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6

        1.
        202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마을숲은 농촌마을의 대표적 경관이자 녹지 환경으로서의 생태적 기능을 비롯하여 마을의 다양한 문화가 이루어지는 공간 제공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생태계서비스의 개념적 틀을 응용하여 마을숲의 가치를 측정할 수 있는 평가 지표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먼저 생태계서비스 평가와 관련한 국제 기준의 검토를 통하여 평가지표로 공급, 조절, 지지, 문화의 4개 대분류를 설정하고 28개의 세부항목을 설정하였다. 마을숲과 관련된 21개의 문헌에서 나타난 마을숲의 기능, 역할, 효과 등을 평가 항목에 맞추어 분류하고 각 유형별 세부 내용을 고찰하였다. 과거와 현재의 마을숲 기능을 고려하여 전문가 브레인스토밍을 통해 4개 유형 24개의 평가 항목을 선정하였다. 도출된 평가 항목으로 4개 마을숲의 주민을 대상으로 중요도를 평가하여 신뢰성을 분석한 결과 24개 문항의 크론바흐 알파 계수가 0.857로, 신뢰성이 높은 수준이나, 공급의 3개 항목, 지지의 1개 항목을 제외하면 신뢰성이 더 높아진다. 또한 각 항목별로 중요도를 분석하면 공급기능은 중요도가 보통보다 낮은 수준이었으며 이는 현재 마을숲에서의 공급기능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신뢰도와 중요도의 결과를 바탕으로 최근 마을숲에서 중요도가 낮은 공급 기능 3개 항목과 신뢰성이 낮았던 지지 기능 1개 항목 등 4개 항목을 제외한 20개 항목을 마을숲의 생태계서비스 평가지표로 도출하였다.
        4,000원
        2.
        201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과업은 핵심적인 농촌자원이자 경관생태자원인 마을숲 및 주변의 시설을 활용하여 지역 및 마을의 경관생태적 복원 및 공동체성 회복을 위한 경관계획적 대안을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고 있다. 대상지는 장수군 장수읍에 위치한 노하숲으로, 현재 이곳을 포함한 장수읍 일원은 2017년부터 농촌중심지 활성화사업 선도지구사업이 활발히 진행 중에 있다. 계획의 비전 및 방향을 “사람과 숲이 어우러진 행복공감 커뮤니티 숲 조성”로 설정하였으며, 훼손되어온 노하숲의 생태적 가치를 보전하면서도 주민 활용성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계획하였다. 장수군 노인/장애인복지관, 행복나눔센터(계획) 등 주변시설의 앞마당 공간을 제공하여 휴게, 놀이, 여가 등 다양한 활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동선계획의 경우 무장애 순환형 동선을 구축하여 다양한 계층의 이용 편의성을 향상시키며, 동선계획으로 주 진출입부와 단절된 내부동선을 연결하였으며, 인접한 시설들과의 접근성을 향상시켰다. 기본 구상으로 첫째, UNESCO MAB의 기준에 따라 핵심구역은 생태숲으로, 완충구역은 정원숲을 그리고 협력(전이)구역은 피크닉숲으로 조성 및 유지·관리하고자 한다. 둘째 남동, 북서측에 진입마당을 설치하여 개방감을 확보하고 진입인지성과 편의성을 증진한다. 셋째, 나무놀이터, 그늘쉼터를 조성하여 아이들과 젊은 엄마들의 휴게, 놀이 및 정보공유의 공간으로 활용하도록 한다. 기본구상에 따른 주요 공간은 진입마당, 정원쉼터, 건강쉼터, 숲학습장 및 피크닉숲 등으로 구성하였다.
        4,000원
        3.
