-Won Kwak(Department of Agricultural Biology, The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RDA)
  • Dong Hee Lee(Department of Agricultural Biology, The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RDA)
  • Sung Hyun Min(Department of Agricultural Biology, The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RD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