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초기 한국기독교 농촌계몽운동 연구: 윤치호와 하디를 중심으로 KCI 등재

A Study on the Rural Enlightenment Movement of the Early Korean Christianity: Centered on Chi-Ho Yun and Hardi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380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900원
선교신학 (Theology of Mission)
한국선교신학회 (The Korean Society of Mission Studies)
초록

일반적으로 한국기독교의 농촌계몽운동은 1920년대에 시작하여 1930년대에 소멸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엄밀하게 말하자면 한국기독 교의 농촌계몽운동은 1920년대부터 1930년대까지 전성기를 경험한 것이 맞다. 하지만 이보다 앞서 농촌계몽운동에 관심을 가지고 나름의 역할들을 해온 두 인물이 있는데, 그 두 사람은 바로 윤치호와 로버트 알렉산더 하디 선교사이다. 본 논문에서는 같은 남감리회 소속이었던 윤치호와 하디 선교사가 농촌계몽운동에 관심을 갖게 된 시기와 이유, 그리고 구체적인 활동을 우선 살펴보고, 이들이 목표했던 농촌계몽운동 은 단순히 경제적인 발전만을 추구하는 것이 아니라 누구나 자신의 재능을 개발하고 더불어 행복한 삶을 살아갈 수 있도록 의식을 변화시키 는 하나의 사회변혁운동이었음을 고찰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생명 경시, 자살률 증가, 인간 소외현상 등이 만연한 21세기의 대한민국에서 한국기독교(개신교)가 진정한 계몽운동의 주역으로 자리매김하는 데 이바지하기를 바란다.

The rural enlightenment movement of Korean Christianity did experience its heyday from the 1920s to the 1930s. However, before this movement, there were two figures who had shown interest in the rural enlightenment movement and played their own roles, namely Yun Chi-Ho and Robert Alexander Hardie. In this paper, the writer examined the timing and reasons why Yun and Hardie became interested in the rural enlightenment movement, as well as their specific activities, not simply pursuing economic development, but directed towards a social revolution movement aimed at transforming consciousness for everyone to develop their talents and live a happier life together.

목차
I. 들어가는 말
II. 윤치호의 농촌계몽운동
    1. 윤치호와 미국 남감리회
    2. 윤치호의 학교설립
    3. 윤치호의 농촌계몽운동
    4.1920-30년대의 윤치호
III. 하디의 농촌계몽운동
    1. 독립선교사
    2. 미국 남감리회 선교사
    3. 하디의 농촌계몽운동
V. 나가는 말
Abstract
참고 문헌
저자
  • 김칠성(목원대학교 교수, 선교역사) | Chil-Sung Kim (Professor, Mokwon University, Mission History)
같은 권호 다른 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