        2014.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청산도는 전라남도 완도군에서 약 19.2㎞ 떨어진 곳에 위치한 섬으로 아시아 최초 슬로시티로 선정되었다. 지금은 천혜의 관광자원과 풍부한 수산자원으로 많은 관광객을 유 치하고 있지만 한 때는 왜구의 침략이 잦아 도서금주령이 내려지기도 했다. 16세기 말경 다시 주민이 이주하여 정착 하고 1681년(숙종7) 수군만호진이 설치된 이후부터는 서남 해안을 방어하는 군사적 요충지로서의 역할을 담당하였다. 청산도 마을숲은 입도조들의 이주 경위와 입도 후 정착과 정에 따라 다르게 조성되었다. 특히 청산면 지리 해수욕장은 수령이 200년 이상이나 된 곰솔 800여 그루가 백사장을 따 라 길게 숲을 이루고 있는데, 김희서(1848~1927)에 따르면 청산도에 정착한 마을 주민들이 공동의 노력으로 조성된 것 으로 전해진다. 이와 같이 마을숲은 마을의 역사, 문화, 신앙 등을 바탕으로 하여 이루어진 마을 사람들의 생활과 직접적 인 관련을 가진 숲(박재철, 2006)으로 슬로시티와 같은 문화 마을이나 생태마을 조성에 있어 재조명될 필요가 있다 (Kang et al,. 2004). 따라서 본 연구는 청산도 마을숲의 유 형을 분석하고 청산도 마을숲이 갖는 전통생태학적 마을숲 의 역할을 제고하여 마을숲 보전 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2014년 6월 9일부터 13일까지 5일간 현존하는 청산도 마을숲 5곳(신흥리 1개소, 읍리 1개소, 당리 2개소, 지리 1개소)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연구 방법으로는 청산 도 이주 역사와 마을숲 생성배경을 문헌을 통해 고찰하고, 청산도 마을숲 5곳을 전수조사하여 청산도의 역사적 배경과 입지에 따라 마을숲 유형을 나누었다. 마을숲의 유형 구분은 주민들의 마을숲 이용 방법과 조성 목적 및 역사에 관한 연구(강구찬, 2008)를 참고로 분류하였다. 식생 현황에 대한 조사는 층위별로 각 수종의 상대적 우세를 비교하기 위하여 Curtis and McIntosh(1951)의 중요도(Importance Value)를 백분율로 나타낸 상대우점치(Importance Percentage; I.P.) 를 산출하여 각 군락의 식물사회학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나아가 마을숲 관리 현황의 실태를 파악하고 문제점을 분석 하기 위해서 사진 촬영도 병행하였다 마을숲 유형 분류 결과 청산도 마을숲 5곳은 모두 수구막 이와 비보의 기능을 갖추어 풍수적인 목적으로 조성되었다. 그 중 1)신흥리 마을숲과 4)당리 마을숲, 5)지리 마을숲은 해안가에 위치하여 선형으로 조성되었는데 이는 방풍 및 비 보의 성격을 가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2)읍리 마을숲과 3)당리 마을숲은 당집이나 당산나무가 존재해 당산숲으로 서의 기능을 한다. 2)읍리 마을숲은 마을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하여 숲 안쪽의 마을을 차폐하는 기능을 했고, 3)당리 마을숲은 마을 입구에 위치하여 당산제를 지내고 종교적인 기능을 했다. 특히 당리 마을숲은 김정호가 작성한 <당리연 혁지>에서 통일신라 경 왜구 침입을 피해 입도하여 마을을만들었다고 전해지며, 이를 기리기 위하여 당집이 세워졌다. 또한, 당리마을 주민들은 1797년 청산도민 대표 3인을 보내 조세착취의 폐단을 상소하고, 돌탑을 쌓아 3인의 공적을 기 린 것으로 전해진다. 3)당리 마을숲의 경우 남쪽 해안가가 바로 내려다보이는 위치 때문에 군사적인 목적으로 이용되 기도 하였다. 같은 맥락에서 4)당리 마을숲은 해안가에 위치 하여 3)당리 마을숲을 차폐하고 보호하는 기능을 했다. 마을숲 식생 현황은 1)신흥리 마을숲의 경우 교목층에서 곰솔이 98.4%, 아교목층에서 붉가시나무가 100%로 우점하 였고, 관목층에서 39.38%로 누리장나무가 우점하였다. 2) 읍리 마을숲은 교목층에서 느티나무가 44.5%로 우점하였 고, 비술나무가 14.9%로 차우점하였다. 아교목에서는 느티 나무와 붉가시나무가 50%로 우점하였다. 3)당리 마을숲과 4)당리 마을숲, 5)지리 마을숲은 모두 교목층에서 곰솔이 100%로 우점하였는데, 3)당리 마을숲은 아교목층에서 47.7%로 붉가시나무가 우점하고, 관목층에서 51.08%로 보 리장나무가 우점하였지만 4)당리 마을숲과 5)지리 마을숲에 서는 아교목층에서도 곰솔이 100%로 우점하였다. 