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대학생이 지각한 진로장벽과 진로적응성의 관계에서 성격강점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순차적 매개효과 KCI 등재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f Character Strength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alysis Between Perceived Career Barrier and and Career Adaptabilit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455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800원
한국과 세계 (Korea and World Review)
한국국회학회 (Korea Society of Assembly Studies)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이 지각한 진로장벽과 진로적응성의 관계에 서 성격강점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순차적 매개효과를 알아보는데 있 다. 이를 위해 2020년 9월 15일부터 한 달간 온라인 설문조사에 참여 한 4년제 대학 재학 남녀 대학생 385명의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진로장벽, 성격강점,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적응성 모두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또 대학생이 지각한 진로장벽과 진로 적응성과의 관계를 성격강점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완전매개하는 것 을 확인하였고 성격강점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순차적으로 매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즉, 대학생이 지각한 진로장벽으로 인한 어려움을 대 처할 때 자신의 성격강점 인식을 통해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향상될 때 진로적응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토대로 대학생 진 로교육과 상담에서 진로적응성 향상을 위한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f character strengths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barriers and career adaptability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For this, data collected from 385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an online survey through a community site mainly used by college student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areer barriers, character strengths,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adaptability were correlated with each other. Second, it was found that character strengths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were completely media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barriers and career adaptability. Third,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sequential mediating effect of character strengths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barriers and career adaptability. Finally,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측정도구
    3. 분석방법
Ⅲ. 연구결과
    1. 기술통계 및 상관관계 분석 결과
    2. 순차 매개효과 검증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저자
  • 백은경(명지대학교) | Paek Eunkyong (Myongji University)
  • 이은경(명지대학교) | Lea Eunkyoung (Myongji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