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Quantitative study of wild bees diversity in Seocheon Maeul-soop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3473
모든 회원에게 무료로 제공됩니다.
한국응용곤충학회 (Korean Society Of Applied Entomology)
초록

생태계내에서 중요한 수분매개체인 야생벌을 보전하기 위해서는 풍부도와 다양성을 모니터링 하는 것이 중 요하다. 충청남도 서천군의 마을숲에서 야생벌을 2년간 조사한 결과 총 9과 57종 3,258개체를 채집하였다. 우점 종은 애꽃벌과의 꼬마애꽃벌이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양봉꿀벌, 수염줄벌, 구리꼬마꽃벌이었다. 종수는 2월 부터 증가하다가 8월에 가장 많았으며, 개체수는 4월에 가장 많고 이후 줄어들었다. 야생벌의 종 목록 살펴보면, 꿀벌과가 16종으로 가장 많았으며, 애꽃벌과의 꼬마애꽃벌은 1종이지만 개체수는 2,084개체로 본 연구에서 가 장 많이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조사된 결과는 향후 기후변화로 인한 수분매개 곤충의 영향을 파악하는데 유용하 게 쓰일 것이다.

저자
  • Sanghun Lee(Wetland Research Team,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 Ohchang Kwon(Guseongnam-ro 912 Hongseong-gun Chungcheongnam-do)
  • Dong Su Yu(National Agrobiodiversity Center,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s)
  • Na-Hyun Ahn(Climate Change and Carbon Research Team,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 Jeongseop An(Invasive Alien Species Team,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