4)당리 마을숲은 관목층에서 멀구슬나무가 13.2%로 우점하고 구기 자나무, 팽나무, 사철나무 등이 7.2%로 차우점하였지만 5) 지리 마을숲은 관목층에서 29%로 사스레피나무가 우점하 였다. 청산도 마을숲에서 곰솔이 우점하는 이유는 17,18세기 청산도진을 설치하고 송전(松田)관리를 위해 곰솔림을 조 성하였기 때문이다. 청산도진은 선박건조나 건물건축의 용 도로 지방관청과 중앙관청에 이중으로 목재를 납세하였다. (김경옥, 2004). 하지만 현재 청산도 전역은 관광 상품으로 서 자연자원인 청보리밭이나, 돌담밭을 활용하고 있다. 현대 의 건축 양상이 변화하여 더 이상 소나무를 식재하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청산도만의 특색 있는 곰솔림을 마을숲으로 보전하기 위 해서는 문화와 역사의 가치를 재해석하여 옛 비보 및 방풍림 으로서 마을숲의 기능을 살리는 마을숲 경관 연결이 필요하 다. 예를 들어 2)읍리 마을숲은 수구막이 숲으로 산지 사이 에 있는 평지에 조성되어 양쪽 산줄기를 잇는 숲의 다리 구실을 한다. 하지만 지금은 겨우 보호수만 지정하고 마을숲 에 대한 관리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4)당리 마 을숲의 경우에도 해안을 따라 선형의 곰솔림이 유지된다면 슬로시티 청산도의 ‘느림길’ 과도 맥락을 같이하고 마을숲 을 활용하여 생태마을의 가치를 높일 수 있다. 또한, 3)당리 마을숲은 현재 서편제 촬영 장소와 연결되어 있어 답압으로 곰솔 하부에 일부 토양침식이 진행되고 있다. 벤치나 휴게시 설이 숲 안쪽 곰솔 그늘 주변으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5)지 리 마을숲의 경우에도 주변 해수욕장을 이용하는 관광객들 의 답압으로 나지화가 많이 진행된 상태이다. 하층 식생을 다양하게 식재한다면 답압의 피해를 줄이고 송림을 보전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송림의 나무높이는 방풍림을 지난 바 람이 지면에 미치는 거리뿐만 아니라 경작지에 미치는 그늘 의 범위를 결정하여 생산량에도 영향을 미친다(이도원 2001). 해안숲이 가지는 평면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수직적 인 특성을 고려한다면 마을숲의 다채로운 이용과 경관 조성 이 가능할 것이다. 청산도 마을숲은 기본적으로 왜구의 침입에 방어하고, 자 신들의 삶을 고립되게 하기 위하여 만들어졌다. 청산도의 ‘고립’의 역사를 드러내어 ‘소통’의 길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마을에서 일어나는 삶이 마을 자연경관과 어우러지는 물질 적, 정서적 관계를 연구해 볼 필요가 있다.
        4.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천연기념물 제469호로 지정된 예천 금당실 송림의 실질적인 보존관리방안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고 지속가능한 관리 및 보호방안을 제안하였다. 숲에 영향을 주는 문제점을 방지하고 저감하여 숲의 지속가능한 이용과 보전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지형 및 지세, 토지이용, 수목 생육현황, 토양환경, 이용 및 관리현황 등을 조사·분석하였다. 예천 금당실 송림은 해발 130~140m의 평탄지에 위치하며, 주변지역은 대부분 경작지로 이용되었다. 송림에 식재된 수목은 총 565주이며, 이중 소나무가 558주이고 25개의 밑둥이 확인되었다. 식재된 소나무는 흉고직경 30~50㎝에 집중되어 있었으며, 평균 수령은 85.4년이었고, 최고 수령은 약 200년으로 추정되었다. 표본목의 가지 생장량은 연간 4.3~5.1㎝이며 가장 생장이 왕성한 중앙의 가지는 3년간 평균 24.2㎝의 생장을 보였다. 7개 조사구의 토양 이화학적특성 분석 결과 유기물 함량, 전질소, 유효인산, 전기전도도 항목은 비교적 양호하였으나, 토양 ㏗, 치환성 양이온 등의 항목에서 개선이 필요하였다. 현재 내부의 시설물와 이용압력은 많지 않은 상태이나, 경작에 의한 잠식 등의 위협요인이 남아있으며, 생태계 관리에 치중한 관리로 시설물, 이용객, 운영 관리 등의 종합적인 관리가 필요한 상태이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지속가능한 관리방안은 생태계관리, 시설물관리, 이용객관리, 운영관리 4가지 부분을 고려하였다.
