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한국수어 교재의 재구조화 방안 연구 : 미국수어 교재와의 비교 분석을 중심으로 KCI 등재

A Study on Plans to Restructure Korean Sign Language Textbooks : Focusing on Comparative Analysis with American Sign Language Textbook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382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8,400원
융합인문학 (Korean Journal of Converging Humanities)
한국인문사회질학회 (Korean Association on Humanities & Social Quality)
초록

본 연구는 한국수어 교육의 양적 확장이 이뤄졌음에도 농인들과의 의사소통이 가능한 청인들이 증가하지 않은 이유를 한국수어 교재의 문제점들에 주목하였다. 한국수어 교재들이 언어학적인 교육과정을 담아내야 한다는 전제하에 한국수어 교재들과 미국수어 교재들을 비교 분석하여 이를 토대로 한국수어 교재의 재구조 화 방안을 제시하는 데에 연구목적을 설정하였다. 분석 대상은 한국수어 교재 12권과 미국수어 교재 2권이었 다. 연구 결과, 외적 구성과 교재 내적인 차원에서의 전체 구성, 학습 내용에서의 주제와 어휘 및 회화 영역에서 한국과 미국 교재들 간의 뚜렷한 차이를 발견하였다. 이에 따른 몇 가지 논의사항은 첫째, 미국수어 교재의 외적 구성은 미국농인이 익숙하며 선호하는 시각적 정보화에 충실했다는 것이다. 둘째, 한국수어 교재들은 미국수어 교재들에 비해 내적 구성에서 ‘계속성’과 ‘계열성’이 미흡하였다. 셋째, 양질의 수어교재 들이 미국에서 개발될 수 있었던 계기들로는 수십 년에 걸친 기초연구들이 뒷받침되어 있었다. 넷째, 언어 교수·학습을 위한 교재가 학습자들에게 유용하도록 짜임새 있게 구성되기 위해서는 언어이론에 근거한 교재를 개발해야 한다. 본 연구의 제언으로는 첫째, 현재 진행 중인 국립국어원에서 발주하여 전문 연구진에 의해 연구되고 있는 한국수어능력 등급별 평가기준 마련, 한국수어교원 2급 교육과정 개선, 한국수어교원 1급 교육과정 개발 등이 최대한 빨리 이뤄져야 한다. 둘째, 미국수어 교재에서 적용하는 농인 친화적인 외적 구성 형태를 모범으로 삼아야 한다. 셋째, 학습 주제, 학습 어휘 및 회화 등 실제 학습 내용을 구성하게끔 하는 한국수어 교육과정의 이론과 방법이 모색되어야 한다. 넷째, 기존 교재들의 재구조화와 그에 따른 향후 신규 개발된 한국수어 교재들을 지속적으로 평가하는 지침과 기준이 마련되어야 한다.

Despite the quantitative expansion of KSL education in Korea, there has been almost no increase in the number of people who are able to communicate with deaf people. For this reason, this study examines the textbooks available for Korean Sign Language (KSL), focusing on areas for improvement. With the premise that KSL textbooks should incorporate linguistic educational content, the study compares and analyzes KSL textbooks along with American Sign Language (ASL) textbooks and seeks to suggest restructuring plans for KSL textbooks based on the results. For the analysis, the study targeted 12 KSL textbooks and 2 ASL textbooks. The results revealed clear differences between KSL and ASL textbooks in terms of overall external and internal composition as well as thematic content, vocabulary and conversational sections within the learning materials. Several points of discussion emerged from these findings. Firstly, the external composition of ASL textbooks in the United States adhered closely to the visual informatization that deaf people prefer and feel familiar to. Secondly, KSL textbooks lacked internal composition compared to ASL textbooks in terms of ‘continuity’ and ‘sequence.’ Thirdly, the development of high-quality ASL textbooks in the United States can be attributable to decades of foundational research. Fourthly, in order for KSL textbooks for language teaching and learning to be effectively planned for learners, it would be necessary to develop KSL textbooks based on linguistic theories. Therefore, the study makes the following suggestions: Firstly, it is necessary to speed up the efforts regarding establishment of evaluation criteria for KSL proficiency by grade level, improvement of the curriculum for KSL teachers at the 2nd level, and development of the curriculum for KSL teachers at the 1st level, all of which are currently underway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Secondly, external composition of ASL textbooks, designed to be deaf people friendly, should be taken as a model. Thirdly, theories and methods for composing actual learning content such as learning topics, vocabulary, and conversational exercises in KSL curriculum need to be explored. Fourthly, guidelines and criteria for the continuous evaluation need to be established for both restructuring the currently available KSL textbooks and any KSL textbook that will be developed in the future.

목차
Ⅰ. 서론
Ⅱ. 문헌고찰
    1. 교재의 유형과 분석 기준
    2. 국내 선행연구 고찰
    3. 선도적 수어교재의 사례 : 미국
Ⅲ. 연구방법
    1. 자료수집
    2. 수어 교재 분석 틀 및 분석방법
Ⅳ. 연구 결과
    1. 외적 구성
    2. 교재 내적인 차원에서의 전체 구성
    3. 교재 내적인 차원에서의 학습 내용: 주제
    4. 교재 내적인 차원에서의 학습 내용: 어휘와 회화
Ⅴ. 결론
    1. 논의
    2.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이준우(강남대학교 교수) | Lee Jun-woo (Professor, Division of Social Welfare, Kangnam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
  • 김정석(동국대학교 교수) | Kim Cheong-seok (Professor, Dept. of Sociology, Dongguk University-Seoul)
  • 조정환(강남대학교 강사) | Cho Jung-hwan (Lecturer in Dept. of Sign Language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Kangnam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