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묵자사상(墨子思想)과 지속가능발전목표 (SDGs)의 관련성 소고(小考) KCI 등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uzi Thought and SDG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382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800원
융합인문학 (Korean Journal of Converging Humanities)
한국인문사회질학회 (Korean Association on Humanities & Social Quality)
초록

본 논문에서는 중국 춘추전국시대 유가사상(儒家思想)과 더불어 당시 민중의 지대한 사랑과 관심을 받았 던 묵가사상(墨家思想)과 현시기 전 지구적으로 관심을 받고 있는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묵자 사상과 그 학파는 사실 당대의 흥성함에 비해 이후 동양의 사상계에서 사라졌다가 청조대(淸朝代)인 근대에 이르러 다시 세상의 주목을 받게 된 ‘비운의’ 역사를 가지고 있다. 기실 묵가사상은 ‘사람은 제 이웃을 제 몸과 같이 사랑하고 누구나 차별하지 말아야 한다는 겸애(兼愛)를 주장하여 전국시대에는 가장 많은 인민의 사랑을 받았다’(기세춘, 2021:9)고 전해진다. 하여 본 논문에서는 당시 묵자(墨子)가 설파했던 여러 주장들과 현시기 전 지구적으로 해결해야 할 당면 과제들의 해법을 찾고자 하는 지속가능발전목표(SDGs)의 목표와 이행 과제들을 비교하며 살펴보는 데 그 의의가 있다고 할 것이다. 다만 본 논문에서는 지면 관계상 묵자의 공동체 사상, 경제사상, 반전·평화 사상을 중심으로 지속가능발전목표(SDGs)의 이행 목표와의 연관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물론 묵자 사상이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이행 목표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거나 묵가 사상이 지속가능발전목표(SDGs)에 영향을 끼쳤다는 것을 논증하려는 것은 아니다. 다만 2400여 년 전 동양의 한 사상가와 그 학파의 주장들 이 현시기 전 지구적 과제들을 해결하는 데 있어 시사하는 바가 적지 않다는 점을 살펴보는 것 자체에 나름의 의미가 있다 할 것이다. 본 논문은 국내에서 처음으로 시도하는 연구이기도 하다. 다만 본 논문에서 는 묵자 사상과 묵가 사상을 혼용해서 쓰고 있음을 밝힌다.

This paper will examine the RuJia ideology during the Spring and Autumn Warring States period in China and the MoJia ideology, which received the love and attention of the people at the time, while looking into the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 which are receiving global attention these days. Then it will seek to find relations between them. The MoJia ideology and its schools, compared to the prosperity that it enjoyed at the time, in fact, have a ‘sad’ history as they disappeared from the Eastern ideological world afterwards, only to come back to the attention of the world in the Qing Dynasty. The MoJia ideology emphasized impartial love(兼愛), arguing that people should love their neighbors as much as they love their own body and no one should be discriminated, and received the most love from the people in the Warring States period (Kisechun:9). Therefore, this paper is meaningful in that it compares and examines the various arguments MoJia preached at the time along with the goals and implementation tasks of the SDGs in order to find solutions to the current challenges that need to be solved through global efforts. Due to the limited space, however, this paper will focus more on any relation it might have to the SDGs, centering on MoJia’s thoughts regarding community, economy, anti-war thinking, and peace. It should be noted, however, that the study is not intended to demonstrate that the MoJia ideology is directly related to the SDGs or that the MoJia ideology influenced the SDGs. However, it would be meaningful to look at the fact that the arguments of an Eastern school more than 2,400 years ago seem to have a lot to suggest in terms of solving global challenges in the present. This paper is also the first research to make such an attempt in Korea.

목차
Ⅰ. 들어가며
Ⅱ. 묵자(墨子)의 공동체(共同體) 사상과 지속가능발전목표(SDGs)의 <목표 3>/<목표 4>/ <목표 8>/ <목표 10>
Ⅲ. 묵자(墨子)의 경제(經濟)사상과 지속가능발전목표(SDGs)의 <목표 1>/ <목표8>/<목표 10>
Ⅳ. 묵자(墨子)의 반전·평화(反戰·平和) 사상과 지속가능발전목표(SDGs)의<목표 16>/ <목표 17>
Ⅴ. 나오며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이승희(극동대학교 미래교양대학 교수) | Lee Seung-hee (Professor, College of Liberal Arts of Far East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