        4,800원
        5.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진안군의 산림과 마을숲 주변 경관의 서식지 변화 과정을 경관지수와 서식지 형태 분석으로 밝히고,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한 경관생태학적 함의를 제시하고자 수행되었다. FRAGSTATS과 GUIDOS 서식지 분석 프로그램에서 1989년과 2006년의 토지피복도를 활용하여 진안군 산림과 34개 대표적인 마을숲 주변 경관의 서식지 구성과 짜임을 분석하였다. 진안군 핵심과 통로 서식지의 면적, 서식지 연결성은 1989년보다 2006년에 낮았다. 또한, 마을숲 주변 서식지의 파편화 정도와 서식지의 구조적, 기능적 연결성은 1989년보다 2006년에 낮았다. 서식지 파편화를 감소시키고 연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기존에 존재하는 마을숲과 주변 생태통로를 보전하면서 새로운 생태통로를 조성해주는 전략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경관지수와 서식지 형태 분석은 급격하게 변하는 경관에서 서식지 기능과 짜임을 분석하는 데 효과적인 기법으로 활용될 수 있다.
        4,200원
        6.
        201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마을 주변의 전통 소나무숲을 선정하여 숲의 구조와 생장실태를 조사하고, 양호한 생장과 보전을 위한 관리방안을 수립하는 것이었다. 연구대상 소나무숲은 강원도 영서지역에 분포하는 12개소를 선정하였다. 숲의 조성시기는 개소별로 최소 50~최대 200년 전이었고, 소나무의 평균 흉고직경과 밀도는 각각 27~52cm, 0.5~9.3주/100m2이었다. 생장기반인 토양환경은 소나무 생장에 대개 양호한 편이었으나, 토성이 사토로서 보비력이 낮은 2개소의 경우 토양양분이 현저하게 낮았다. 일부 숲은 복토, 답압 등으로 인해 근계생장 장해에 따른 수세저하가 나타났다. 수간의 수피탈저 및 공동피해가 6개소에서 발생하였고, 그 원인은 인위적 외상, 전정 부주의, 동해 등이었다. 병해는 그을음잎마름병, 갈색무늬병 등이 6개소에서 발생하였고 피해정도는 경미하였다. 충해의 경우는 솔잎혹파리에 의한 피해로서 피해정도는 6개소에서 경미하였으나, 2개소에서는 상대적으로 더 현저하였다. 이와 같이, 연구대상 소나무숲의 생장저해를 야기하는 주 요인은 양분부족, 복토 및 답압, 수간훼손, 병충해 등이었다. 이들 원인별 문제점을 개선하여 해당 소나무숲을 보전할 관리방안을 모색하였다. 관리방안은 유기물과 석회 시용, 복토 제거, 토양굴기와 자갈포설, 목도설치 또는 우드칩 포장, 목책 및 보호틀 제공, 수간 외과수술, 수세강화, 수간주사 등 생장환경을 개선하거나 수간훼손과 병충해를 제어할 대책을 포함하였다.
        4,000원
        7.
