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부모의 일-가정 이점과 갈등, 부모의 양육 행동, 자녀의 화용언어의 구조적 관계: APIM 분석 KCI 등재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Work-Family Benefits and Conflicts, Parenting Behavior, and Child's Pragmatic Language: An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APIM) Approach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373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000원
코칭연구 (Journal of Korean Coaching Research)
한국코칭학회 (The Korean Association of Coaching)
초록

본 연구는 맞벌이 부모의 일-가족 이점과 갈등이 부모의 양육 행동을 거쳐 자녀의 화용언어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일-가족 이점과 갈등이 부모의 양 육 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에서 자기-상대방효과에 차이가 나는지를 비교 분석하 였다. 이를 위하여 한국아동패널 10차 조사자료에서 맞벌이 부모 604쌍과 자녀 의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기술통계와 상관분석은 SPSS.22, 자기-상대방 상호의 존모형(APIM)은 AMOS.28 통계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모 의 일-가정 이점과 갈등은 모의 양육 행동에, 모의 양육 행동은 아동의 화용언 어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지만, 모의 일-가정 이점과 갈등이 부의 양육 행 동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부의 일-가정 이점과 갈등은 부와 모의 양육 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나 부의 양육 행동은 아동의 화용언어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모는 부 보다 일-가정 이점과 갈등상황에 서 자신의 양육 행동에 대해 배우자보다 자기 자신의 영향력이 더 큰 것으로 나 타났다. 따라서 일-가정 양립 지원에 있어 부와 모의 관계성에 초점을 둔 세밀 화된 지원정책의 수립과 여성복지의 새로운 측면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dual-income parents' work-family benefits and conflicts on parental caregiving behaviors and their subsequent impact on children's pragmatic language development, and to compare and analyze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self-partner effects in the influence. For this purpose, data from 604 dual-income parent couples and their children were used from the 10th Korean Child Panel survey. For the analysis SPSS 22.0 and AMOS 28.0 were used. First, maternal work-family benefits and conflicts significantly influenced maternal caregiving behaviors, which in turn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children's pragmatic language development, while the influence of maternal work-family benefits and conflicts on paternal caregiving behaviors was not significant. Second, paternal work-family benefits and conflicts significantly influenced paternal and maternal caregiving behaviors, but paternal caregiving behaviors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children's pragmatic language development. Third, mothers had a greater influence on their own caregiving behaviors than spouses did in work-family balance situation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detailed support policy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ather and mother.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및 자료 수집
    2. 연구 도구
    3. 자료 분석
Ⅲ. 연구 결과
    1. 부모의 일-가정 이점과 갈등, 부모의 양육 행동, 자녀의 화용언어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2. 부모의 일-가정 이점과 갈등이 양육 행동에 미치는 자기-상대방효과 크기 검증
Ⅳ.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Abstract
저자
  • 황혜정(경기대학교 유아교육학과 교수) | Hwang Hye jung (Professor,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Kyonggi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
  • 최은혜(경기대학교 대학원 유아교육학과 박사과정) | Choi Eun Hye (Doctoral Student,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Kyonggi University)
  • 전유은(경기대학교 대학원 유아교육학과 박사과정) | Jeon Yu eun (Doctoral Student,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Kyonggi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