        2011.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서 론 과거 농촌지역은 산업화시대를 거치면서 건물이 들어서 고 도로의 신설 및 확장으로 인해 전통적인 비보숲들이 많 이 사라졌다. 이는 농촌마을의 정체성 상실을 가속화시키는 결과를 낳았다(박재철 외, 2004). 이와 같은 문제를 극복할 수 있는 대안으로 농촌에 있는 마을숲이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이는 마을의 전통을 잇 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농촌어메니티 자원으로서의 소중 한 역할을 수행 할 것으로 기대된다. 일반적으로 마을숲이란 마을의 문화와 밀접한 관계를 이 루며 인위적으로 보호 또는 유지되어온 숲을 말한다(김학범 외, 1994). 따라서 지역주민들의 문화가 자연스럽게 녹아있 고, 마을의 정체성과 관련되어 있으며, 쉼터의 역할도 하는 등 농촌어메니티 자원으로서 다양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사)생명의숲국민운동, 2006). 본 연구는 농촌지역 마을숲 연구의 시작 단계로 농촌마을 숲 기초자료를 확보함과 동시에 이를 바탕으로 농촌마을숲 보전 및 관리방안을 수립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내용 및 방법 1. 연구 대상지 대상지는 제주도 지역을 제외한 5개 권역에 위치하고 있 는 농촌마을숲을 대상으로 하였다. 각 권역 농촌 마을숲의 특성을 연구하기 위해 지역적 형평성을 고려하여 경기권역 10곳, 강원권역10곳, 충청권역20곳, 경상권역30곳, 전라권 역30곳으로 나누어 총 100곳을 대상지로 선정하였다. 선정기준은 일반적인 마을숲 범위에서 농촌지역과 연관 이 있거나 어메니티로서의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되는 숲으 로 한정하였다. 선정방법은 기후대(난대, 온대, 온대중부), 지리적 특성 (해안형, 내륙형), 농촌마을 어메티니티로서의 가치를 고려 하였다. 이를 위해 각 권역에 계시는 각지역 생명의숲(서울 +강릉+대전충남+포항+광주) 국장님들의 추천을 받아 42 곳을 선정하였다. 그리고 기존의 마을숲 관련 출판물, 논문, 보고서를 참고하여 위치가 명확한 마을숲 58곳을 추가하여 최종 100곳을 마을숲 대상지로 선정하였다. 2. 연구방법 본 조사의 시기는 7월 말부터~9월초까지 약 2달에 걸쳐 실시되었다. 연구는 2인이 1조가가 되어 현장 및 면담조사 를 하는 방식으로 실시하였다. 여기에 관련 인터넷자료 및 참고문헌을 이용하여 추가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현장조사 내용은 사진촬영, 위치적 특징 기술, 주요수종 조사, 편의시설 현황, 관리 및 훼손상태를 현장에서 조사하 였다. 그리고 면담조사의 경우 문화적 측면(문화재 및 공동 행사 유무), 마을숲 현황(숲구조변화), 농촌어메니티 질적 향상(이용정도, 만족도, 관리정도)과 관련된 질문을 서면으 로 작성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마을과 숲에 대해 잘 알고 계시는 마을관리자분들을 대상으로 면담을 통해 내용을 정 리하였다. 결과 및 고찰 1. 농촌마을숲 유형 분석 1) 위치별 유형분석 위치별 유형은 기존 연구(김학범 외, 1994)를 참고하여 5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여 특성을 살펴보았다. 마을숲이 위치하고 있는 곳은 마을 입구에 위치하고 있는 동구숲이 총 42곳으로 가장 많이 나타났다. 이는 풍수적 기능의 수구막이 역할을 하기 위한 것으로 전통적으로 마을 에서 허한 공간을 보완하기 위해 많이 조성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다음으로 하천주변이 32곳으로 많이 나타났는데 풍수적 인 이유와 더불어 수해 예방을 위해 많이 조성된 것으로 보인다. 언덕이나 산에 조성된 동산숲의 경우 주로 평지에 위치해 있는 농촌마을숲 특성상 많이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2) 농촌마을숲 기능별 유형 마을숲의 기능적 역할은 기존 연구에서 제시한 내용((사) 생명의숲국민운동, 2005)을 수정하여 크게 10가지로 구분 하여 살펴보았다. 먼저 제례, 종교, 마을정체성, 휴양, 숲체 험 등이 포함되어 있는 ‘문화’적 기능의 경우 35곳으로 많이 나타났다. 또한 ‘문화’적인 기능뿐만 아니라 방풍, 수해예방 등의 기능이 더해진 ‘환경+문화’적인 기능을 하는 곳도 35 곳으로 '문화'”적 기능과 동일하게 나타났다. 다음의 결과에서처럼 ‘문화’적 기능에서 많이 나타나는 것은 농촌마을에서 사라져가고 있는 전통적인 문화의 기능 을 숲이 일정부분 담당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 밖에 ‘풍수’적 기능과 관련된 숲이 25곳으로 많이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다. 3) 면적별 유형 마을숲 면적을 살펴보면 0~5000m2이하가 34곳, 5000초 과~10000m2이하가 36곳으로 많이 분포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큰 면적으로 나타나는 숲은 해안가나 경상 및 전라 권역에서 많이 볼 수 있다. 이는 해안림의 경우 해풍을 막기 위한 방풍림으로 대규모 조성되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경상 및 전라권역의 경우 과거 개발이 상대적으로 적었고, 넓은 평야에 숲이 위치하고 있기 때문으로 비교적 넓게 나타나는 것으로 판단된다. 2. 현장조사 및 면담내용 분석 1) 주요수종 현황 분석 전체 마을숲 조사결과 총출현 수종은 28종이 나타났다. 느티나무가 나타난 곳이 전체 마을숲 중 43곳으로 많이 나 타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다음으로 소나무가 43곳에서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었는데, 이는 경관적으로 우수하고, 수명이 길며, 환경적응력이 뛰어난 수목을 예전부터 선호했 기 때문이다. 지역마다 일부 수종에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푸조나무, 동백나무, 개서어나무의 경우 경상권역과 전라권역에서만 볼 수 있었는데, 기후대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 다. 따라서 지역적인 차이를 감안하여 관리의 방향도 별도 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2) 시설물 현황 및 관리 실태 분석 마을숲 내부에 있는 정자나 벤치 같은 “휴식시설”과 수도 시설 같은 “기반시설”이 설치된 경우가 천체 약 90% 정도 나타나 쉼터나 휴양, 행사의 공간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운동시설의 경우 40곳 정도 설치되어 있는데, 이중 이용 이 잘 이루어지지는 않는 곳이 있었고 또한 전통적인 마을 숲과는 운동기구가 어울리지 않는 곳이 있어 조성시 세심한 주의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쓰레기 투기의 경우 11곳에서 살펴볼 수 있었는데, 마을 과 지자체의 노력이 필요하며 이용자들의 의식도 같이 변해 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노면훼손의 경우 전체 피해 중 답압피해형이 27곳으로 가장 많이 나타났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산책로를 시공하 거나 주요부분에 출입금지 휀스를 만들어 숲 바닥을 보호해 야할 것이다. 3. 면담조사 분석 천연기념물, 보호수, 보물 등의 문화재가 마을숲에 있는 경우가 총 45곳으로 집계되었다. 또한 마을의 공동행사가 숲에서 이루어지는 경우가 44곳으로 많이 나타났는데, 숲의 활용 정도가 높거나 문화재가 있는 곳은 숲활동을 제한하여 보호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최근에 구조가 변화된 곳은 전체 62곳에서 나타났다. 주 로 도로를 만들거나 벌채, 주변 개발에 의해 변화된 곳이 대부분이었는데 숲의 원형 보호가 시급한 실정이다. 농촌 어메니티 질적 향상과 관련된 이용정도, 만족도, 관 리정도의 경우 전체적으로 보통 수준이 가장 많은 빈도수를 보이는 것을 볼 수 있다. 농촌 어메니티 자원으로서의 활용 을 높이기 위해. 지속적인 대책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 된다. 결 론 대상지를 유형별로 살펴본 결과 풍수, 문화, 환경적인 특 성이 강하게 나타나는 것을 살펴 볼 수 있었다. 이는 숲이 마을 사람들의 생활과 직접적인 관련을 가지고 있으며, 비 보숲 역할을 하는 동시에 생태계의 다양성을 높여주는 역할 을 담당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현장조사 및 면담조사 결과를 살펴보면 수목수종의 경우 28종으로 다양한 양상을 보이고 있었다. 그리고 문화재가 있는 숲이나 마을공동행사가 이루어지는 곳도 약 50%로 높게 나타나 농촌어메니티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에 이용, 관리, 만족도의 경우 보통정도의 수준으로 나타나 앞으로 개선해야 할 사항으로 나타났다. 특히 농촌 마을숲의 경우 마을의 특성을 고려한 숲 정비가 필요한 경 우가 많았다. 그리고 주변건물, 전신주 등으로 인해 경관을 해치는 경우가 조사과정에서 발견되었다. 마을숲은 한번 훼 손되면 복원이 어려운 만큼 세심한 계획을 바탕으로 지속적 인 관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앞으로 농촌 마을숲의 지속적인 관리와 농촌 어메니티 자원으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마을숲 연구와는 별도 로 우리나라 농촌 실정에 맞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야 할 것이다. 인용문헌 김학범, 장동수(1994) 마을숲-한국전통부락의 당숲과 수구막이, 열 화당, 16쪽 박재철, 김병섭, 윤성호, 박선미(2004) 마을숲 복원에 관한 연구 -전 북 진안군 동향면 능금리 능길 마을을 사례로-, 10(3):27~32 (사)생명의숲국민운동(2005) 전통마을숲 복원및관리 매뉴얼, 3쪽 사)생명의숲국민운동(2006) 전통 마을숲의 보전관리 방향, 82쪽 생명의숲(www.forest.or.kr)
        3,000원
        9.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경산시에 있는 32개의 마을숲을 전수조사 하여 입지에 따른 마을숲의 유형을 분류한 바, 동구숲 8개소(25.0%), 동산숲 6개소(18.8%), 하천숲 7개소(21.9%) 및 마을주변숲 11개소(34.4%)를 확인하였다 동구숲에 출현하는 주요수종은 느티나무가 34.3%, 은행나무가 11.2% 및 아까시나무가 10.5% 등을 확인하였으며, 동산숲의 경우 소나무가 56.8%, 상수리나무가 26.4% 및 느티나무가 4.3% 등을 확인하였다. 하천숲의 경우 느티나무가 40.4%, 왕버들이 27.1% 및 말채나무가 5.5% 등을 확인하였으며, 마을주변숲의 경우 느티나무가 21.7%, 상수리나무가 10.8% 및 말채나무가 8.9% 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확인한 마을숲의 대부분(71.9%)은 도로 때문에 분획화되어 서식처의 기능이 축소되었다. 마을숲의 기능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마을숲 복원을 위한 후대목의 육성 그리고 교육 및 홍보를 통한 마을숲의 중요성을 일깨우는 등 관리방안의 수립이 필요하다.
        4,000원
        10.
        200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마을 숲은 지역의 전통적인 공동체 삶을 위해 마을 주변에 조성되어 보호되고 유지되어온 숲이다. 본 연구는 미군부대 이전부지 내에 위치하는 마을 숲을 대상으로 식생 및 식물 상을 조사하였다. 이와 같은 자료는 현지는 물론 인근 지역의 마을 숲 보전 및 복원사업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얻을 수 있다. 현지 소산 식물상은 양치식물 2과 2속 1종 1변종으로 총 2분류군으로 나타났으며 나자식물은 2과 2속 3종의 3분류군, 피자식물 중 단 자엽 식물이 5과 10속 11종으로 11분류군, 쌍자엽식물이 24과 39속 40종 3변종으로 43분류군로서 총 33과 53속 55종 4변종의 59분류군으로 조사되었다. 도시화 지수는 4.2%, 귀화율은 20.3%로 타 지역에 비교해 상대적으로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마을 숲을 구성하는 식생단위는 소나무군락(Pinus densiflora community), 소나무-졸참나무군락(Pinus densiflora-Quercus serrata community), 졸참나무군락(Quercus serrata community), 찔레군락(Rosa multiflora community)의 4개 군락 단위로 구분되었다. 졸참나무군락은 자연천이에 의해 도태된 소나무 대신 상대적으로 채광적응성이 뛰어난 졸참나무가 우점하는 군락유형으로 교목 층뿐만 아니라 아교목 층에 까지 졸참나무가 생육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최근 산업화와 더불어 마을 주민들의 이탈과 가구 수의 축소, 도시화에 의해 마을 숲의 이용이 줄어들고 이에 따라 이 지역의 잠재자연식생으로 추정될 수 있는 졸참나무군락으로 소나무-졸참나무군락을 거쳐 천이되는 유형을 보여주고 있었다.
        4,200원
        11.
        2013.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article purposes to make a GIS database of South Korea rural village forest. So we first tried to collect data of their geographic coordinates or location from the many references on the rural village forest. As the result, we collected locations of the 634 forests. Boundaries of the 462 forests could be made by using their satellite imagery. Finally we implemented GIS database of the 462 traditional rural village forest in South Korea. Furthermore we surveyed 100 forests out of them. They were analyzed in the view of location, area, wood species, cultural assets and activities of inhabitants. These data can be used in the rural village planning and I look forward this database is helpful to preserve existing traditional rural village groves as a lasting legacy.
        12.
        2009.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village grove is the one fostered and protected for a district's traditional life near the vicinity of a ruderal village. This research is done to grasp potential natural vegetation, to use a basis data needed for its management and preservation as well as restoration project by examining the vegetation and flora targeting a village grove of the southern district of Gyeonggi-do which has been seriously damaged subsequent to a rapidly progressing city development. According to the survey, there appeared an outgrowth flora of Pteridophyta consisting of 69 families, 136 genera, 20 varieties, 3 forms, 170 species-totalling to 193 taxa. Urbanization index was revealed to 4.55% and naturalization rate 6.74%. In life-cycle pattern, perennials were found to show the highest distribution rate; in infiltration-multiplication strategies, human wave tactics type was found to be the highest 51%, consisting of 98 species, and naturalization rate also was revealed to be 6.74%. The vegetation unit was divided into a total of 11 patterns, such as a community of Pinus densiflora community, Pinus densiflora-Pinus rigida community, Pinus densiflora-Castanea crenata community, Pinus rigida community, Pinus rigida-Castanea crenata community, Pinus rigida-Quercus acutissima community, Castanea crenata community, Castanea crenata-Quercus acutissima community, Quercus acutissima community, Quercus acutissima-Robinia pseudo-acacia community and Robinia pseudo-acacia community. Quercus acutissima community is of a community type dominated by Quercus acutissima, in place of Pinus densiflora community selected by natural succession.
        13.
        2006.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village groves in Pohang city by classifying them into 5 categories: sage plantation, shelter-belt plantation, shore plantation, ornamental plantation and bower plant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village groves in Pohang city consist of 16 sage plantations (128,682㎡), 14 shelter-belt plantations (807,755㎡), 17 shore plantations (447,616㎡), 10 ornamental plantations (141,276㎡) and 6 bower plantations (79,075㎡). Namely, the ratio of shore plantations is highest (n=17) in terms of number, while that of shelter-belt plantations is highest (50.3%) in terms of area. On the other hand, Pinus Thunbergii account for the absolute majority (n=55,239, 74.1%) of the trees, followed by pine trees (n=18,017, 24.2%). Both species are combined to account for 98.3% of the entire trees, which means that the plantations are simple in terms of tree species. When the village groves were compared in terms of functional age, sage plantations are oldest or aged 143 years, followed by bower plantations (aged 137), ornamental plantations (aged 118), shore plantations (aged 92) and shelter-belt plantations (aged 88).
        14.
        2004.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on identifying the restoration guidelines of supplementary village grove and villageside forest in case of Neunggil village in Jinan county of Korea. These forests were managed very well before industrialization by village residents in order to obtain fuels and organic fertilizers traditionally. But recently, these forests were abandoned by using natural gas, oil and chemical fertilizer. Therefore, species diversity of these forests was downward and traditional rural landscape was lost. Accordingly, this study suggested the restoration guidelines of these forests through rest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man and nature. For this, vegetation map was made by quadrat method. And management guidelines of these forests were suggested by the analysis of vegetation map. Also, for the restoration of supplementary village grove, Miyawiki professor's method of Yokohama university through introducing potential natural vegetation was suggested.
        15.
        2003.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on identifying the function of ground temperature arrangement of village grove. Case study was accomplished at Hacho village grove in Jinan-gun, Jeonbuk province. Hacho village grove was the largest grove of all and most formal grove in Jinan region. So ground temperature of outside and inside of Hacho village grove were measured from March to October in 2001. And comparative review about difference between outside and inside of village grove was accomplished. Our ancestors, in spite of orient and occident, have made a settlement in consideration of climatic conditions. We have to team from past pattern and add modern scientific technology. So traditional wisdom and wise planning process must be considered in order to create qualitative residential environment in present through natural elements. It is identified that in winter, the inner side ground temperature is higher than outside one of that and in summer, in contrary, the inner side one of that is lower than outside one of that. So it is identified that Macho village grove breaks winds and reduce the heating energy in winter, it reduces ground temperature and reduces cooling energy very well in summer. It is identified that village grove reduce ground temperature in summer better than any other season. It is identified that in summer, the effect of maintaining constant temperature is also better than my other season. So it is identified that village grove stabilize most changeable outside temperature in inside of that.
        16.
        1999.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remained real state of the village groves in human settlement circle. That was practiced in case of Chinan-Gun region which traditional elements had well been conserved. 33 village groves were found by site survey, reference and interview in Chinan-Gun region. 31 of 51 village groves were clarified as complementing village grove by classification of grove character. It was identified through survey that many were partially destructed by development and human overus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general, socio-behavioral characteristics, characteristics of forest state and vegetation structure of village groves in Chinan-Gun region. Length, area, form, type, motive, location, relationship of those were analyzed to identify general characteristics. Facilities, human behavior and ownership of those were analyzed to identify socio-behavioral characteristics. Principal dominant species and appearing rate, height, width, density of those, species diversity of groves were analyzed to identify forest state and vegetation structure. Interrelation between each factor were analyzed and comparative review with previous studies was achie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